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의열투쟁의 선봉장 이성구 선생은 1919년 3.1운동 당시 선천면사무소 방화사건을 주도하여 징역 10년 형을 받았고, 병인의용대 소속으로 상해 일본영사관에 2차례 폭탄을 투척하여 징역 7년을 선고받고 경성감옥에서 옥고 중 순국하였다.
선생은 1896년 평안북도 선천군 수청면 고동읍에서 태어났다. 독립운동 기간 중 이수봉이라는 이름으로 더 잘 알려진 선생은 이밖에도 이동농, 또는 김동농이라는 이명을 사용하며 일제의 간담을 서늘하게 하는 의열투쟁을 전개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전국적으로 전개될 때 선생은 선천읍에 있던 선천면사무소 공격 방화사건을 주도하였다. 보안법위반 및 방화소요죄로 징역 10년의 판결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일제의 고문과 가혹행위로 병보석을 얻어 1923년 5월 형집행정지 석방되자 선생은 이를 이용하여 중국 상하이로 망명하였다.
망명 후 1923년 9월 상해 독립신문사에 입사한 선생은 2년 여 동안 식자공으로 근무하면서 독립운동 상황을 살피고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다가 마침내 의열투쟁의 선봉에서 일제에 항거하기로 결심하고 1926년 1월 병인의용대에 참여하였다.
1926년 병인의용대에서는 세 차례 상해 일본총영사관 폭파를 단행하였다. 상해주재 일본 총영사관은 독립운동 세력에게는 증오의 대상이었다.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그곳에서 모진 학대와 고문 등 가혹행위를 받았고, 재판도 받지 못한 채 숨을 거두는 경우도 있었다.
선생은 강창제, 김창근 등 대원과 함께 시한폭탄을 영사관으로 투척하였다. 이로 인해 창고가 파괴되었고 일경 2명이 중상을 입었다. 그 후 선생은 1929년 1월 한국노병회 특별회원으로 가입하여 임시정부 후원활동을 전개하였다.
1930년 6월 상해 한국독립당에 가입 후 기관지인《상해한문》의 기자로 활동하던 선생은 1932년 10월 이봉창의사가 일본에서 순국하자 애도의 글을 실어 배포 하는 등 지속적인 활동을 전개해 나갔고, 윤봉길의사의 홍구공원 의거 후 독립운동가에 대한 대대적인 검거와 수색이 진행되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상해 한인친우회 위원장 유인발을 저격하는 등 일제의 침략통치에 적극 항거하였다.
그러나 일제의 계속되는 단속과 검거로 인하여 결국 1933년 10월 12일 프랑스 조계에서 체포되었고 이듬해 3월 신의주지방법원에서 징역 7년의 형을 받고 옥고를 치르던 중 옥중 순국하였다.
정부에서는 1968년 선생을 건국훈장 독립장에 추서하였으며 국가보훈처는 광복회, 독립기념관과 공동으로 이성구 선생을 2013년 10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였다.
<출처:국가보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