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5 (토)

  • 흐림동두천 8.1℃
  • 맑음강릉 9.1℃
  • 서울 9.3℃
  • 흐림대전 8.5℃
  • 구름많음대구 9.4℃
  • 구름조금울산 8.4℃
  • 흐림광주 10.4℃
  • 구름많음부산 10.3℃
  • 흐림고창 9.2℃
  • 흐림제주 10.4℃
  • 흐림강화 6.7℃
  • 구름많음보은 5.5℃
  • 흐림금산 6.8℃
  • 흐림강진군 9.6℃
  • 구름많음경주시 6.2℃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살림살이

가장 더위가 심해지는 때, 대서(大署)

대서는 24절기의 열두 번째로 음력으로는 6월 중, 양력으로는 7월 23일 무렵이다. 해의 황경(黃經)이 120도에 이르며, 한 해 가운데 가장 더운 때라고 큰 더위라는 뜻의 대서(大暑)라 불렀다. 옛 사람들은 대서 기간 중 초후에는 썩은 풀이 변해서 반딧불이 되고, 중후에는 흙이 습하고 무더워지며, 말후에는 때때로 큰비가 내린다고 하였다. 대개 중복(中伏) 때이고 장마가 끝나며 더위가 가장 심해지는 때이다. 천둥과 번개가 대단하고 소나기가 무섭게 쏟아지기도 한다. 한차례 소나기가 내리면 잠시 더위를 식히기도 하나 다시 뙤약볕이 더위를 먹게 한다. 이때 뙤약볕에서 땀 흘려 농사짓는 농부들은 솔개가 드리울 정도의 작은 그림자 솔개그늘이 정말 반갑기만 하다. 소나기가 온 뒤의 마당에 미꾸라지들이 떨어져 버둥거리기도 한다. 빗줄기 타고 하늘로 치솟았다가 땅으로 떨어진 것인데 추어탕을 해먹으면 기운이 난다고 한다. 대서 때 참외나 수박 등 과일이 풍성하고, 가장 맛이 있다. 햇밀과 보리를 먹게 되며, 채소가 풍성하고, 산천의 푸르름이 한층 짙어진다. 장마 때에는 과일이 무맛이 되는 반면 가물었을 때는 과실 맛이 매우 달다. 이제 더운 여름을 맞아 땀을 많이 흘려야 한다. 그러나 그 땀이 보람 있는 땀이라면 좋겠다. 그저 흘리는 것보다는 뭔가 의미있는 일을 하면서 땀을 흘린다면 올해는 값지고 건강한 한 해가 되지 않을까? 그런 뜻에서 문화답사를 계획하고, 실천해보면 보람이 있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