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1 (화)

  • 맑음동두천 -0.3℃
  • 구름많음강릉 6.5℃
  • 맑음서울 3.2℃
  • 연무대전 5.2℃
  • 맑음대구 6.3℃
  • 맑음울산 6.7℃
  • 맑음광주 6.0℃
  • 맑음부산 7.6℃
  • 맑음고창 2.0℃
  • 맑음제주 7.9℃
  • 맑음강화 -1.2℃
  • 맑음보은 1.3℃
  • 맑음금산 1.6℃
  • 맑음강진군 3.5℃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4.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눈에 띄는 공연과 전시

전통공예의 맥,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개막

‘법화경 변상도’(대통령상) 등 8개 수상작 포함 151점 출품
12.12~20, 서울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오는 12일부터 20일까지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전시관 ‘결·올’(서울 강남구)에서 (사)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이사장 이재순)와 공동으로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이하 ‘전승공예대전’)」를 열고, 수상작 151점을 전시한다. 전시 시작 하루 전인 11일 낮 2시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에서 개막식과 시상식이 열린다.

 

 

올해로 49회를 맞이한 전승공예대전은 우리 전통공예의 맥을 보존ㆍ계승하하고 그 의미를 일깨우기 위해 개최되는 전통공예 공모전으로, 신진 작가와 기성작가 등 기량이 뛰어난 전통공예인들을 발굴하는 창구가 되어 왔다. 올해는 전통공예 12개 분과에서 모두 345개의 작품이 접수되어 1차 심사(10.1.)를 거쳐 151개의 작품이 수상작으로 결정되었으며, 이후 대국민 인터넷 공람(10.2.~11.), 전문가 현장실사(10.9.~15.), 2차 심사(10.22.)를 통해 대통령상을 비롯한 8개의 본상 수상작이 뽑혔다.

 

▲ 대통령상에는 김경미 작가의 ‘법화경 변상도’가 뽑혔다. 화려한 금니 표현과 작가의 세밀하고 정교한 필력으로 완성된 수작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 변상도: 불교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

* 금니: 금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물감

 

 

▲ 국무총리상에는 은입사 기법 특유의 치밀함과 섬세함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은 승경란 작가의 ‘철제 금은입사 손화로’가,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에는 재료와 기법이 우수하고 음향의 울림이 좋아 기능성까지 겸비한 류현도 작가의 ‘산조가야금’이, ▲ 국가유산청장상에는 외발 초지한 전통한지의 염색(후염) 처리가 우수하고 전승의 값어치 또한 뛰어난 박재균ㆍ조현진 작가의 ‘한지 천연염색’이 뽑혔다. 이밖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에 소중한 작가의 ‘속두껍닫이 사층책장’, ▲ 국가유산진흥원장상에 김대성 작가의 ‘옻칠 윤선, 합죽 윤선’,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상에 박현숙 작가의 ‘탐릉군 중치막과 무수창의’, ▲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이사장상에 오삼록 작가의 ‘건칠어피 어룡형 주전자’가 뽑혔다.

* 은입사: 청동기·철기·구리 따위의 금속 그릇 표면에 은사(銀絲)로 장식하는 기법

* 초지: 전통한지 제작과정 가운데 섬유 지료를 수중에 부유시켜 퍼올린 다음 흔들어 섬유를 얽히게 하는 과정

* 외발 초지: 하부의 발틀 위 대나무로 만든 한지 발을 깔고 상부 테두리 없이 초지하는 것이 특징

 

 

 

수상작 전시는 12월 12일부터 20일까지 휴관 없이 진행되며, 자세한 사항은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 사무국으로 전화(☎02-3453-1685~6)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

국가유산청(청장 최응천)은 오는 12일부터 20일까지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전시관 ‘결·올’(서울 강남구)에서 (사)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이사장 이재순)와 공동으로 「제4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이하 ‘전승공예대전’)」를 열고, 수상작 151점을 전시한다. 전시 시작 하루 전인 11일 낮 2시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에서 개막식과 시상식이 열린다.

 

올해로 49회를 맞이한 전승공예대전은 우리 전통공예의 맥을 보존ㆍ계승하하고 그 의미를 일깨우기 위해 개최되는 전통공예 공모전으로, 신진 작가와 기성작가 등 기량이 뛰어난 전통공예인들을 발굴하는 창구가 되어 왔다. 올해는 전통공예 12개 분과에서 모두 345개의 작품이 접수되어 1차 심사(10.1.)를 거쳐 151개의 작품이 수상작으로 결정되었으며, 이후 대국민 인터넷 공람(10.2.~11.), 전문가 현장실사(10.9.~15.), 2차 심사(10.22.)를 통해 대통령상을 비롯한 8개의 본상 수상작이 뽑혔다.

 

▲ 대통령상에는 김경미 작가의 ‘법화경 변상도’가 뽑혔다. 화려한 금니 표현과 작가의 세밀하고 정교한 필력으로 완성된 수작이라는 호평을 받았다.

* 변상도: 불교에 관한 여러 가지 내용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한 그림

* 금니: 금가루를 아교풀에 개어 만든 물감

 

 

 

▲ 국무총리상에는 은입사 기법 특유의 치밀함과 섬세함이 돋보인다는 평을 받은 승경란 작가의 ‘철제 금은입사 손화로’가, ▲ 문화체육관광부장관상에는 재료와 기법이 우수하고 음향의 울림이 좋아 기능성까지 겸비한 류현도 작가의 ‘산조가야금’이, ▲ 국가유산청장상에는 외발 초지한 전통한지의 염색(후염) 처리가 우수하고 전승의 값어치 또한 뛰어난 박재균ㆍ조현진 작가의 ‘한지 천연염색’이 뽑혔다. 이밖에 ▲ 한국문화예술위원회위원장상에 소중한 작가의 ‘속두껍닫이 사층책장’, ▲ 국가유산진흥원장상에 김대성 작가의 ‘옻칠 윤선, 합죽 윤선’,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상에 박현숙 작가의 ‘탐릉군 중치막과 무수창의’, ▲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이사장상에 오삼록 작가의 ‘건칠어피 어룡형 주전자’가 뽑혔다.

* 은입사: 청동기·철기·구리 따위의 금속 그릇 표면에 은사(銀絲)로 장식하는 기법

* 초지: 전통한지 제작과정 가운데 섬유 지료를 수중에 부유시켜 퍼올린 다음 흔들어 섬유를 얽히게 하는 과정

* 외발 초지: 하부의 발틀 위 대나무로 만든 한지 발을 깔고 상부 테두리 없이 초지하는 것이 특징

 

수상작 전시는 12월 12일부터 20일까지 휴관 없이 진행되며, 자세한 사항은 국가무형유산기능협회 사무국으로 전화(☎02-3453-1685~6)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