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8 (화)

  • 구름조금동두천 16.1℃
  • 맑음강릉 19.3℃
  • 맑음서울 14.6℃
  • 맑음대전 17.9℃
  • 맑음대구 21.5℃
  • 맑음울산 21.7℃
  • 맑음광주 18.6℃
  • 맑음부산 19.3℃
  • 맑음고창 17.0℃
  • 맑음제주 22.6℃
  • 맑음강화 12.9℃
  • 맑음보은 16.7℃
  • 맑음금산 17.2℃
  • 맑음강진군 18.0℃
  • 맑음경주시 22.7℃
  • 맑음거제 19.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살림살이

경칩(驚蟄)에 생각해보는 봄의 의미

경칩은 음력으로는 2월 절기이며, 24절기의 셋째이다. 양력 3월 6일경으로 해의 황경이 345도이고, 우수(雨水)와 춘분 사이에 있다. 봄이 되어 겨울잠을 자던 동물들이 깨어난다고 하여 계칩(啓蟄)이라고도 하는데, 풀과 나무에 물이 오르고, 겨울잠을 자던 동물, 벌레들도 잠에서 깨어나 꿈틀거리기 시작한다는 뜻에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다. 경칩에는 개구리 알을 먹으면 허리 아픈 데 좋고 몸에 좋다고 해서 이날 개구리 알 찾기가 혈안이 되기도 한다. 지방에 따라선 도룡뇽 알을 건져 먹기도 한다. 단풍나무나 고로쇠나무에서 나오는 즙을 마시면 위병이나 성병에 효과가 있다고 해서 약으로 먹는 지방도 있다. 흙일(토역:土役)을 하면 탈이 없다고 해서 이날 담벽을 바르거나 담장을 쌓는다. 경칩 때 벽을 바르면 빈대가 없어진다고 해서 일부러 흙벽을 바르는 지방도 있다고 한다. 빈대가 심한 집에서는 물에 재를 타서 그릇에 담아 방 네 귀퉁이에 놓아두면 빈대가 없어진다는 속설이 전한다. 경칩날에 보리 싹의 자람을 보아 그해 농사가 풍년이 들 것인지 점치기도 한다. 옛날에는 경칩날 젊은 남녀들이 서로 사랑을 확인하는 징표로써 은행씨앗을 선물로 주고받으며, 은밀히 은행을 나누어 먹는 풍습도 있었다 한다. 이날 날이 어두워지면 동구 밖에 있는 수 나무 암 나무를 도는 사랑놀이로 정을 다지기도 했다고 전해진다. 그래서 경칩은 정월대보름, 칠월칠석과 함께 토종 연인의 날이라고 한다. 봄의 어원과 그 의미 우리말 '봄'의 어원에 대해서 두 가지 설이 있다. 그 한 가지는 불의 옛말 '블'(火)과 오다의 명사형 '옴'(來)이 합해져서 '블+옴'에서 'ㄹ'받침이 떨어져 나가면서 '봄'이 된 것으로 보아 우리말 봄의 의미로 따뜻한 불의 온기가 다가옴을 가리킨다고 말한다. 한편으로 우리말 봄은 보다(見)라는 말의 명사형 '봄'에서 온 것이라고 보기도 한다. 우수를 지나 봄이 오면서 겨우내 얼어붙었던 땅에 생명의 힘이 솟아 풀과 나무에 물이 오르고, 꽃이 피며, 동물들도 활기찬 움직임을 하는 것들을 '새로 본다'는 뜻인 ‘새봄’의 준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한자말인 춘(春)은 원래 뽕나무 상(桑) 자와 해를 뜻하는 '날' 일(日)자의 두 상형문자를 합한 회의문자(會意文字)이다. 이것을 풀어보면 봄을 가리키는 한자 춘(春)은 따사한 봄 햇살을 받아 뽕나무의 여린 새움이 힘차게 돋아나오는 때를 뜻하는 것으로 본다. 영어로 봄을 뜻하는 'spring'은 원래 돌틈 사이에서 맑은 물이 솟아 나오는 옹달샘을 뜻하는 말이다. 그래서 풀과 나무의 새움이 땅을 뚫고 솟아나오고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도 뛰쳐나오는 때라고 하여 봄을 뜻하는 말이 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봄의 절기 중에 얼음을 녹이는 봄비가 내린다는 뜻의 우수(雨水)와 얼음이 녹아 깨져 나가는 소리에 놀라 겨울잠에서 개구리도 깨어나 뛰쳐나온다는 뜻을 담은 경칩(驚蟄)이 이러한 중국의 '춘(春)'이나 서양의 'spring'과 뜻이 같다는 것은 어쩌면 자연스런 일인지도 모른다. 그런데 여기에서 ‘봄’, 춘(春), ‘spring'의 차이를 최창렬 님의 '꽃샘과 봄의 의미'란 글을 토대로 견주어 보자. 뽕나무 새순이 돋는다는 뜻의 한자 '춘(春)'이나, 삼라만상의 생기가 새로 솟아올라 온다는 뜻을 담은 영어의 'Spring'이 모두 자연이 주체가 되어 솟아오른다는 자연 중심의 이름에 비하여, 우리말 '봄'은 사람이 주체가 되어 대자연의 움 돋는 생기를 새롭게 본다는 인간 중심의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말 이름의 깊이를 다시 한번 확인해 볼 수 있다. 춘설(春雪) - 정지용 문 열자 선뜻! 먼 산이 이마에 차라 우수절(雨水節) 들어 바로 초하로 아츰, 새삼스레 눈이 덮힌 뫼뿌리와 서늘옵고 빛난 이마받이 하다. 어름 글가고 바람 새로 따르거니 흰 옷고롬 절로 향긔롭어라. 웅숭거리고 살어난 양이 아아 끔 같기에 설어라. 미나리 파릇한 새 순 돋고 옴짓 아니긔던 고기입이 오믈거리는, 꽃 피기전 철아닌 눈에 핫옷 벗고 도로 칩고 싶어라. 이 시를 이어령 선생은 다음과 같은 분석을 한다. "얼음이 금가고, 파릇한 미나리의 새순이 돋고, 물밑에서 꼼짝도 않던 고기입이 오물거리는 그 섬세한 봄의 생동감을 느끼려면, 그리고 겨울과 봄의 그 미세한 차이를 알아내려면 ‘이마의 추위’(꽃샘추위)가 필요한 것이다. 왜냐하면 활짝 열린 봄의 생명감은 <웅숭거리고 살아온 겨울의 서러운 삶>을 통해서만 서로 감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니까 봄눈이야말로 겨울과 봄을 동시에 바라볼 수 있게 하고, 체험할 수 있게 하고, 끝내는 새로운 시간과 공간의 그 차이를 보여주는 <놀라움>이 되는 것이다. 봄의 시는 꽃 속에 있는 것이 아니다. 지용의 상상력에 의하면 그것은 봄눈에 덮인 서늘한 뫼뿌리에 혹은 얼음이 녹아 금이 간 그 좁은 틈에 있다." 정지용 시인의 '춘설'이라는 아름다운 시와 또 이 시의 아름다움을 깊이있는 분석으로 더해준 이어령 선생의 글을 읽으면서 새봄의 의미를 깊이 새겨보는 슬기로움이 우리에게 있을 터이다. 우리는 우수와 경칩을 맞으며 '웅숭거리고 살아온 겨울의 서러운 삶'이 존재했을 때 봄이라는 환한 새로움을 얻을 수 있음을 다시 한번 생각해 보았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