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운때(時運)
산모퉁이 돌자 새길 나오듯(돌)
새길에서 반가운 님을 보듯(빛)
뿌린 대로 때맞춰 피는 것을(초)
가고 오는 세상만사 운때지(심)
--- 25, 1. 11. 불한시사 합작시
설명 ; 우리 말에 운때라는 것이 있다. ‘운(運)’이라는 한자어와 우리말 ‘때’ 곧 시간의 합성어이다. 한자말로 다시 바꾸면 ‘시운(時運)’이다. 그때와 운수(運數)가 합해진 말이다. 사람이 살다 보면 좋은 때가 있기도 하고 운수 곧 관운(官運)과 재수(財數)가 닥치기도 한다. 가장 좋은 경우는 때와 운이 만나 교차하는 것이다. 때는 이르렀는데 수(數)가 모자라면 그 수를 채워야만 하고, 수는 꽉 찼는데 때가 되지 않으면 때를 기다려야 일이 이루어진다. 태공망(太公望, 강태공)이 웨이수이강[渭水]에서 80년 동안 곧은 낚시를 한 것도 백세의 재상이 되어 천하를 경영하기 위함이었듯, 시대의 인물과 군자는 그때를 알아서 처신했다. 개인뿐만 아니라 국운(國運)도 마찬가지라할 것이다.(돌)
• 불한시사(弗寒詩社) 손말틀 화답시(和答詩) `불한시사(弗寒詩社)'는 문경 ‘불한티산방’에 모이는 벗들 가운데서 시를 쓰는 벗으로 함께 한 시모임이다. 이들은 여러 해 전부터 손말틀(휴대폰)으로 서로 화답 시(和答詩)를 써 왔다. 시형식은 손말틀 화면에 맞게 1행 10~11자씩 4행시로 쓰고 있다. 일종의 새로운 정형시운동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