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12월 13일 자 JTBC에는 “요정으로 쓰던 일본식 가옥서 '한복 홍보' 촬영을?”이란 제목의 뉴스가 보도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부산시가 후원하고 부산섬유패션산업연합회가 만든 한복 홍보 영상이 일본식 건물인 적산가옥에서 촬영한 것이었는데 이곳은 해방 이후 '정란각'이라는 고급 요정으로도 쓰였던 곳이라는 뉴스였습니다. 주최 쪽은 “우리 문화의 일부고, 이런 곳에서도 한복이 더 빛났으면 좋겠다는 뜻에서 진행했다"라고 합니다. 하지만, SBS 보도를 보면 성신여대 서경덕 교수가 ”최근 중국이 한복을 자국의 전통문화로 편입시키려는 '한복 공정'을 꾸준히 펼치고 있는데, 이런 상황은 중국에 또 하나의 빌미를 제공하는 것"이라며 비판했습니다. 또한 누리꾼들은 "영상이 만들어지기까지 여러 단계를 거쳤을 텐데 아무도 문제의식이 없었다는 게 참 답답하다!"라고 했다고 합니다. 한복은 우리 겨레의 특징을 그대로 보여주는 뛰어난 문화입니다. 그런데 그렇게 찍을 데가 없어서 일본식 적산가옥에서 한복 홍보 영상을 찍는다는 말입니까? 저런 행위가 늘어난다면 서경덕 교수의 말마따나 중국의 ‘한복 공정’에 놀아나게 될 것입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동짓날 아침 - 최홍윤 날이면 날마다 새날이지만 내일부터는 진정 새날이겠다. 실은, 절기로 치면 동지 지나 낮 시간이 길어지는 첫날 바로 내일이 새해 첫날이 아닐까 싶다. 다음 주면 2022년 마지막 절기 동지가 있다. ‘동지(冬至)’는 24절기의 스물두째이며 명절로 지내기도 했던 날이다. 이날 가장 흔한 풍속으로는 팥죽을 쑤어 먹는 일이다. 그런데 동지가 동짓달 초승 곧 음력 초하루부터 열흘까지 사이에 들면 ‘애동지(애기동지)’라 하여 팥죽 대신 시루떡을 해 먹기도 하는데 요즈음은 이에 상관없이 팥죽을 쑤어 먹는다. 올해는 동지가 음력 11월 하순 곧 29일에 들어 노동지(老冬至)라 한다. 동지를 새해로 여기던 유풍 때문에 동지가 늦게 들면 여생이 얼마 남지 않은 노인들도 나이를 늦게 먹게 되니 그해가 노인들에게 좋다는 속설이 있다. 동지(冬至)라는 말은 드디어 겨울에 이르렀다는 뜻으로 해가 적도 아래 23.5°의 동지선 (남회귀선)과 황경 270°에 이르는 때며, 절기가 시작하는 날이기도 하다. 옛사람들은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다가 동짓날에 이른 다음 차츰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이날을 해가 죽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해바라기의 화가로 불리는 빈센트 반 고흐는 우리나라에서 가장 인기 있는 서양화가 가운데 한 사람입니다. 그런데 반고흐 자화상을 보면 귀 한쪽 없는 모습입니다. 그는 1888년 크리스마스이브에 신경과민으로 발작을 일으켜 귀의 일부를 잘랐다고 하지요. 그림을 잘 모르는 이들도 그런 고흐를 알고 있지만 우리나라에는 송곳으로 자기의 눈을 찔러 애꾸가 된 화원 최북이 있음을 아는 이는 많지 않습니다. 최북(崔北, 1712~86)은 높은 벼슬아치가 와서 그림을 그려달라고 윽박지르자 “차라리 나 자신을 자해할지언정 남에게 구속받아 그림을 그리지 않겠다.”라며 송곳으로 자기 눈을 찔러 애꾸가 되었습니다. 고흐와는 달리 최북은 본인의 확고한 의지를 가진 행위를 한 것이지요. 그렇게 꼿꼿한 정신으로 그림을 그렸던 그는 그림이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데도 그림값을 너무 많이 주면, 돈을 내던지며 비웃던 작가였습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는 최북이 그린 <소채도>가 있습니다. 붉은빛 무와 가지, 그리고 오이를 마치 정물화를 그리듯 배경 없이 그려낸 이 그림은 소박하면서도 친근한 느낌이 듭니다. 특별한 물건이 아닌 삶에서 흔히 보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12. 11.) KBS ‘진품명품’ 프로그램에는 세로로 긴 서예작품이 하나 출품되었습니다. 바로 고종 황제의 다섯째 아들 의친왕(義親王) 이강이 쓴 글씨입니다. 작품에는 의친왕이 아닌 ‘이강공(李堈公)’라고 쓰여 있어 고종황제 때 의친왕으로 책봉되었지만, 일본에 국권이 빼앗긴 뒤 왕이 아닌 ‘공(公)’으로 격이 낮춰졌음이 드러납니다. 그런데 의친왕은 조선 왕족 가운데 유일하게 항일운동에 참여한 인물입니다. 의친왕은 1919년 독립운동 단체인 ‘대동단(大同團)’의 전협(全協)ㆍ최익환(崔益煥) 등과 상해 임시정부로의 탈출을 모의하였으며, 계획을 실행에 옮기던 도중 그해 11월 만주 안동(安東)에서 일본 경찰에게 들켜 강제로 송환되었지요. 1919년 11월 20일 자 독립신문 기사에는 "의친왕 전하께서 상해로 오시던 길에 안동에서 적에게 잡히셨도다. 전하 일생의 불우에 동정하고 전하의 애국적 용기를 칭송하던 국민은 전하를 적의 손에서 구하지 못함을 슬퍼하고 통분하리로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의친왕은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에 보낸 편지에 “나는 차라리 자유 한국의 한 백성이 될지언정, 일본 정부의 친왕(일왕의 아들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11월 22일 ‘머니투데이’에는 “경매 올라온 '연애편지' 42통, 9억에 낙찰…누가 썼길래?”라는 제목의 기사가 올라왔다. CNN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의 유명 가수이자 작곡가, 시인인 밥 딜런이 고등학생 때 썼던 연애편지가 경매에서 66만 9,875달러(약 9억 원)에 낙찰됐다는 것이다. 우리 세대도 고등학생 시절 연애편지를 썼던 추억이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그런 연애편지가 있을 까닭이 없다. 다만, 부부 사이에 절절한 사랑을 주고받은 흔적인 편지가 지금 우리에게는 유물로 남아있다. 1998년 4월 14일 경북 안동에서는 이장하는 무덤에서 죽은 남편을 향해 애끓는 사랑과 비통함을 토하는 편지가 나왔다. 죽은 사람은 1586년 31살의 나이로 갑자기 죽은 이응태였는데 이응태의 아내 원이엄마가 쓴 “당신 언제나 나에게 ‘둘이 머리 하얘지도록 살다가 함께 죽자’라고 하셨지요. 그런데 어찌 나를 두고 당신 먼저 가십니까?”라는 편지가 나와 조선판 '사랑과 영혼'이라며 대단한 반향을 불러일으켰던 유물이 있다. 물론 조선시대에 그런 원이엄마가 쓴 애정편지류만 있는 것이 아니다. 전경목이 쓰고, 한국학중앙연구원 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그 겨울의 시 - 박노해 문풍지 우는 겨울밤이면 윗목 물그릇에 살얼음이 어는데 할머니는 이불 속에서 어린 나를 품어 안고 몇 번이고 혼잣말로 중얼거리시네 오늘 밤 장터의 거지들은 괜찮을랑가 소금창고 옆 문둥이는 얼어 죽지 않을랑가 뒷산에 노루, 토끼들은 굶어 죽지 않을랑가 아 나는 지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시낭송을 들으며 잠이 들곤 했었네 찬바람아 잠들어라 해야 해야 어서 떠라 한겨울 얇은 이불에도 추운 줄 모르고 왠지 슬픈 노래 속에 눈물을 훔치다가 눈산의 새끼노루처럼 잠이 들곤 했었네 우리 겨레는 더불어 사는 일에 익숙했다. 전해오는 얘기로는 예부터 가난한 사람이 양식이 떨어지면 새벽에 부잣집 문앞을 말끔히 쓸었다. 그러면 그 집 안주인이 아침에 일어나서 이를 보고 하인에게 “뉘 집 빗질 자국인가?”하고 물었다. 그런 다음 말없이 양식으로 쓸 쌀이나 보리를 하인을 시켜서 전해줬다는 얘기가 전한다. 그런가 하면 보릿고개에 양식이 떨어진 집의 아낙들은 산나물을 뜯어다가 잘 사는 집의 마당에 무작정 부려놓는다. 그러면 그 부잣집 안주인은 그에 대한 보답으로 곡식이나 소금ㆍ된장 따위를 이들에게 주었다. 물론 부잣집에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의 스물한째 ‘대설(大雪)’입니다. 한해 가운데 눈이 가장 많이 온다고 하여 대설이지만, 원래 24절기의 기준점 중국 화북지방과 우리나라는 지역이 달라서 꼭 이때 눈이 많이 오지는 않습니다. 김광균 시인은 “설야(雪夜)”라는 시에서 눈이 오는 정경을 “어느 머언 곳의 그리운 소식이기에 이 한밤 소리 없이 흩날리느뇨.”라고 읊조립니다. 김광균 시인은 한밤에 홀로 서서 ‘그리운 소식’처럼 내리는 눈을 하염없이 바라봅니다. “눈은 보리의 이불이다.”라는 말이 있는데 눈이 보리를 덮어줘야 추위로 인한 피해를 보지 않습니다. 그래서 조선시대에는 눈이 오지 않으면 기우제처럼 기설제(祈雪祭)를 지냈습니다. 숙종실록 11년(1685) 11월 13일 자 기록 “절후(節候)가 대설(大雪)이 지났는데도 한 점의 눈도 내리지 아니합니다. 중신(重臣)을 보내서 기설제(祈雪祭)를 종묘(宗廟)와 사직단(社稷壇) 그리고 북교(北郊)에서 행하기를 청합니다.”라고 임금에게 청하는 부분이 보입니다. 히말라야산맥에 있는 카트만두라는 작은 왕국에는 '할단새'라는 전설의 새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사나운 할단새[鳥]도 이 대설 무렵만은 눈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국가(國歌)’란 한 나라의 상징으로 통용되는 노래로써 주로 민족적ㆍ애국적 정서가 나타나 있습니다. 가장 오래된 국가는 영국의 〈신이여 여왕을 구하소서(God Save the Queen)〉인데 1825년 국가로 지정되었지요. 또 한국의 국가는 안익태가 곡을 붙인 <애국가>로,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때 불린 이후 널리 국가로 인정받았는데 최근 월드컵 경기에서 대한민국 대표선수들이 애국가를 부를 때는 감동이었습니다. 하지만, 애국가 작곡자 안익태의 친일 행적이 드러나며 국가를 애국가가 아닌 다른 것으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특히 ‘애국가바로잡기국민운동 임진택 상임대표는 “우리가 국가로 부르는 애국가에는 애국가 작곡자 안익태의 친일ㆍ친나치 행각과 불가리아 민요 표절 혐의의 ‘감춰진 진실’이 있다.”라면서 “이제라도 법률적으로 정식 국가(國歌)도 아닌 현재의 애국가를 국가(國歌) 지위에서 내리고 새 애국가를 선정ㆍ보급해야 한다.”라고 주장합니다. 그러면서 임진택 상임대표는 새로운 <애국가>로서 손색이 없는 현대의 노래들을 적극적으로 추천합니다. 선생이 추천하는 노래들에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여 우 비 - 한준ㆍ박세준 별안간 맘이 왜 이럴까 아무 예고도 없었는데 정신 차려보니 사랑을 가득 품은 그대 여우비가 내려요 난 아직 준비 안 됐지만 그댈 향한 이 맘 사랑인 것 같아요 혹 착각이 아닌지 또 내게 물어봐도 내 맘은 말하죠 이미 그댈 사랑을 한다고 난 벌써 시작해버렸죠 그댈 향한 이 맘 놓을 수가 없네요 난 착각이라 해도 난 이어 가볼래요 그댄 아니래도 이미 나는 사랑하고 있죠 활짝 갠 날, 갑자기 비가 잠깐 쏟아진다. 그렇게 내리는 비를 우리는 ‘여우비’라 한다. 옛이야기에 여우를 사랑한 구름이 여우가 시집가자 너무 슬퍼서 눈물을 흘리고 그 눈물이 비가 되어 내리는 것을 ‘여우비’라고 했다. 하지만, 과학에서는 비구름은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데 대기 높은 곳에서 강한 돌풍이 몰아쳐 그 탓에 맑은 곳까지 비가 온다고 얘기한다. 비를 표현하는 우리말 이름이 참 많다. 봄에는 ‘가랑비’, ‘보슬비’, ‘이슬비’, ‘모종비’, 모낼 무렵 한목에 오는 ‘목비’도 있다. 또 여름에 비가 내리면 일을 못 하고 잠을 잔다고 하여 ‘잠비’, 여름철 세차게 내리는 ‘달구비’, ‘무더기비’(폭우, 집중호우), ‘자드락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초경(初更, 초저녁)쯤 되어서 귀신(鬼神)이 나왔다고 소동이 벌어져 온 마을이 진동(振動)하니 허무한 일이다. 고을로부터 포 쏘는 소리와 두드리는 소리가 일각(一刻, 15분)이나 계속하여 온 마을이 소동하니 밤이 새도록 두렵고 무서우나 흔적이 없는 일이다.” 이는 370년 전 남평조씨라는 한 여성이 쓴 《병자일기(丙子日記)》의 정축년 7월 28일 기록으로 귀신 소동이 난 얘기입니다. 이 일기에는 남평조씨가 병자호란이라는 큰 전쟁을 당하여 피난길에서 가족을 잃고 찾아다닌 이야기는 물론 종들과 함께 농사를 지으면서 힘들지만 꿋꿋하게 살림을 꾸려간 이야기, 이웃집에 불이 나거나 도깨비불 때문에 온 마을 사람이 소동을 벌이는 이야기, 종이 도둑 떼에게 물건을 모두 빼앗기고 온 이야기 같은 당시 사람이 살면서 겪을 수 있는 일들이 마치 영상을 보듯 생생하게 담겨 있지요. 심지어는 적군이 밀려온다는 소문에 겁이 난 나머지 큰길로 나갈 수 없어서 작은 길로 밀려가다가 많은 피난민 행렬 속에서 아이들을 잃어버려 발을 동동 구르는 모습이 눈앞에 보는 듯하니 병자호란 당시에 백성들이 겪었던 고통을 조금이나마 알 듯합니다. 이 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