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소공원 (少公園) 이육사 한낮은 햇발이 백공작(白孔雀) 꼬리 우에 함빡 퍼지고 그넘에 비둘기 보리밭에 두고 온 사랑이 그립다고 근심스레 코고울며 해오라비 청춘을 물가에 흘려보냈다고 쭈그리고 앉아 비를 부르건만은 흰 오리떼만 분주히 미끼를 찾아 자무락질치는 소리 약간 들리고 언덕은 잔디밭 파라솔 돌리는 이국소녀 (異國小女)둘 해당화 같은 뺨을 돌려 망향가도 부른다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춘수삼제(春愁三題) 이육사(李陸史) 1 이른아츰 골목길을 미나리장수가 기-ㄹ게 외우고 감니다. 할머니의 흐린동자(瞳子)는 창공(蒼空)에 무엇을 달리시난지, 아마도 에간 맛아들의 입맛(味覺)을 그려나보나봐요. 2 시내ㅅ가 버드나무 이ㅅ다금 흐느적거림니다, 표모(漂母)의 방망이소린 웨저리 모날가요, 쨍쨍한 이볏살에 누덱이만 빨기는 짜증이난게죠. 3 빌딍의 피뢰침(避雷針)에 아즈랑이 걸녀서 헐덕림니다, 도라온 제비떼 포사선(抛射線)을 그리며 날너재재거리는건, 깃드린 옛집터를 차저목찻는 괴롬갓구려.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해 후 이육사 모든 별들이 비취계단(翡翠階段)을 나리고 풍악소래 바루 조수처럼 부푸러 오르던 그밤 우리는 바다의 전당(殿堂)을 떠났다 가을 꽃을 하직하는 나비모냥 떨어져선 다시 가까이 되돌아 보곤 또 멀어지던 흰 날개우엔 볕ㅅ살도 따겁더라 머나먼 기억(記憶)은 끝없는 나그네의 시름속에 자라나는 너를 간직하고 너도 나를 아껴 항상 단조한 물껼에 익었다 그러나 물껼은 흔들려 끝끝내 보이지 않고 나조차 계절풍(季節風)의 넋이 가치 휩쓸려 정치못 일곱 바다에 밀렸거늘 너는 무삼 일로 사막(沙漠)의 공주(公主)같아 연지(脂)찍은 붉은 입술을 내 근심에 표백(漂白)된 돛대에 거느뇨 오―안타까운 신월(新月) 때론 너를 불러 꿈마다 눈덮인 내 섬속 투명(透明)한 영락(玲珞)으로 세운 집안에 머리 푼 알몸을 황금(黃金) 항쇄(項鎖) 족쇄(足鎖)로 매여 두고 귀ㅅ밤에 우는 구슬과 사슬 끊는 소리 들으며 나는 일흠도 모를 꽃밭에 물을 뿌리며 머―ㄴ 다음 날을 빌었더니 꽃들이 피면 향기에 취(醉)한 나는 잠든 틈을 타 너는 온갖 화판(花瓣)을 따서 날개를 붙이고 그만 어데로 날러 갔더냐 지금 놀이 나려 선창(船窓)이 고향(故鄕)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노정기 - 이육사 목숨이란 마치 깨어진 베쪼각 여기저기 흐터져 마을 이 한구죽죽한 어촌(漁村)보담 어설푸고 삶의 틔끌만 오래 묵은 포범(布帆)처럼 달아 매였다. 남들은 기뻤다는 젊은날이었건만 밤마다 내꿈은 서해(西海)를 밀항(密航)하는 쩡크와 같애 소금에 쩔고 조수(潮水)에 부풀어올랐다. 항상 흐렷한 밤 암초(暗礁)를 벗어나면 태풍(颱風)과 싸워가고 전설(傳說)에 읽어본 산호도(珊瑚島)는 구경도 못하는 그곳은 남십자성(南十字星)이 바쳐주도 않았다. 쫓기는 마음! 지친 몸이길래 그리운 지평선(地平線)을 한숨에 기오르면 시궁치는 열대식물(熱帶植物)처럼 발목을 오여쌋다 새벽 밀물에 밀려온 거미인 양 다 삭아빠진 소라 깍질에 나는 불어왔다. 머-ㄴ 항구(港口)의 노정(路程)에 흘러간 생활(生活)을 들여다보며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서 풍 -이육사 서리 빛을 함북 띄고 하늘 끝없이 푸른 데서 왔다. 강바닥에 깔여 있다가 갈대꽃 하얀우를 스처서 장사(壯士)의 큰 칼집에 숨여서는 귀향가는 손의 돋대도 불어주고 젊은 과부의 빰도 히든날 대밭에 벌레소릴 갓구어 놋코 회한(悔恨)을 사시나무 잎처럼 흔드는 네오면 불길한 것 같어 좋와라.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전국에서 모인 청년백범 4기 38명 대한민국 임시정부 사적지 순례단이 지난 1월23일~27일까지 4박 5일 일정으로 상해, 가흥, 해염, 항주, 진강, 남경에 있는 독립운동 사적지 답사를 다녀왔다. 중국내 독립운동 사적지 답사에 앞서 1월 10일 용산구 효창동에 위치한 백범기념관을 찾아 홍소연 전 백범기념관 자료실장의 안내로 전시물을 관람하였고 이어 백범 김구 선생의 묘소, 안중근,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의사 묘역과 이동녕, 차리석, 조성환 선생 등 임시정부 요원 묘역에 뫼절을 올렸다. 이번 순례단은 초등학생인 10대부터 올해 60대 되는 다양한 연령으로 구성되었으며 참가자들은 백범일지를 읽고 여행에 오르기로 다짐하였다. ▲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청사를 둘러 보는 순례단들 첫날 상해에 도착해서 과거 프랑스 조계안에 있었던 보경리 임시정부 청사와 인근에 있는 중공 제1차 대회지, 김구선생과 가족들이 사셨던 장소를 둘러보았다. 이어 윤봉길 의사 폭탄투척 장소인 홍구공원 내 매헌 윤봉길기념관을 둘러보고 중국 현대문학의 상징인 노신의 묘를 찾아 가이드로부터 중국인들에게 왜 노신이 추앙받고 있는지에 대해 설명을 들었다. 2일째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한 개의 별을 노래하자 이육사 한 개의 별을 노래하자. 꼭 한 개의 별을 12성좌 그 숫한 별을 어찌나 노래하겠니? 꼭 한개의 별! 아침 날 때 보고 저녁 들 때도 보는 별 우리들과 아주 친하고 그 중 빛나는 별을 노래하자 아름다운 미래를 꾸며볼 동방의 큰 별을 가지자 한 개의 별을 가지는 건 한 개의 지구를 갖는 것 아롱진 설음밖에 잃은 것도 없는 낡은 이 땅에서 한 개의 새로운 지구를 차지할 오는 날의 기쁜 노래를 목안에 핏대를 올려가며 마음껏 불러보자 처녀의 눈동자를 느끼며 돌아가는 군수 야업의 젊은 동무들 푸른 샘을 그리는 고달픈 사막의 행상대도 마음을 축여라 화전에 돌을 줍는 백성들도 옥야천리를 차지하자 다 같이 제멋에 알맞은 풍양한 지구의 주재자로 임자 없는 한 개의 별을 가질 노래를 부르자 한 개의 별, 한 개의 지구, 단단히 다져진 그 땅 위에 모든 생산의 씨를 우리의 손으로 휘뿌려 보자 영속처럼 찬란한 열매를 거두는 찬연엔 예의에 끊임없는 반취의 노래라도 불러보자 영리한 사람들을 다스리는 신이란 항상 거룩합시니 새 별을 찾아가는 이민들의 그 틈엔 안 끼어 갈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강 건너 간 노래 - 이 육 사 - 섣달에도 보름께 달 밝은 밤 앞 냇강 쨍쨍 얼어 조이던 밤에 내가 부른 노래는 강 건너 갔소 강 건너 하늘 끝에 사막도 닿은 곳 내 노래는 제비같이 날어서 갔소 못 잊을 계집애 집조차 없다기에 가기는 갔지만 어린 날개 지치면 그만 어느 모랫불에 떨어져 타서 죽겠죠 사막은 끝없이 푸른 하늘이 덮여 눈물 먹은 별들이 조상 오는 밤 밤은 옛일을 무지개보다 곱게 짜내나니 한 가락 여기 두고 또 한 가락 어데멘가 내가 부른 노래는 그 밤에 강 건너갔소
[한국문화신문 = 마완근 기자] ▲ 속초 동명항에 새날 새아침의 해가 떠오른다 속초 동명항의 아침은 부산하다. 사람냄새가 난다. 고기들도 신이 났다. 새해 새날을 가족과 함께 동명항에서 보냈다. 아이들과 웃고 울고 떠드는 교사란 직업은 늘 머릿 속에서 교육 이라는 낱말을 떠나지 않게 한다. 그러나 일년 중 동명항을 찾는 날 만은 다르다. ▲ 갓 잡은 물고기들로 동명항은 갑자기 꽉 찬 느낌이다. ▲ 새벽 어시장에 모인 사람들 ▲ 새해 어시장 풍경 직업적인 것, 교육적인 것의 모든 일상을 내려놓고 탁 트인 바다와 마주하는 시간은 언제나 행복하다. 어디 그뿐이랴. 사랑하는 가족들과 함께 함의 그 편안함을 어디에 견주랴. 그렇게 올 한해도 속초에서 동명항의 떠오르는 양띠해의 아침을 맞이했다. 그리고 어촌의 아침도 둘러보았다. 열심히 살아가는 어촌의 아주머니와 아저씨들의 건강과 행운을 빌어 본다. 돌아오는 길에는 해당화 피는 화진포의 해넘이를 즐겼다. 해가 지는 것은 또오르는 아침을 맞이하기 위한 것이리라. ▲ 어시장 주변에는 이런 광경이 흔하다 ▲ 동명항을 한눈에 내려다 보며 ▲ 귀경 길에 들른 화진포의 해넘이, 갈대 사이로 지는 해가
[한국문화신문=마완근 기자] 연보(年譜) 이육사(李陸史) '너는 돌다리목에 쥐왔다.'든 할머니 핀잔이 참니라고하자 나는 진정 강(江)언덕 그마을에 버려진 문바지였은지몰라? 그러기에 열여덟 새봄은 버들피리 곡조에 부러보내고 첫사랑이 흘러간 항구(港口)의 밤 눈물섞어 마신술 피보다 달드라 공명이 마다곤들 언제 말이나했나? 바람에부처 도라온 고장도 비고 서리밟고 걸어간 새벽길우에 간(肝)입만 새하얗게 단풍이 들어 거미줄만 발목에 걸린다해도 쇠사슬을 잡어맨듯 무거워졌다 눈우에 걸어가면 자국이 자리라고 때로는 설래이며 파람도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