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 공자는 정(鄭)나라의 음악을 미워했다
지난주 속풀이 17에서는 정악(과거 아악이라고 부르던 음악)과 민속악의 용어를 설명하면서 양자의 관계는 상하의 개념이나 우열의 대비를 나타내는 말이 아니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들은 음악적 환경이나 성격, 또는 표현방법에 따라 서로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으면서 한국 전통음악의 양대 산맥을 이루어 온 상대적 관계로 마치 자전거의 앞, 뒷바퀴와 같은 존재임을 설명하였다. 그렇다면, 보다 구체적으로 아악이란 무슨 말인가? 아악이란 말은 세 가지 의미가 있는 용어이다. 첫째는 아정(아담하고 바른)하고 고상한 음악이라는 의미, 둘째는 중국 고대의 음악으로 고려조에 들어온 이후 국가의 각종의식에 쓰였던 음악, 셋째는 궁중에서 연주되었던 아악, 당악, 향악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으로 아악이라 함은 세 번째 경우를 뜻하는 말이다. 과거 임금이 거처하던 궁궐 안에서는 중국 송나라에서 들어온 아악도, 당악도, 그리고 고려나 조선을 통해서 작사 작곡된 향악도 연주되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후, 국가 조정에서는 중국에서 들여 온 아악을 쓰지 못하게 되면서부터 자연스레 기존의 아악, 당악, 향악을 묶어 넓은 의미로 아악이라고 칭했던 것이다. 대궐 안의 음악이라는 뜻으로 <궁중음악>, 또는 대궐의 뜰에서 주로 연주되었다고 해서 <궁정음악>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러다가 대궐뿐이 아닌 상류사회의 음악까지를 통칭하는 이름으로 <정악>이라는 이름이 널리 통용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전통적인 궁중음악을 총칭하는 이름이 곧 아악이요 정악인 것이다. 공자가 정(鄭) 나라의 음악을 싫어했다는 말로 <오정성지난아악야-惡鄭聲之亂雅樂也>는 말이 있다. 오는 미워한다는 뜻이고, 정성은 정나라의 소리, 난은 어지럽히거나 흐려 놓는다는 뜻이며, 아악은 고상한 음악을 지칭하는 말이다. 공자가 정나라의 음악을 싫어했던 이유는 정나라의 음악이 아악을 어지럽히기 때문이었다는 것이다. 그렇다면, 공자가 좋아한 음악적 스타일은 어떤 형태의 음악일까? 유추해 보건대 그 음악은 템포가 빠르지 않고, 가락이 복잡하지 않으며 장식음이 거의 없는 간단하면서도 쉬운 음악이 아닐까 한다. 대악은 필이(大樂必易), 즉 큰 음악은 반드시 쉬운 음악이라는 말이 실감 나는 것이다. 12세기 초인 고려 예종 때, 중국 송나라에서는 많은 악기와 악보 등을 우리나라에 전해 주었다. 이것이 바로 대성아악이다. 이 음악은 고려조를 거쳐 조선까지 제사나 잔치 등 국가의 의식음악으로 써 오다가 1910년 경술국치 이후 각종 의식이 폐지됨에 따라 음악도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현재는 성균관 내에 공자를 제사하는 문묘에만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또 같은 예종 때에 당악이 들어왔는데 대부분이 가사를 노래하는 사악(詞樂)이었다. 이들 음악도 현재는 거의 다 없어지고 보허자와 낙양춘이라는 2곡이 남아 있을 뿐이다. 그러나 이 음악도 완전히 한국식으로 동화되어 버린 지 오래된다. 그러므로 과거 궁궐에서 연주되어 온 아악 일부와 당악의 일부 음악은 이 땅에서 낳고 자란 수많은 향악 속에 끼어 그 명맥을 유지해 왔던 것이다. 이들 음악을 통칭하는 이름이 곧 아악이고, 궁중음악이며 궁정음악이다. 현재는 이들 음악 외에 상류사회의 풍류를 포함하여 정악이란 이름으로 통칭되고 있다. 동의어로 이해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러한 음악들은 몇 가지 공통적인 특징을 지니고 있다. 대부분 옛문헌이나 고악보로 전해지고 있어 그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이고, 음악양식이 비교적 세련되어 있다는 점이며 그 표현 방법이 아정한 편이어서 연주자 스스로 감정을 최대한 절제하며 연주하는 음악이라는 점이다. 이에 비해 민속악은 구전심수(口傳心授), 즉 입으로 전해주고 마음으로 받는 형태의 음악이 대부분이란 점, 음악양식 또한 자유롭고 분방하다는 점, 그리고 희로애락의 감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기 때문에 표출력이 강한 음악이라는 점이 특징이 될 것이다. 여기서 잠시 조나단 컨디트(Jonathan. Condit) 교수의 논평으로 정악과 민속악의 차이를 짐작해 볼 수 있다. “한국 음악의 또 다른 특색을 지적한다면, 궁중 음악과 민속 음악의 풍부한 다양성에 있는 것이다. 다시 말해 광범위한 감정의 묘사가 있는 점이다. 궁중음악은 한없이 우아하고, 위엄 있고, 세련되고, 진진하며 아주 아름답다. 반면에 민속 음악은 정서적이고, 정열적이다. 궁중음악이 오랜 전통이 있듯이 민속음악 역시 뿌리 깊은 전통이 있다. 민속음악은 더 대중 속에 침투되어 있어 처음 들을 때 이해하기 쉽고, 반면에 궁중음악은 알게 되면 될수록 깊이와 참뜻을 이해할 수 있다. 예컨대 <수제천>과 같은 음악은 전형적인 궁중음악으로 음향자체도 매우 인상적이고 위엄 있으며 강렬하지만, 진미를 알려면 여러 번 들어야 한다.” |
|
외국인이면서도 한국음악을 너무도 좋아한 나머지 직접 한국에 와서 여러 해 동안 정악계열의 음악과 민속악 계열의 음악을 직접 배웠는가 하면, 명인 명창들의 무대를 빠짐없이 찾아다니며 폭넓은 음악경험을 한 사람이다. 그가 우리 음악의 양대 산맥이라 할 수 있는 아악과 민속악의 특징을 외국인으로서 위와 같이 명쾌하게 설명해 주고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