[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나이가 든다는 것은 어쩌면 세상에 대한 나만의 관점을 형성하는 과정인 것 같습니다.
세상은 유유상종이어서 벗 또는 동료처럼 나와 비슷한 사람들과는 친하게 지내지만
나와 다른 사람과는 멀어지거나 어정쩡한 사이가 되기 십상입니다.
60이 넘은 지금 지나온 삶을 반추해 보면 저 자신이 그렇게 살아온 것 같습니다.
어쩌다 나는 누군가를 왜 그리도 미워하거나 두려워하는 어른이 되었을까요?
나이가 들어가면서도 왜 동료를 적으로, 다름을 틀림으로 인식하고 있었을까요?
나이가 들면서 아주 좁고 작은 창문들을 더 많이 만드는 것은 아닌가 하고
반성하게 됩니다.
눈높이 교육이라는 말이 한때 유행하였습니다.
그 유래는 이러합니다.
유럽의 한 박물관에 사지가 멀쩡한 젊은 여성 한 분이
앉은뱅이걸음으로 작품을 감상합니다.
의아하게 생각한 전시기획자가 묻지요.
"왜 당신은 사지가 멀쩡하면서 앉은걸음으로 작품을 보고 있나요?"
그때 여성은 이렇게 답합니다.
"저는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눈높이에서 작품을 바라보면 어떻게 보일까 궁금해서요."
같은 그림을 보고도 사람마다 느끼는 감동은 다릅니다.
같은 영화를 보고도 생각나는 장면은 사람마다 다릅니다.
우린 자기 경험 가치관 신념을 통해 세상을 바라보기 때문이지요.
역사적으로 사건이 일어난 것은 같지만
기록하는 역사가의 관점에 따라 달리 기록되고 달리 해석됩니다.
곧 역사는 관점으로 존재하는 것이지요.
‘군맹무상(群盲撫象)’이란 사자성어가 있습니다.
한 무리의 시각장애인이 코끼리를 처음 만납니다.
그들은 촉각을 통하여 코끼리의 생김새를 인지할 수밖에 없습니다.
코만 만진 시각장애인은 코끼리는 튜브처럼 생겼다고 생각하고
다리를 만진 사람은 기둥처럼 생겼다고 말하고
배를 만진 사람은 벽처럼 생겼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자신이 경험한 것을 주장하는 다툼에 결론이 나지 않습니다.
나이가 들어가면서 이해력이 더 깊어지고 차이를 이해하여 상대를 존중해야 하는데
아집과 고집에 빠져 자신만을 주장하는 꼰대가 되어 가는 것이 문제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꼰대스러움을 지적할 것이 아니라
내가 그런 모습을 보이고 있지는 않은지 반성할 일입니다.
“나 때는 말이야~~” 이런 말 보다는
“그렇게 생각할 수도 있겠다.”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주변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받아들여야 하지요.
사회적으로 용인받기 힘든 꼰대라는 동물이 되어서는 안 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