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9 (수)

  • 흐림동두천 14.7℃
  • 구름많음강릉 14.4℃
  • 흐림서울 13.9℃
  • 구름많음대전 14.7℃
  • 구름많음대구 13.9℃
  • 구름많음울산 15.5℃
  • 구름조금광주 16.0℃
  • 맑음부산 17.6℃
  • 구름조금고창 16.2℃
  • 구름조금제주 18.5℃
  • 흐림강화 11.9℃
  • 구름많음보은 14.2℃
  • 구름많음금산 13.2℃
  • 맑음강진군 16.4℃
  • 구름많음경주시 14.6℃
  • 맑음거제 15.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살림살이

발등에 오줌 쌀 만큼 바쁜 망종(芒種)

망종은 24절기의 아홉 번째로 음력 4, 5월, 양력 6월 6~7일 무렵이 된다. 소만과 하지 사이에 들며 해의 황경(黃經)이 75도일 때이다. 벼, 보리 등 수염이 있는 까끄라기(芒) 곡식의 종자(種)를 뿌려야 할 적당한 때라는 뜻이다. 옛 사람들은 역시 망종 때 초후(初候)에는 사마귀가 생기고, 중후(中候)에는 왜가리가 울기 시작하며, 말후(末候)에는 지빠귀가 울음을 멈춘다 하였다. 농사력에서는 보리베기와 모내기를 하는 시기이다. 그래서 속담에 "보리는 익어서 먹게 되고 볏모는 자라서 심게 되니 망종이오."라는 속담이 있다. "보리는 망종 전에 베라"는 속담도 있는데 망종을 넘기면 보릿대가 꺾어지거나 부러지고 바람에도 넘어갈 염려가 있으며, 망종까지는 모두 베어야만 논에 벼를 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남쪽에서는 '발등에 오줌 싼다'고 할 만큼 한 해 가운데 가장 바쁜 때였다. 전남지방에서는 망종날을 '보리 그스름'이라 하는데 아직 남아있는 풋보리를 베어다 그스름을 해먹으면 이듬해 보리농사가 잘되어 곡물이 잘 여물며 그 해 보리밥도 달게 먹을 수 있다고 믿었다. 또 이날 보리를 밤이슬에 맞혔다가 그 다음 날 먹는 곳도 있었다. 망종이 빠른 날짜에 오는지 늦게 오는지에 따라 그 해 농사의 풍흉을 점치는데 이를 '망종보기'라 한다. 음력 4월 안에 망종이 들면 보리농사가 잘되어 빨리 거두어들일 수 있으나 5월에 망종이 들면 그 해 보리농사가 늦게 되어 다음해 망종 안에 보리 수확을 할 수 없게 된다고 생각했다. 전남, 충남, 제주도에서는 망종날 하늘에서 천둥이 요란하게 치면, 그 해 농사가 시원치 않고 불길하다고 한다. 경상남도 섬 지방에서는 망종이 늦게 들어도 빨리 들어도 안 좋으며 중간에 들어야 시절이 좋다고 믿었다. 특히 음력 4월 중순에 들어야 좋다고 생각했다. 망종날 풋보리 이삭을 뜯어 와서 손으로 비벼 보리알을 만든 뒤 솥에 볶아서 맷돌에 갈아 채로 쳐 그 보릿가루로 죽을 끓여 먹는 풍습이 있는데 이렇게 하면 여름에 보리밥을 먹어도 배탈이 나지 않는다는 믿음에서였다고 한다. 제주도 지역에서는 망종이 일찍 들면 그 해 보리가 좋고 늦게 들면 보리가 좋지 않다고 하며 또 이날 우박이 내리면 시절이 좋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