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11월 11일 충청남도 서천군에 있는 「서천읍성(舒川邑城)」을 국가지정문화유산 사적으로 지정하였다. 「서천읍성」은 조선 초기 세종 연간(1438년~1450년 경)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기 위해 쌓은 1,645m 규모의 연해읍성(沿海邑城)이다. 연해읍성으로는 드물게 산지(山地)의 지형을 활용하여 축성되었으며, 일제강점기 ‘조선읍성 훼철령(1910년)’으로 전국의 읍성이 철거되는 수난 속에서도 남문터 주변 등 일부를 뺀 성벽 대부분이 훼손되지 않고 잘 남아있다. * 연해읍성(沿海邑城): 조선 초기, 주로 세종 연간에 왜구의 침입을 방어하고 지방행정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해 국가 주도로 해안 요충지에 축조한 읍성 * 서천읍성 성벽 잔존현황: 둘레 1,645m 가운데 1,535.5m 잔존(약 93.3%) 「서천읍성」은 1438년(세종 20년)에 반포된 <축성신도(築城新圖)>에 따른 ‘계단식 내벽’과, 축성신도 반포 이후 나타난 문제점 해결을 위해 1443년(세종25년) 이보흠(李甫欽)이 건의한 한양도성의 축조기법인 ‘수직 내벽’이 동시에 확인되는 성(城)으로 조선 초기 축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소장 임승경, 이하 ‘경주연구소’)는 오는 11월 13일(목) 아침 10시 경주 힐튼호텔 그랜드볼룸에서 「경주 흥륜사터(전 영묘사터) 출토 불교공양구의 값어치와 의미」 학술대회를 연다. 이번 학술대회는 2023년 경주시 사정동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불교공양구의 조사ㆍ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당시 불교 의례 문화의 성격과 의의를 새롭게 조명하기 위해 마련되었다. 불교미술ㆍ고고학ㆍ보존과학 등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불교공양구의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 결과를 공유하고, 각 분야의 연구 성과를 여러 모로 논의할 예정이다. 학술대회는 1건의 발굴조사 성과 발표, 5건의 주제발표, 그리고 종합토론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 발표인 ▲「경주 흥륜사(전 영묘사터) 출토 불교공예품의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박정재, 춘추문화유산연구원)를 시작으로,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흥륜사터 출토 불교공양구에 대한 과학적 분석, 고고학적, 미술사적, 불교사적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주제발표가 이어진다. ▲ 「흥륜사 서편 출토 불교공예품의 보존처리와 과학적 분석」(권지현ㆍ안소현, 국립경주문화유산연구소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가유산진흥원(원장 이귀영)은 오는 11월 27일 저녁 7시 30분, 국가무형유산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서울 강남구)에서 <The story 예능보유자 ‘이생강’> 기획공연을 연다. <The story 예능보유자>는 전통예술의 맥을 잇는 명인의 공연과 함께 그의 삶을 조명해보는 대담형식의 기획공연이다. 이번 공연은 국가무형유산 대금산조 이생강 보유자를 초청하여, 대금의 전승과 대중화에 평생을 바친 그의 무대를 펼쳐 보인다. 이생강 보유자는 다섯 살 때 아버지로부터 단소와 피리를 배우며 음악의 길에 들어섰고, 이후 한주환ㆍ한갑득ㆍ임동석 등 약 23명의 다양한 선생으로부터 가르침을 받았다. 그는 대금뿐만 아니라 피리ㆍ퉁소ㆍ단소ㆍ태평소 등 다양한 관악기에 능통한 명인으로, 대금의 독자적 음색을 정립하여 ‘이생강류 대금산조’를 창시하였다. 이봉조(색소폰 연주자)ㆍ길옥윤(대중음악 작곡가) 등과의 퓨전 협연으로 국악의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며 대중화의 길을 넓혀왔다.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그는 1996년 국가무형유산 대금산조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이번 <The story 예능보유자 ‘이생강’> 공연에서는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