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장채승(長長彩繩) 그넷줄 휘느러진 벽도(碧桃)까지 휘휘 칭칭 감어 매고 섬섬옥수(纖纖玉手) 번듯 들어 양 그네줄을 갈라 잡고 선뜻 올라 발굴러 한번을 툭 구르니 앞이 번 듯 높았네 두 번을 구르니 뒤가 점점 멀었다. 머리 위에 푸른 버들은 올을 따라서 흔들 발 밑에 나는 티끌은 바람을 쫓아서 일어나고 해당화 그늘 속의 이리 가고 저리 갈 제" 판소리 춘향가 중에서 춘향이가 그네 타는 장면이다.
단오를 맞아 남성들은 씨름을 했고, 여성들은 그네를 즐겨 탔다. 또 여성들은 창포물에 머리를 감는 풍습이 있었다. 우리 민족은 예부터 설날, 한식,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즐겼지만 이제 그 명맥이 끊길 처지에 놓여 있다. 단오의 의미 단오는 단오절, 단옷날, 천중절(天中節), 포절(蒲節:창포의 날), 단양(端陽), 중오절(重午節, 重五節)이라고 불리기도 하며, 우리말로는 수릿날이라고 한다.
단오의 '단(端)'자는 첫번째를 뜻하고, '오(午)'는 다섯의 뜻으로 단오는 '초닷새'를 뜻한다. 중오는 오(五)의 수가 겹치는 5월 5일을 뜻하는 것으로 양기가 왕성한 날이라고 생각한다. 음양사상(陰陽思想)에 따르면 홀수(기수:奇數)를 '양(陽)의 수' 라 하고, 짝수(우수:隅數)를 '음(陰)의 수' 라 하여 '양의 수'를 길수(吉數:좋은 수)로 여겼다. 따라서 이 양의 수가 중복된 날은 명절로서 설(1월 1일)·삼짇날(3월 3일)·칠석(7월 7일)·중구(9월 9일) 등이 있다.
조선 후기에 간행된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 5월조의 기록에 보면 우리말 이름 수릿날은 이 날 쑥떡을 해 먹는데, 쑥떡의 모양이 수레바퀴처럼 만들어졌기 때문에 '수리'란 명칭이 붙었다고 한다. 또 수리란 고(高)·상(上)·신(神) 등을 의미하는 우리의 고어(古語)인데, '신의 날', '최고의 날'이란 뜻에서 불리워졌다고도 하며, 또 모함을 받은 중국 초(楚)나라 굴원(屈原)이 지조를 보이기 위해서 수뢰(水瀨:급류)에 빠져 죽었다는데 이 날을 기려 제사를 지냈다 하여 수릿날이라 부르게 되었다는 설도 있다.
농가의 부녀자들은 '단오장(端午粧:단오날의 화장)'이라 하여 창포뿌리를 잘라 비녀로 만들어 머리에 꽂아 두통과 재액(災厄)을 막고, 창포를 삶은 물에 머리를 감아 윤기를 냈다. 또 단오날 새벽 상추잎에 맺힌 이슬을 받아 분을 개어 얼굴에 바르면 버짐이 피지 않고 피부가 고와진다고 생각했다. 남자들은 단오날 창포뿌리를 허리에 차고 다니는데, '귀신을 물리친다(벽사: 邪)'는 믿음을 가졌었다.
단오날 중에서도 오시(午時:오전 11시∼오후 1시)가 가장 양기가 왕성한 시각으로 생각하여 농가에서는 약쑥, 익모초, 찔레꽃 등을 따서 말려둔다. 오시에 뜯은 약쑥을 다발로 묶어서 대문 옆에 세워두면 재액을 물리친다고 믿었다. 창포주(창포로 담근 술) 등의 약주를 마셔 재액을 예방하려 하였다.
또 음력 5월은 무더위가 시작되는 무렵이어서 올해도 더위를 타지 말고 건강하라는 뜻으로 부채를 선물하기도 했다. 또 "대추나무 시집 보내기"해서 단오날 정오에 대추나무 가지를 치거나 가지 사이에 돌을 끼워 놓아 더 많은 열매가 열리기를 기원하는 풍습도 있었다. 단오의 시절음식으로는 수리떡과 약떡이 있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의하면 "이 날은 쑥잎을 따다가 찌고 멥쌀 가루 속에 넣어 반죽을 하여 초록색이 나도록 하여 이것으로 떡을 만든다. 그리고 수레바퀴 모양으로 빚어서 먹는다"라는 풍속이 전한다. 이것이 바로 수리떡이다.
약떡은 전라남도 지역에서 전하는 시절음식이다. 5월 4일 밤이슬을 맞혀 두었던 여러 가지 풀을 가지고 단오날 아침에 떡을 해 먹는데, 이를 약떡이라고 한다.
앵두가 제철인 단오 무렵이면 앵두화채를 만들어 먹는다. 또 이 날은 새 쑥을 넣어 만든 떡으로 차례를 지내는 것이 관습이다.
단오의 대표적인 놀이로는 그네뛰기와 씨름이다. 그네뛰기는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듯 하며, 추천놀이라고도 한다. 조선 후기의 화가 신윤복의 '단오풍정'에 부녀자들이 그네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네뛰기를 대대적으로 할 때는 큰 통나무를 양쪽에 세우고, 그 위에 통나무를 가로질러 묶은 다음 그네줄을 메는 '땅그네'로 했다. 종목은 '높이뛰기', '방울차기(그네 앞에 장대를 세우고, 장대에 방울을 달아놓아 발로 차도록 하는 것)', '쌍그네뛰기(두 사람이 마주 올라타고 뛰는 그네)' 등이 있었다.
씨름은 몽고, 중국, 일본은 물론 서양에도 있는데 이름이 비슷한 것으로 보아 중궁이나 몽고에서 전래되었다는 설이 있다. 다른 설로 '씨'는 남자의 성씨 밑에 붙는 존칭어이고, '름'은 '겨룸'의 '룸'에서 왔다고 보기도 한다. 또 경상도 지방에서 서로 버티고 힘을 겨루는 것을 '씨룬다'고 하는데 이것이 명사화되었다는 설도 있다. 씨름의 종류에는 '왼씨름', '오른씨름', '띠씨름' 등의 세 가지가 있다.
오른손으로 상대방의 허리를 쥐고 왼손으로 상대방의 샅바를 잡는 데 이것을 바른 씨름(오른 씨름)이라고 하며, 경기도와 전라도 지방에서 주로 했다. 손잡는 것이 반대인 것을 왼씨름이라고 하는데 함경, 평안, 황해, 경상, 강원도 등에서 했고, 띠씨름은 허리에다 띠를 매어 그것을 잡고 하는 씨름인데 '허리씨름'또는 '통씨름'으로도 불리었으며, 주로 충청도에서 했다. 이렇게 따로 치르던 씨름은 1931년 제 2회 전 조선 씨름 대회부터 〈왼씨름〉한가지로 통일되었다. 따라서 현재 〈대한 씨름 협회〉가 주관하는 모든 씨름 경기와 각 학교에서 가르치는 씨름은 〈왼씨름〉이다.
씨름 기술은 크게 공격 기술인 '메치기(둘러메어서 바닥에 내리치는 기술)'와 방어 기술인 ' 되치기(상대방이 기술을 걸어왔을 때 움직임을 그대로 되받아 메치는 기술)'로 나누어지는데 세부적인 기술로는 앞무릎치기, 뒷무릎치기, 오금채기, 옆무릎치기, 잡치기, 꼭뒤집기, 등샅바잡아채기 등이 있다.
씨름판이라 하여 주로 백사장의 원형판에서 이루어졌으며, 우승자에게 황소를 상으로 주는 것이 관례였다. 우리나라는 예로부터 단오절에 '단오제'나 '단오굿' 등의 행사를 가졌었다. 그러던 것이 일본 제국주의의 문화 말살정책과 한말 개화기 이후 들어온 신파연극이나 영화 등에 밀려 현재는 거의 사라졌다. 강원도 강릉지방의 강릉단오굿, 법성포 단오제 등이 현재 겨우 명맥을 잇고 있다.
연합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북한은 해마다 단오를 민속명절이라 하여 휴식일로 정하고 하루를 쉬게 하고 있다고 한다. 또 전국 각지에서 그네타기, 씨름, 널뛰기, 윷놀이, 봉산탈춤 등 민속놀이와 체육오락행사를 갖는다. 이제 단오란 말도 잊혀져 가고 있으며, 단오행사도 거의 맥이 끊길 시점에 왔지만 단오가 갖는 의미를 새롭게 조명할 필요가 있지 않을까? 주변의 가까운 이들에게 부채를 선물하여, 정을 나누고, 에너지도 절약하는 지혜를 실천해 보면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