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6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항일독립운동

무등산 소녀회로 왜경을 떨게 한 ‘박옥련’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무등산 소녀회로 왜경을 떨게 한 ‘박옥련’

                                      이윤옥


무등산 푸른 정기

누천년 흐르는 땅
 

청운의 꿈동산에
어린 소녀 불러 모아
 

아픈 조국의 상처 매만지며
민족의 새살 돋게 한 임이시여
 

꿈 많은 열여섯 소녀
차디찬 감옥에서
모진 박해 견디며

독립의 끈 놓지 않았던

임은
티 없이 맑고
강한 소녀였어라
 

   

   
▲ 증손자와 다정한 한때(증손녀 한서인, 규일과 1997년 2월 8일 설날)


박옥련(朴玉連, 1914.12.12~ 2004.11.21)애국지사

     “형님이 돌아가시고 제가 어머니를 4년간 모셨습니다. 어머니는 돌아가시기 전날까지 앓아누우시지 않고 잠자듯이 운명하셨습니다. 제가 어머니를 많이 닮았다고 해요” 박옥련 애국지사의 차남 한상철(79살) 씨는 고양시 중산마을 집으로 찾아간 글쓴이에게 이렇게 운을 떼었다.
 
“어머니는 독립운동에 대해 그다지 많은 말씀은 안 해주셨습니다. 다만 감옥에 끌려가셔서 고통을 받으셨다는 말씀은 조금 하셨습니다.” 차분한 목소리로 어머니를 회상하는 아드님의 모습은 꾸미지 않은 겸손함 그 자체였다. 박옥련 애국지사를 살아생전 뵙지는 못했지만 왠지 당신을 많이 닮은 아드님을 뵙는 순간 가슴이 뭉클함을 느꼈다. 돌아가시기 전에 좀 더 일찍 찾아 나섰다면 하는 마음에 가슴이 저렸다. 박옥련 애국지사는 슬하에 2남 1녀를 두었으며 한상철 씨는 차남이다.

 박옥련 애국지사는 전남 광주에서 태어났다. 당시 광주농업학교 1회 졸업생이었던 아버지는 ‘여자도 남자와 동등하게 공부를 해야 한다’는 생각으로 딸을 광주여고보(현, 전남여고)에 입학 시켰다. 광주여고보 1회로 입학한 박옥련 애국지사는 15살 되던 해인 1928년 11월, 장매성·장경례· 암성금자· 박계남· 고순례 등과 함께 조국의 독립과 여성해방을 목표로 항일학생결사조직인 소녀회(少女會)를 결성하였다.

이들 당찬 소녀들은 맨 처음 장매성 친구의 집에서 만나 소녀회 모임을 구상했으나 들킬 위험이 커 나중에는 전남사범학교 뒤뜰에서 만났고 삼엄한 감시 속에서도 매월 1회 월례연구회를 통하여 항일의식을 드높였다.한편 이들은 성진회(醒進會)의 항일정신을 계승하고 광주학생의 항일운동을 조직적으로 펼치기 위해 1929년 6월에 결성된 독서회 본부와도 연락을 갖고 활동하였다.

그리하여 독서회가 독서회원의 친목단결 및 재정활동 지원을 위해 학생소비조합을 조직할 때 각 학교 독서회 및 학생들로부터 자본금을 출자하게 했는데 이때 광주여고보에서는 소녀회가 주동이 되어 자본금 30원을 출자하였다.또한 1929년 11월 3일, 광주학생독립만세운동 때에는 소녀회가 앞장서서 가두시위를 이끌었으며 시위 때 다친 부상학생을 치료하는 한편 식수를 공급하고 돌멩이를 날라다 주는 등
남학생들의 가두시위를 도왔다.
 
당시 왜경은 시위 주동 학생을 붙잡기 위해 등에 분필로 동그라미를 표시했는데 소녀회 회원들이 물수건을 준비하여 시위학생의 등에 그린 분필을 닦아주면서 광주역과 공원 등에 모여 항일 투쟁 현장을 뒤따랐다.

 이러한 적극적인 소녀회 활동은 곧 왜경에 들켰고 박옥련 애국지사는 1930년 1월 15일에 잡혀, 1930년 10월 광주지방법원에서 이른바 치안유지법 위반으로 징역 1년, 집행유예 5년형을 언도받았다. 박옥련 애국지사는 옥중생활에 대해 “결코 나는 장한 일을 한 것이 아니다. 미결기간 동안 옥중생활은 후일 내게 큰 교훈이 되었다. 그때의 고통은 이루 말할 수가 없다. 참으로 일제에 나라를 빼앗긴 일은 민족의 불행한 일이었다”고 증언했다.

 정부에서는 그의 공훈을 기리기 위하여 1990년에 건국훈장 애족장(1983년 대통령표창)을 수여하였다.

 *여성독립운동가에 대한 더 많은 이야기는 <서간도에 들꽃 피다> 1-4권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