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82년 전 오늘 곧 1932년 4월 29일은 윤봉길 의사가 상해 홍구공원(지금 노신공원)에서 일제의 조선침략을 만천하에 응징한 날입니다. 농민계몽ㆍ농촌부흥운동ㆍ독서회운동에 온 힘을 쏟던 윤봉길 의사는 계몽운동만으로는 독립운동을 하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깨닫고, 1930년 3월 6일 ‘장부출가생불환(丈夫出家生不還, 곧 대장부가 집을 떠나 뜻을 이루기 전에는 살아서 돌아오지 않는다.’라는 비장한 각오의 글을 남기고 중국 망명의 길에 오릅니다. 그리고는 임시정부 지도자인 백범 김구 선생을 만나 조국독립을 위해 기꺼이 한 몸을 던지게 되지요. 윤 의사는 4월 29일 상해 홍구공원에서 열린 일왕의 생일축하연(천장절-天長節)과 상해 점령 전승 기념행사장 단상에 폭탄을 던져 상하이 파견군 시리카와 대장, 상하이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타 등을 즉사시켰으며, 제3함대 사령관 노무라, 제9사단장 우에다, 주중공사 시게마쓰, 총영사 무라이 등에게 중상을 입혔습니다. 거사 직후 윤 의사는 체포되어 5월 25일 상하이 파견군 사령부 군법회의 예심에서 사형선고를 받았지요. 당시 이 소식을 듣고 국민당 총통이었던 장개석은 "중국의 100만 대군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2021년 종묘대제를 오는 5월 2일 종묘에서 봉행한다고 밝혔습니다. <종묘제례(宗廟祭禮)>는 조선시대 역대 임금과 왕비의 신주를 모신 종묘에서 지내는 제향의식을 말합니다. <종묘제례(宗廟祭禮)>는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며, 우리 문화의 정수로 그 독창성과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인정 받아 2001년 5월 18일 유네스코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뽑혔고, 2008년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 올랐습니다. 그런데 이 종묘제례를 지낼 때 무용과 노래와 악기를 사용하여 연주하는데 이를 <종묘제례악(宗廟祭禮樂)>이라고 합니다. 종묘제례악은 국가무형문화재 제1호로 역시 ‘종묘제례’와 함께 ‘인류구전 및 무형유산 걸작’으로 뽑혔고,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으로도 올랐지요. <종묘제례>를 지낼 때는 절차마다 보태평과 정대업이라는 음악을 중심으로 조상의 공덕을 찬양하는 내용의 종묘악장이라는 노래를 부릅니다. 또 <종묘제례악>이 연주되는 동안, 문무인 보태평지무(선왕들의 문덕을 칭송)와 무무인 정대업지무(선왕들의 무공을 찬양)라
[우리문화신문=얼레빗으로 빗는 하루] 이제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되었습니다. 예전 농업국가였던 우리나라는 농업 생산성 향상을 위해 무척 고심했지요. 그래서 세종 때에는 정초 등이 지은 《농사직설((農事直說)》이란 농업책이 나왔고, 효종 때는 신속이 엮은 《농가집성(農家集成)》 같은 책이 나오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농사관련 책으로 《과농소초(課農小抄)》도 있는데 이 책은 《열하일기》, 《허생전》 등으로 유명한 조선후기 실학자 박지원(朴趾源)이 쓴 책입니다. 《과농소초(課農小抄)》는 충남 당진의 면천(沔川) 군수였던 박지원이 1799년에 썼는데 땅을 깊숙이 갈아 잡초를 제거하는 따위의 농경법을 개량하여, 노동력을 줄이고서도 더 많은 수확을 할 수 있는 방법이 기록되어 있으며 또 농민들에게 지우는 부역을 줄이고, 농기구의 개량을 통해 노동력을 절감할 방법을 꾀하기도 했지요. 그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력을 늘리는 방법으로 땅에 거름을 주는 방법의 개선과 논에 물을 대는 방법의 개량을 논하기도 했습니다. 박지원은 사행단을 따라 청나라에 가서 중국 농업의 현황을 살펴 조선과 중국의 농학을 견주면서 책을 썼는데 그는 이 책에서 농촌 경제를 안정시키려면 토지제도를 개혁해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 입는 옷이 배냇저고리입니다. 오희문이 쓴 임진왜란 때 9년 3개월에 걸친 피란일기 《쇄미록(尾錄)》에 “오늘이 곧 새로 난 아기의 삼일이다. 몸을 씻기고 비로소 새 옷을 입히고 이름을 창업이라고 지었으니…"라는 대목이 있는데 여기서 새 옷이 바로 배냇저고리를 뜻합니다. 태어난 지 이레 만에 입힌다고 하여 ‘일안저고리’, ‘이레안저고리’, ‘이란저고리’라고도 하였고, ‘배안의 옷’, ‘첫돈방’이라고도 했으며, 제주도는 특이하게 삼베로 지어 ‘봇뒤창옷’이라고 했지요. 배냇저고리는 품을 넉넉히 하고 길이를 길게 해 배 아래까지 덮었으며, 소매도 길게 해서 손을 완전히 감쌌습니다. 깃과 섶을 달지 않고, 아기의 수명이 실처럼 길게 이어지라는 뜻에서 고름 대신 길게 무명 실끈을 꼬아 붙여 앞을 여며줍니다. 갓난아기는 목욕을 자주 해주어야 하는데 이때 입고 벗기기가 아주 편한 옷이 바로 배냇저고리입니다. 남자아기의 배냇저고리는 재수가 있다 하여 시험을 보거나 소송이 벌어졌을 때 부적같이 몸에 지니는 풍습이 전해집니다. 집안의 장수한 어른이나 어머니의 옷으로 배냇저고리를 만들어 입히기도 했지요. 엄마가 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쑥쑥 새순 돋는 봄날 / 명자야 명자야 부르면 / 시골티 물씬 나는 명자가 / 달려나 올 것 같다 / (가운데 줄임) 사랑도 명자꽃 같은 것이리라 / 흔해 빠진 이름으로 다가왔다가 /가슴에 붉은 멍울로 / 이별을 남기는 것이리라 / 명자야 명자야 / 눈물 같은 것 버리고 / 촌스러운 우리끼리 바라보며 / 그렇게 한세상 사랑하자” 위는 목필균 시인의 <명자꽃 만나면>이란 시입니다. 명자꽃은 작지만 화사한 아름다움으로 볼수록 신비한 매력이 숨겨진 꽃입니다. 4~5월에 피는 들꽃이지만 관상용으로도 많이 기릅니다. 한방에서는 목과(木瓜)라 하여 한약재로 쓰는데 경기도에서는 아기씨꽃 또는 애기씨꽃이라 부르고, 전라도에서는 산에 피는 해당화라 하여 산당화(山棠花)라고 하며, 처자화, 당명자나무라고도 부릅니다. 시골 한적한 곳을 지나다 문득 발견한 붉은 꽃. 묘한 아름다움에 끌려 한참을 들여다보지만, 처음엔 그 이름을 알 수 없었지요. 집에 와서 식물도감을 찾아본 뒤에야 이 꽃에 “명자”라는 이름이 붙었다는 걸 알았습니다. 사람들은 “명자”라는 이름을 촌스럽다고 합니다. 하지만 명자꽃은 꽃이 아름다워 아녀자가 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공 부 - 김기준 운구를 해 보면 안다 저 길이 곧 나의 길이라는 것을 운구를 하다 보면 철이 든다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언젠가 친구를 운구해 보면 이윽고 깨닫게 된다 먼 길 가는 길이 이미 훨씬 전부터 시작되었음을 운구는 하늘이 주신 기회이자 참다운 공부다 “눈물 짓고 이별하고, 황천길로 떠날 적에” / “빈손 들어 배 위에 얹고, 황천길로 들어갈 때 / “저승길이 멀다더니, 대문 밖이 저승이라 (가운데 줄임) 방문 안을 바라보니, 머리맡에 약그릇과 / 지성구원 하던 모양 여기저기 던져있고” / 처자권속 돌아앉아, 눈물 짓고 있는 모양 / 산천초목도 설워하고, 일촌간장이 다 녹는다.“ 이는 서울시 휘몰이잡가 예능보유자 박상옥 명창이 부르는 상엿소리 사설이다. 우리 겨레는 사람이 살다가 이승을 떠나면 상여를 태워 저세상으로 보낸다. 이 세상 사는 동안에는 온갖 궂은 삶을 살았다 하더라도, 이승을 떠나는 마지막에는 누구나 아름다운 꽃상여를 태워주었다. 뒤에 남은 사람들은 그렇게 주검을 운구한다. 앞에는 동네에서 가장 목청 좋고 곡을 잘하는 사람이 상엿소리를 하고 좌우로는 상여꾼들이 적게는 20명이 좌우에서 상여를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이 세상 어느 곳을 도원으로 꿈꾸었나 / 은자들의 옷차림새 아직도 눈에 선하거늘 / 그림으로 그려놓고 보니 참으로 좋을시고 / 즈믄해를 이대로 전하여 봄 직하지 않은가 / 삼년 뒤 정월 초하룻날 밤 치지정에서 다시 펼쳐 보고서 시를 짓는다.” 이는 안평대군이 ‘몽유도원도(夢遊桃源圖)’를 다시 꺼내 보고 감탄하여 지은 시입니다. 그렇게 안평대군은 ‘몽유도원도를 무척이나 마음에 들어 했습니다. 안평대군이 서른 살 되던 해인 1447년 어느 날 잠을 자다가 신선들과 무릉도원(武陵桃源)에서 노는 꿈을 꾸었는데 꿈에서 깬 뒤 너무나 생생한 장면을 잊을 수 없어 화가 안견에게 부탁해서 그린 그림이 바로 세로 38.7㎝, 가로 106.5㎝ 크기의 몽유도원도입니다. 이 몽유도원도는 현재 일본 덴리대학(天理大學) 중앙도서관에 있는데 텐리대학은 이 그림이 훼손될까 봐 염려된다면서 2009년 이후 공개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몽유도원도를 보고 그와 가까웠던 스물세 명의 선비들이 감상평을 써두었지요. 그 뒤 10년이 지나지 않아 안평대군은 그의 형 수양대군에 의해 강화도로 유배됐다가 사약을 받고 죽었으며, 감상평을 썼던 사람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우리 겨레가 전통적으로 먹었던 과자를 흔히 “한과(韓菓)”라 하는데 이는 한복, 한식처럼 서양의 과자나 중국의 한과(漢菓)와 구분하여 부르는 말입니다. 원래 우리 토박이말로는 “과줄”이지요. “과줄”에는 유밀과, 약과, 정과, 다식, 숙실과 따위가 있습니다. 하지만, 과줄을 대표하는 것으로는 “유과”라고도 하는 “유밀과”를 꼽아야 합니다. 유밀과는 찹쌀가루에 콩물과 술을 넣어 반죽하여 삶아낸 것을 얇게 밀어 말렸다가 기름에 튀겨내어 쌀 고물을 묻힌 것이지요. 유밀과는 크기나 만드는 방법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데 큰 것은 “산자”, 손가락 굵기는 “강정”, 팥알만 하게 썰어 말려 튀긴 뒤에 엿으로 뭉쳐 모나게 썬 것을 “빙사과(氷砂果, 賓砂果)”라고 합니다. 그 밖에 밀가루에 참기름과 꿀을 넣어 만드는 것으로 제사 지내는 데에 빠지지 않는 “약과”, 생과일이나 식물의 뿌리 또는 열매에 꿀을 넣고 조린 “정과”, 쌀ㆍ깨ㆍ밤 등을 가루 낸 것이나 송화가루 등을 꿀로 반죽하여 나무로 만든 틀인 다식판에 찍어낸 “다식(茶食)”, 밤ㆍ대추 등에 꿀을 넣고 졸이거나, 이를 삶아 으깨서 꿀ㆍ계피가루에 버무려 밤ㆍ대추모양으로 만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최근 한 블로그에는 “국보 제83호와 쌍둥이가 아닐까 싶을 정도로 유사한 것이 일본 고류지(광륭사)에 있는 목조반가사유상이다. 두 불상은 재료가 다를 뿐 삼산관의 형태, 치마 자락의 처리, 신체 균형 등이 매우 흡사하다.”라고 썼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국립중앙박물관의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과 일본 광륭사의 목조미륵반가사유상을 ‘쌍둥이’일 절도로 닮았다고 했지만, 이는 잘못입니다. 글쓴이는 지난 2013년 “일본 국보 1호 "미륵상" 일본인 얼굴로 성형수술”이란 제목으로 이 문제를 지적한 적이 있었습니다. 일본잡지 《역사공론》 1976년 6월호에 실린 일본 미술사학자 나가이 신이치 교수의 <아스카불에 보는 일본과 조선>이라는 글을 보면 “(광륭사 미륵상)의 얼굴 부분에 손대기 전 모양을 떠 놓은 것이 도쿄예술대학에 보존되어 있다. 이것을 보면 현재의 얼굴과 다르며 한국국립박물관 불상(한국 국보 제83호) 얼굴과 가까운 모습을 하고 있다. 곧, 조선풍이었던 얼굴을 명치 때 수리하면서 일본풍의 얼굴 다시 말해 일본인이 좋아하는 얼굴로 고쳐 놓아 버린 것이다.”라고 쓰여 있습니다. 사실 자세히 살펴보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의 여섯째로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는 <곡우(穀雨)>입니다. 이 무렵부터 못자리를 마련하는 일부터 본격적으로 농사철이 시작되지요. 그래서 “곡우에 모든 곡물이 잠을 깬다.”,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자가 마른다.”, “곡우에 비가 오면 농사에 좋지 않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같은 농사와 관련한 다양한 속담이 전합니다. 그리고 이때가 되면 햇차가 나오는데 《조선왕조실록》에 다례라는 말이 무려 2,062번이나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조선시대엔 차를 즐겼음을 알 수 있습니다. 다만 당시는 녹차(綠茶)라 부르지 않고 차(茶) 또는 참새 혀와 닮은 찻잎으로 만들었다는 뜻으로 작설차(雀舌茶)라고 불렀습니다. 녹차는 우리가 일본에 전해준 뒤 오랫동안 일본에 뿌리내려 그쪽 기후와 땅에 맞는 품종으로 바뀐 것이며, 이를 가공하는 방법도 다릅니다. 녹차는 원래 찻잎을 쪄서 가공하는 찐차이고, 우리 차는 무쇠솥에 불을 때면서 손으로 비비듯이 가공하는 덖음차입니다. 그래서 차맛에 민감한 이들은 녹차와 우리 전통차의 맛이 다르다고 하며, 색깔도 다릅니다. 또 한 가지 더 알아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