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6월 16일 언론은 이렇게 83살의 정주영 회장이 트럭 50대에 500마리의 소떼를 싣고 판문점을 넘었다고 보도했다. 이날 오전 임진각에서 정주영 회장은 “이번 방문이 남북 간의 화해와 평화를 이루는 초석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대한다”고 그 소회를 밝힌 바 있다. 정주영 회장의 소떼 방북은 이후 10여년간 비약적으로 발전하게 될 남북 민간교류의 물꼬를 트는 기념비적 사건이었다."
지난 5월 9일 나는 <새롭게 보는 한국경제 거목 정주영> 연재를 이렇게 시작했다. 정주영, 그는 실향민으로 세계적인 기업을 이룬 최고경영자가 되었다. 그는 17살 때 현재 북한지역인 강원도 통천군 아산리의 고향집에서 아버지가 소 판 돈 70원을 몰래 들고 가출했는데 그의 나이 83살이 되던 1998년 6월 16일 소떼 500마리를 몰고 판문점을 넘어 방북하게 된 것이다.
정주영 회장은 소떼 방북을 위해 이미 1992년부터 자신의 서산농장에 소 150마리를 사 방목하도록 했고, 소떼 방북 당시 충남 서산시 부석면 창리 간척지에 만들어진 현대서산농장 70만 평의 초원에 3000여 마리의 소들이 방목되고 있었다. 1998년 6월 16일 적십자사 마크를 단 흰색 트럭 수십대에 실린 북한에 줄 소 1차분 500마리가 판문점을 넘었다. 그리고 정주영 회장은 판문점 중립국 감독위원회 회의실을 지나 도보로 군사분계선을 넘었다. 넉 달 뒤 또다시 501마리의 소떼는 판문점을 넘었다.
당시 소떼 방북 장면은 CNN에 생중계되었으며 외신들도 분단국가인 남북한의 휴전선이 개방되었다고 앞다투어 보도할 정도였다. 그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미래학자이며 문명비평가인 기소르망은 이를 두고 “20세기 최후의 전위예술”이라고 극찬했다. 특별히 광고비를 들이지 않고 전 세계에 한국을 알린 대단한 일을 그는 해낸 것이다. 이렇게 세계를 깜짝 놀라게 한 정주영. 그를 한마디로 “통일소의 영웅”이라고 불러도 되지 않을까?
그렇게 통일소의 영웅이 된 정주영은 단 한 번 대통령선거에서 실패를 했지만 그의 전 생애를 두고 오로지 뚝심으로 밀어붙여 성공 또 성공한 “생각하는 불도저”였다. 아우는 물론 모두가 반대했던 건설업 진출, 아무도 상상하지 못했던 20세기 최대의 공사 주베일항(港) 공사의 성공, 망신만 당하지 말라던 올림픽 유치, 꽁지 빠진 닭 모양의 자동차 포니의 성공. 그런 성공들은 그저 운 좋은 정주영의 성공이 아니라 끝없이 뼈를 깎는 노력을 한 덕분이었다. 중동에 깃발 꽂기 위해 일꾼들과 한솥밥 야영생활을 마다하지 않았으며, '아들뻘' 되는 젊은 과학자에게 머리 숙이기를 주저하지 않고, ‘봉이 김선달’보다 더한 배짱은 물론 서슬 퍼런 신군부 날선 칼날 앞에서도 꿋꿋했기에 그 모든 것이 가능했을 것이다. 또 학력이래야 소학교 중퇴가 전부인 정주영이었지만 그는 늘 옥스퍼드대학교 경제학 박사학위를 받았다는 자신감으로 밀어붙였다.
"20세기 최후의 전위예술"
미래학자 기소르망도 극찬
그간 살펴본 정주영 회장의 이야기 가운데는 “일자 손금” 이야기도 나왔다. 한자말로는 수상(手相)인 “손금”은 관상술(觀相術) 가운데 팔‧손‧손가락‧손톱 따위 생김새나 길고 짧음‧살집‧혈색‧빛깔 등과 손바닥의 무늬(掌紋)와 손금의 모양‧점‧지문(指紋) 따위를 관찰하여 그 사람의 성격은 물론 과거와 현재를 판단하고 그것으로 미래를 예측하여 앞으로의 생활에 대처케 하려는 방법을 말한다.
그런데 정주영 회장의 손금이 일반인들과 달리 선명한 일자(一字)손금이었다. 일자 손금은 원숭이 손금 또는 막쥔손금이라고도 하는데 1000명 가운데 한 명 정도가 나타난다고 하며, 이런 일자 손금을 가진 사람은 아이디어가 넘치고 대쪽 같은 성격을 가진 사람이 대부분이라고 한다. 일 할 때는 확실하게 하고, 100이면 100 모두 손에 쥘 수 있다고 하여 “백악”이라고 부른다. 그래서 정주영 회장은 승승장구 성공할 운을 타고 났는지 모른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그러나 정주영 회장의 진가는 뜻밖에 돈 벌기보다는 슬기롭게 쓸 줄 아는 데 있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1975년 10월 정부는 기업공개 대상업체 105개를 뽑아 발표한 뒤 공개를 종용했다. 당시 여론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를 바라면서 공개를 촉구하고 있었다. 그런 가운데 대한민국에서 가장 수익률이 높은 곳으로 알려진 현대건설이 기업공개를 하지 않는 것에 대한 비난 여론이 들끓었다. 그러나 정주영은 현대건설을 공개할 생각이 추호도 없었다.
그는 “주식을 과연 누가 살 것인가? 살 능력이 없는 가난한 이들은 꿈도 꾸지 못할 것이다. 결국 소수의 주식 살 능력이 있는 또 다른 부자들이 주식을 사서 배를 불리는 건 아닐까? 현대건설이 돈을 벌어 그들 또 다른 부자들을 먹여 살릴 필요는 없다. 차라리 사회복지재단을 만들어 더 많은 어려운 이들에게 그 혜택이 돌아가는 것이 내 철학에 맞는 일이다. 특히 가난한 이들일수록 병으로 고생하는 이들도 많다. 그리고 돈이 없어 병 치료를 포기하고 죽어가는 사람도 많을 것이다. 병치레 때문에 가난할 수밖에 없고 가난하기 때문에 치료를 제때 못 받아 더욱 아플 수밖에 없고, 계속 아프기에 더욱 가난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라고 생각했다.
나눔을 소중히 했던 기업인
이 시대 그의 정신이 더 빛난다
▲ 가난 구제 나라가 못하면 나 정주영이라도 해야된다.(그림 이무성 한국화가)
정주영은 1977년 7월 서산사회복지사업재단을 설립하면서 우선 3년 안에 병원이 없어 치료받기 어려운 지역인 정읍, 보성, 인제, 보령, 영덕 등 5곳에 현대식 종합병원을 세우고 의료시혜 사업을 해나가기로 못 박아 밝혔다. 그러나 사람들은 현대가 기업 공개를 피하려고 꼼수를 쓰는 것으로 생각하는 사람이 많았다.
하지만, 그해 9월 정읍을 시작으로 발족, 1년 안에 5곳 모두 병원의 기공식을 해냈다. 그런가 하면 대학교수 149명에게는 연구비와 지원금을, 해마다 1000명의 학생들에게는 장학금을 주었다. 그리고 불우한 장애인 등 어려운 이들을 위해 봉사하는 사업에 매년 3억원씩 도와주었다. 현대건설은 아산재단을 세울 만큼 재무구조가 탄탄하고 수익성이 좋았다. 그것은 정주영 회장을 비롯한 대주주들이 회사 창립 이래 배당금을 모두 받지 않고 회사에 쌓아 두었기 때문이었다. 역시 이 부분에서도 정주영의 분명한 철학을 읽을 수 있다.
“나의 분신이라 할 수 있는 현대건설의 견실한 재무구조를 바탕으로 어려운 이들에게 가능한 한 큰 도움을 주려는 것이 아산재단을 세운 목적이었다. 가난은 나라도 어찌하지 못한다 했지만 그렇다고 그들을 버려둘 수가 있는가? 나라가 못하면 기업이라도 그 한 부분을 해내는 것이 당연한 소치일 것이다. 현대가 돈을 벌어 부자가 됐다면 그것이 어찌 현대식구들만의 힘으로 꾸려진 일이겠는가? 그 밑바탕에는 음으로 양으로 지원해준 국민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따라서 현대건설의 부 가운데 일부를 현대아산재단을 통해 국민에게 되돌려 주는 것이야말로 나 정주영에게 지워진 하늘의 명령이라고 생각한다.” 이것은 평생 정주영 회장이 간직한 소신이었다.
우리는 그간 35회에 걸쳐 정주영 회장의 삶을 찬찬히 살펴보았다. 2015년은 정주영 탄생 100돌(1915년 11월 25일 ~ 2001년 3월 21일)을 맞는 해다. 그가 태어나 살다간 한국의 지난 1세기는 그야말로 파란만장한 격동의 시대였다. 그런 가운데서도 정주영 그는 뚝심과 소처럼 우직함으로 “현대”라는 기업을 세계적인 기업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그를 두고 많은 사람들은 금세기에 한 명 나올까 말까한 탁월한 경제인이었다고 입을 모은다. 그의 일생을 더듬어 온 나 역시 거기에 한 표를 던지고 싶다. 더 나아가 정주영 그를 “통일을 염원하던 소떼 방북의 영웅”이라고 나는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