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올해도 어김없이 윤동주 시인의 일본 유학시절 하숙집이 있던 교토 타카하라(高原)에서는 시인을 추모하는 헌화식에 이어 ‘윤동주의 시’에 관한 세미나와 낭독회, 다큐영화 상영 등 다양한 추모행사가 있었다.
먼 고향 북간도의 조선 청년 윤동주(1917-1945)는 도쿄의 릿쿄대학을 거쳐 이곳 교토의 도시샤대학에 적을 두고 타카하라 하숙집에서 고독한 유학생활을 시작했다. 그 쓸쓸한 하숙집 방에서 언제 끝날지 모르는 식민지 조국의 광복을 꿈꾸며 모국어로 시를 쓰다가 잡혀가 스물일곱에 삶을 마감한 윤동주, 그가 교토에 머물렀던 하숙집은 헐렸고 그 자리에는 일본의 명문 예술대학인 교토예술대학(京都芸術大学)이 들어섰다. 그러자 ‘시인 윤동주를 사랑하는 사람들’은 그의 하숙집 자리에 2006년 시비(詩碑)를 세웠고 교토예술대학에서도 해마다 윤동주 시인의 추모행사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특히 올해, 윤동주 서거 80주기를 맞아 교토예술대학에서는 지난 2월 14일, 추모행사를 이어갔다. 아침 10시, 국화꽃을 바치는 헌화식에 이어 윤동주 다큐 영화 <高原타카하라> 3회 상영, 문예표현학과 나카무라 준(中村純) 교수와 학생들의 세미나 ‘윤동주의 시를 이야기하는 모임’ <새벽이 오기 전 어둠 속에서> 등이 진행되었다.
“처음으로 윤동주라는 시인의 이름을 알게 되었습니다. 영화를 통해 나도 모르게 윤동주 시인이 그리워졌고 그의 시에 매료되었습니다. ”
“젊은이의 목소리, 참혹한 죽음에 이르는 모습을 생각하며 몸서리가 쳐졌습니다. 영화를 보며 다시 그의 목소리가 되살아나는 듯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교토예술대학과 도시샤대학이 윤동주 시인을 소중히 생각하고 있는 사실에 감동하였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이러한 추모를 이어갔으면 합니다.”
이는 윤동주 다큐영화 <高原타카하라>를 보고 난 학생들의 감상문 가운데 일부다. 윤동주 다큐영화 <高原타카하라>를 만든 사람은 교토예술대학 영화학과 출신인 한국 유학생 손장희 감독이다. 손 감독은 해마다 교토예술대학의 윤동주 추모행사에 빠짐없이 참석했으나 올해는 개인 사정으로 추모행사에 참석하지 못한 대신 교토예술대학 홍보과로부터 행사 사진을 받아 기자에게 보내주면서 자신의 심정을 메일로 전해왔다.

“윤동주 시인의 하숙집이 있던 자리에 들어서 있는 교토예술대학을 다니면서 윤동주 시인을 잘 알지 못한 부끄러움에서 시작한 것이 다큐영화 <高原타카하라>입니다. 이 영화는 일본인 동기들과 함께 만든 것으로 영화를 만들면서 자신과 같은 입장의 유학생 신분이었던 윤동주에 대해 더욱 깊이 알게 되었습니다. 국적이 다르고 언어와 문화가 다르지만, 한일 두 나라 사람들은 윤동주 시인을 통해 과거와 현재를 이해하고 더 나아가 발전적인 미래를 열어 갈 수 있을 것이란 믿음을 갖고 있습니다.”
이날 다큐영화 상영은 오전 11시, 낮 1시 30분, 낮 3시 등 모두 3회 상영했다. 또한 교토예술대학 문예표현학과 나카무라 준(中村純) 교수는 학생들과 <새벽이 오기 전 어둠 속에서>이란 주제로 윤동주의 시 세계에 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특히 이번 세미나는 월간 시잡지인 《시와 사상(詩と思想)》 2024년 8월호에서 특집으로 다룬 '윤동주의 시가 있는 거리에서'를 중심으로 활발한 토론을 이어 나갔다고 손장희 감독은 현지 참석자들로부터의 소식을 전해주었다.

독립의 의지를 세계만방에 선언한 삼일절을 앞둔 2월 17일은 윤동주 시인이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순국한 날이다. 해마다 시인이 숨진 2월 17일을 앞뒤로 일본인들은 도쿄, 교토, 후쿠오카 등에서 추모의 마음을 이어가고 있다. 올해로 우리 곁을 떠난 지 어느덧 80년, 새삼 시인의 명복을 두 손 모아 빌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