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환 교수] 한겨레신문이 연재하는 김진해 님의 글 <말글살이>(6월29일 치, ‘말을 고치려면’)는 나를 놀라게 하였다. ‘언어는 퇴행하지 않고 달라질 뿐, 걱정도 개입도 말라’는 내용이었다. 말에 대한 최종 책임은 ‘사회적 개인’의 몫이며 국가는 개인의 말에 대해 ‘맞고 틀림’을 판정할 권한이 없다고 했다. ‘말의 발산과 수렴’의 장마당(언어시장)이 사라져버렸다고 했다. 민간 자율을 내세워 정부가 경제정책에 개입하는 것을 금기로 아는 하이에크류의 신자유주의를 언어 영역에까지 적용하려는 시도로 볼 수 있다. 외국 이론을 들여와 기계적으로 적용하려는 시도는 우리가 한두 번 보는 게 아니다. 동시에 말글이 갖는 역사성과 문화성을 부정한 이론이다. 김진해 님의 주장은 신자유주의처럼 시장(선)-국가(악)이란 이분법을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런 사조는, 경제학뿐만 아니라 언어학에서도, 한때 유행하다가 지금은 잊힌 이론이다. “‘쉬운’ 한국어는 단어가 아닌 글쓰기나 말하기 역량의 문제이다.”라고 하였으나 쉬운 말은 우선은 낱말의 문제다. “異民族箝制의痛苦를嘗한지今에十年을過한지라.”보다 “다른 민족에게 억눌리는 고통을 받은 지 십 년이 지났다
[우리문화신문=김영환 한글철학연구소장] 지난 2005년 문화재청이 경복궁 복원 계획을 내놓으면서 박정희가 쓴 한글 광화문 현판을 정조의 글씨로 바꾸겠다고 발표했다. 이런저런 이유로 15년이 지난 지금 다시 논쟁거리가 되고 있다. 2012년 현판 글씨를 한자로 하기로 하였지만, 다시 현판의 바탕색과 글자색이 잘못되었다. 문화재청은 지난해 8월 문화재위원회에서 광화문 현판을 ‘검은색 바탕에 황금빛 동판에 새기는 것’으로 최종 결정했다. 한글 현판을 달아야 한다는 주장은 이대로 끝내 묻히고 마는가. 그렇지만 더 따져볼 문제가 남아 있다. 한글은 우선 광화문 광장의 민주주의 정신과 잘 어울린다. 한글은 상하귀천이 모두 글자를 읽을 수 있게 만든 민주주의의 문자다. 일부 계급만 글자와 정보를 독점하던 봉건 시대에 마침표를 찍었다. 또 한글은 작은 중화를 벗어난 자주 문화를 상징한다. 오늘날은 누구나 한글의 빼어남을 예찬하건만 유학자에겐 새로운 글자는 모화에 어긋나며 오랑캐가 되기를 스스로 바라는 것이었다. 한글을 부려 쓰지 않고 극심한 한문 숭상으로 수백 년을 흘려보냈다. 큰 문명권 주변의 겨레가 중심과 다른 자국 문명을 스스로 낮추고 깔보는 현상도 흔히 발견된다.
[우리문화신문=김영환 교수] 독립유공자로 알려진 학자가 친일파라고 한다면 사람들이 얼마나 놀랄까? 지난 1994년 초에 문체부는 국어학자 이희승을 그해 10월 문화인물로 선정했다. 이 일을 계기로 여러 벗들과 이희승에 대해 더 알아보기로 했다. 이희승이라면 ‘조선어학회 사건’으로 옥살이를 한 서울대 교수요 올곧은 선비로 알려져 있지 않은가? 그런 그가 왜 한자 혼용을 주장했을까. 한글은 쉬운 글자로 민주주의의 주춧돌이 아닌가. 한국 문화의 독자성을 인정하기에 인색한 해외의 편견을 깨부술 가장 훌륭한 증거가 아닌가. 그냥 이런 단순한 의구심에서 몇몇 자료를 모으기 시작했다. 놀랍게도 그는 경성제대 일본인 스승이 가르쳐 준 ‘과학적’ 국어학을 따랐으며 ‘한글맞춤법통일안’에 참여한 까닭도 형태주의 맞춤법이 규칙성을 강조한 데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와 조선어학회의 인연은 스쳐가는 정도였다. ‘과학적’ 국어학을 내세우며 앞장서서 수십 년 동안 조선어학회의 전통과 대결하였다. 제국대학에서 일본인 스승한테 배운 것을 그대로 고집하며 국어학계에 대립과 파쟁의 골을 깊게 팠다. 그가 지었다는 《국어대사전》도 조선어학회의 전통과 대결하려는 의도에서 나왔음을 알 수 있
[우리문화신문=김영환 교수] 인터넷에 한자도 우리 것이란 주장이 수없이 떠다닌다. 특히 한자교육추진 총연합회 누리집에서 이 주장을 앞세우고 있다. 이 주장의 타당성을 따져보기로 하자. 1. 동이족이 만들었다는 주장이다. 갑골문을 썼다는 은나라가 동이족에 속한다는 사실에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오늘날 알려진 갑골문은 분명히 중국어 어순을 보여준다. 한국어와 어순이 다르다. 따라서 이 주장은 진지한 검토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조선에서 만든 글자가 있기는 하다. ‘沓, 乭’ 같은 글자가 있다. 전체 한자 수만 자 가운데 몇 자 뿐이다. 2. 오래 전부터 써 왔기에 우리 것과 다름없이 동화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훈독 현상이 광범위한 일본의 경우에는 이 말이 적절해 보인다. 한문은 일본인에게 일본어가 된다. 조선은 일본과 경우가 매우 다르다. 한자 한문이 우리에게 동화된 것이 아니라 우리가 한자한문에 동화되어 주체성을 잃고 있다. 한자 문화의 내용인 유교도 우리가 오랑캐를 면하려면 고유문화를 버려야 한다고 부채질해 왔다. 한글이 나올 때 우리말이 중국과 다르다는 것을 강조한 것은 그만큼 보편적이이라 여기던 중국 문화를 따라가야 한다는 생각이 강해 중
[우리문화신문=김영환 교수] 이 글은 <디지털 타임스>2018. 8.30)에 실린 위행복(한국인문학총연합회장) 님의 ‘한자를 중국식으로 읽는 事大’에 대한 반론이다. 위행복 님은 이 글에서 중국의 땅이름을 전래의 한자음으로 읽자고 주장했다. ‘北京’은 ‘베이징’이 아닌 ‘북경’으로 읽어야 주체적이라 여긴다. ‘베이징’식 읽기는 소통과 정보 전달을 방해하며 우리 문화의 정체성을 훼손한다고 여긴다. 이 문제는 오래 전부터 논란이 돼 왔고 지금도 인터넷에서는 한국식 한자음으로 읽어야 한다는 글이 많다. 우리말글에 대해 살뜰한 관심과 사랑을 보여온 북한에서도 논란이 되고 있는 듯하다. 2011년 8월부터 중국 현지음 중심으로 바꾸었다가, 1년 만에 다시 재래식 한자음으로 읽기로 되돌아갔다는 보도가 있었다.(<서울신문> 2012. 9. 14) 위행복 님의 글을 계기로 이 문제를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홀이름이 국경을 넘어갈 때, 현지에서 내는 소리를 한글로 표기하면서 사용하기 마련이다. 서구의 많은 나라들이 로마자를 기록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그것을 읽을 때는 현지음을 자국의 소리 조직에 맞추어 읽는다. 'Paris'를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