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11월 1일(금) 낮 11시부터 안동국제컨벤션센터 203호에서 ‘닫힌 국학과 열린 국학, 민족과 국가 공동체를 생각하다’라는 주제로 ‘2024년 제2회 한국국학자대회’를 연다. 국학 연구도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는 인식 아래, 민족과 국가공동체의 문제를 다 같이 고민하며 해결의 길을 찾아보고자 하는 취지에서 기획되었다. 이에 지난해에 이어 전국의 문사철(文史哲) 국학자들이 모여 현재의 국학의 상황을 돌아보고, 미래 국학의 청사진을 고민하는 마당을 마련하였다. ‘국학과 한국학 사이’에서 우리는 어디에 서있는가 지난해 한국국학자대회는 ‘국학과 한국학 사이’란 주제로 함께 모였다. 국학과 한국학은 연구 대상이 같지만, 연구 목적과 방법 및 태도 등에서 다른 점이 적지 않은 것도 사실이다. 전국에서 모인 국학자들은 ‘국학과 한국학 사이’를 서성이며 자신들이 걸어온 길과 이 길을 걸어오며 든 생각들을 자유롭게 풀어놓았다. 그 결과 한국이라는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객관적 학문인 ‘한국학’과 한국인의 눈으로 한국학을 ‘우리의 것’으로 인식하고 바라보는 ‘국학’의 필요성에 대해 절감하고, 국학 연구의 방향성과 역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서울역사박물관(관장 최병구) 분관 돈의문역사관은 지난 10월 22일(화), 작은 전시 ‘별별 마을, 별별 친구들’을 개막했다. 이번 전시는 돈의문역사관에서 2024년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인 ‘돈의문 별별 마을’ 교육에 참여한 어린이가 꾸민 엽서 106점을 선보이는 자리다. 전시는 내년 3월 16일(일)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돈의문역사관(종로구 새문안로 35-54(돈의문박물관마을 안)은 경희궁 가까이 있던 돈의문 일대의 역사와 장소 그리고 그곳에 살았던 사람들의 삶과 기억을 저장하는 현장 박물관으로 2018년 개관하였다. 이탈리안 레스토랑 ‘아지오’와 한식 식당 ‘한정’으로 사용하던 건물을 전시실로 조성하였으며, 경희궁의 궁장과 생활유적을 원형 그대로 보존한 유적전시실에서 볼 수 있다. ‘돈의문 별별 마을’은 전국에 살고 있는 어린이들이 온라인에서 함께 만나 다채로운 퀴즈와 체험활동을 통해 돈의문의 역사와 현재 내가 살고 있는 마을에 대해 생각해 보는 교육 프로그램이다. 2024년 ‘돈의문 별별 마을’ 교육에서는 온라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 역사관과 교육생의 상호 소통 활성화를 위해 ‘엽서 보내기’라는 이벤트를 새롭게 진행했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경북의 선비정신을 만든 경북의 서원은 유네스코 세계유산이 되었고, 경북의 선비정신을 기록하고 이를 계승하기 위한 유교책판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이 되었다. 그러면 선비의 삶과 문화를 온전하게 지켜온 종가문화는 어떻게 해야 할까?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한국국학진흥원은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2008년부터 종가의 다양한 면모를 문화로, 학술로, 그리고 종손․종부의 삶으로 그려왔다. 이를 기반으로 종가포럼 15년을 결산하고, 이를 한국의 새로운 미래 정신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해졌다. 이러한 까닭에서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오는 10월 29일(화) 낮 2시부터 한국국학진흥원 대강당에서 ‘종가포럼이 걸어온 길, 그리고 가야 할 길’이라는 주제로 2024년 종가포럼을 연다고 밝혔다. 종가포럼 15년, 경북의 종가문화 경상북도는 그 어느 곳보다 종가의 문화와 유무형의 유산이 가장 잘 보존된 지역 가운데 하나다. 그러나 농업 경제 기반이 무너지고, 다양한 사회 구조 속에서 경북의 종가문화는 급속히 사라지거나 쇠퇴하고 있다. 경상북도과 한국국학진흥원은 이처럼 사라져가는 종가문화를 이어가고 그 값어치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2008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오는 11월 1일부터 12월 29일까지 서울 종로구 대학로3길 10. 고운빌딩 1층 ‘더 씨어터’에서는 뮤지컬 <바보사랑> 공연이 펼쳐진다. 2016년부터 시작된 <바보사랑>이 신촌과 압구정을 거쳐 흘러흘러 어느새 7번째 시즌으로 대학로에 입성하게 되었다. 오랜 인연의 스텝과 배우들이 다시 만나 더 따뜻하고 웃음을 주는 사랑스러운 작품으로 최선을 다해 만들었다. 뮤지컬 <바보사랑>은 평범하면서도 특별한 4명의 남녀가 보여주는 사랑 이야기다. 진우와 한나, 맑음과 현석. 그들의 사랑은 어쩌면 우리의 이야기일지도 모른다. 바쁘고 지친 일상에서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지낸 여러분의 가슴설레는 사랑을 <바보사랑>과 함께 찾으시는 시간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공연을 만들었다. 우리는 모두 언제나 사랑을 받고 우리는 모두 언제나 사랑하기를 원한다. 그리고 우리는 모두 언제나 사랑을 궁금해한다. 뮤지컬 <바보사랑>과 함께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생각해보면 좋을 일이다. 출연진은 진우 역에 이윤성ㆍ김우주, 한나 역에 김한나ㆍ차단비, 현석 역에 진규일ㆍ김미식, 맑음 역에 김서유ㆍ이현희가 무대에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K-이야기 융복합 공연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를 오는 10월 26일(토)부터 내년 1월 25일(토)까지 전국 14개 도시를 순회하며 선보일 예정이다. 전통문화와 창작예술이 어우러진 K-전통문화 콘텐츠 지난해 첫선을 보인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는 주요 출연진들이 모두 이야기할머니들로 구성된 공연이다. 전통이야기를 중심으로 국악밴드, 창작뮤지컬, 마술, 사물놀이 등 다양한 예술적 요소를 융합하여 온 가족이 함께 즐길 수 있는 어린이 공연으로 관객들에게 큰 호응을 받았다. 특히 올해는 그림자극, 국악 미디어아트, 인형극 등이 추가되어 더욱 풍성한 내용으로 완성도를 높였다. 이 사업은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과 문화체육관광부가 그간 아름다운 이야기할머니사업으로 축적해 온 전통이야기를 창작예술과 융합하여 K-전통문화 콘텐츠사업으로 육성하기 위해서 기획되었다. 전국 14개 도시에서 모두 28회 공연으로 대폭 확대 지난해 4개 도시를 순회한 <도란도란 이야기보따리>는 올해 14개 도시로 공연 지역을 대폭 확대해 관객들을 찾아간다. 성남, 인천, 전주, 춘천, 안동, 창원,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진주박물관(관장 장용준)은 개관 40돌을 맞아 11월 2일(토) 박물관 일원에서 기림행사를 연한다(* 국립진주박물관 개관일: 1984. 11. 2.). 이번 행사는 지난 1984년 경남 첫 국립박물관으로서 문을 연 이래, 현재의 임진왜란 특성화 박물관으로 거듭나기까지 함께해온 관람객과 개관 40돌을 축하하고 기리고자 마련하였다. 행사는 얌모얌모 콘서트 & 마술 공연, 특별전 연계 퀴즈 맞히기 체험, 40돌 기림 백설기 나눔, SNS 잔치 등 4개 프로그램이다. 2일 아침 10시부터 상설전시실 역사문화홀에서 특별전 연계 퀴즈 맞히기 체험이 있다. 특별전 <사기장, 흙을 빚어 삶을 이롭게>를 관람한 뒤 퀴즈를 맞히는 행사다. 참여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는 국립진주박물관 소장 보물 ‘도기 바퀴장식 뿔잔’이 그려진 도자기 머그컵(600개)을 기념품으로 준다. 이와 함께 박물관 앞마당에서는 개관 40돌 축하 메시지를 작성하는 관람객에게 감사 마음을 전하고자 백설기 나눔(600개) 행사를 한다. 그리고 낮 2시, 4시 두 차례에 걸쳐 박물관 야외무대(300석)에서 축배의 노래, 그리운 금강산, 미녀와 야수 등 누구나 즐길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올가을 예년보다 높은 기온의 영향으로 무등산국립공원에 진달래, 제비꽃 등 봄꽃이 피어 가을에 피는 쑥부쟁이꽃과 어울려 특이한 풍경을 연출하고 있다. 진달래와 제비꽃은 4월경 활짝 피는 대표적인 봄꽃인데 올해 10월엔 탐방로 곳곳에서 관찰할 수 있다.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은 특별전 연계 교육 프로그램 <전지적 몽룡 시점, 춘향이를 찾습니다>를 신설하고 수강생을 모집한다. 이번 교육은 국립전주박물관과 국립한글박물관이 함게 연 특별전 <서울 구경 가자스라, 임을 따라 갈까부다-조선의 베스트셀러 한양가와 춘향전>의 연계 교육으로 10월부터 12월까지 월 1회씩 모두 3회 운영한다. 내용은 이번 전시에 소개되는 두 권의 책 《한양가(漢陽歌)》와 《춘향전(春香傳)》을 바탕으로 흥미롭게 이야기를 꾸몄다. 춘향이를 두고 서울로 간 몽룡이가 그곳에서 본 다양한 모습을 《한양가(漢陽歌)》에 담겨진 내용으로 소개하고, 급제 뒤에 내려온 전북에서 사라진 춘향이를 찾는다는 구성이다. 전시를 기획한 기획자의 설명을 들으며 특별전을 관람하고 참여자 모두 몽룡과 춘향이 되어 우리 전통한복을 입어보는 체험도 즐길 수 있다. 특히 이번 교육은 그간 박물관 교육 참여율이 낮았던 성인(60살 이상 전북 거주민 우대)과 수능을 마친 고3 수험생을 대상으로 하며, 한국전통문화전당 한복문화창작소에서 지원하는 한복을 입어볼 수 있어 지역민ㆍ지역기관과 함께 우리문화와 전통을 즐길 수 있다는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국립공원공단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소장 김종식)는 지리산을 대표하는 바위글씨(각석) 탁본 전시회를 10월 25일(금)부터 11월 10일(일)까지 17일간 하동화개탐방안내소에서 연다고 밝혔다. 이번 탁본 전시회에서는 지리산을 대표하는 바위글씨 22점을 전시하며, 1924년 일제강점기 독립의 염원을 담은 지리산 천왕봉 의병 관련 바위글씨를 비롯하여, 천왕봉을 상징하는 일월대(日月臺), 천주(天柱), 방장문(方丈門)과 지리산을 대표하는 인물과 명소인 고운 최치원, 남명 조식과 관련된 쌍계석문(雙磎石門), 삼신동(三神洞), 세이암(洗耳岩), 입덕문(入德門), 용유담(龍游潭) 등 바위글씨(각석)를 전시할 계획이다. 특히 기획자 해설 프로그램을 1차 10월 25일, 2차 11월 2일 2회 운영하여 보다 쉽게 바위글씨의 의미와 옛 선인들이 지리산을 유람했던 까닭을 재해석하고 공감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예정이다. 지리산국립공원경남사무소 박선홍 자원보전과장은 “민족의 영산인 지리산은 많은 선인들이 호연지기를 기르기 위해 유람한 산으로 그 흔적들이 바위글씨로 많이 남아 있다. 이번 전시를 통하여 옛 선인들의 정취를 느껴보시기를 바란다.”라고 말
[우리문화신문=윤지영 기자]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3일까지 서울 종로구 명륜2가 ‘제이원씨어터’에서는 프로덕션 유월의 연극 <보도지침>이 무대에 오른다. 프로덕션 유월은 장르와 매체에 관계없이 신진예술가들이 다양한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목표로 하며 종합 창제작 예술단체로 성장하고 있다. 예술가에게는 솔직하고 안전한 방법으로 자신의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공간을, 관객에게는 섬세하고 따뜻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1986년, 김주언 한국일보 기자의 '보도지침' 폭로. 그 사건을 무대 위에 그려냈던 오세혁 작가의 연극 <보도지침>을 선보이는 것이다. 유월만의 신진 배우와 창작자들의 새로운 시도, 젠더프리(성에 의한 제약이나 차별을 최대한 배제하려는 시스템) 캐스팅을 통해 재구성한 무대, 그리고 현재를 바라보는 관객들과의 호흡으로 완성될 오늘날의 <보도지침>이다. 이 재판이 끝난 후에 우리는 과연 어디로 향하게 될 것인가? 출연진은 최재훈, 경찬, 김혜준, 최해나, 감유나, 이시맥, 박시원이며, 제작진은 기획/제작에 김재아ㆍ김가민ㆍ진시우, 연출에 김재아ㆍ박혜진ㆍ윤예준ㆍ이예림, 무대에 김화영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