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어떤 노래가사에 이런 구절이 있다. "오랜 세월을 같이 하여도 기억 속에 없는 이 있고 잠간 만나고 헤어져도 심장 속에 남는 이 있네." 무척이나 공감이 가는 말이다. 그도 그럴 것이 강산이 변해도 서너 번은 변했을 법한 긴 세월에, 정확하게는 내가 이 세상에 태어나서 지금까지 고작 두 번 밖에 얼굴을 보지 못했던 한 사람이 있는데 지금도 내 마음속 깊은 곳에 자리하면서 내 삶의 등대가 되어주니 말이다. 내가 소학교 5학년에 다니던 어느 날이였다. 학교 갔다 집에 와보니 어머니가 맛있는 먹거리를 가득 사 오신 것이었다. 사탕과자는 물론, 명절에나 겨우 먹을 수 있던 고기며 바나나랑 떡이랑, 그리고 난생처음 보는 이름 모를 과일들... 내가 눈이 휘둥그래서 어리둥절해 있었더니 어머니가 하시는 말이 래일 우리집에 작은 할아버지가 오신다는 것이었다. 그 다음날, 예상했던 대로 나는 작은 할아버지를 만나게 되였는데 그날 우리집은 마을에서 큰 경사라도 치르는 집 같았다. 편벽한 시골 탄광마을에 살던 우리는 그때만 해도 마을에서 자동차라고는 가끔씩 석탄과 모래를 싣고 오가는 해방패(자동차 상표) 외에는 구경하기가 힘들었었다. 그런데
[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너 왼손잡이야?" "얘 왜 왼손 쓰지? 바보야?" "바른손을 쓰지 못할까?" 남들과 다르다는 사회의 소수자라는 특수성분 때문에 어릴 적에는 다양한 핀잔과 눈총을 받아 왼손잡이에 대한 콤플렉스가 상당했다. 내가 어린 시절만 해도 왼손으로 밥 먹으면 혼나고 글씨도 반드시 오른손으로 써야 했다. 내가 직립보행을 하고 수저 들고 밥을 먹기 시작해서부터 부모님은 왼손부터 뻗는 나의 "못된"버릇을 고쳐주려고 왼손에 양말을 씌우고 붕대로 감는 등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부모님의 극성스러운 "훈육"에도 선천적으로 타고난 것이어서 전혀 고쳐질 기미가 보이지 않자 어린 나에게 너무 스트레스를 주는 것 같아서 나중에는 포기를 했단다. 그런데 문제는 소학교에 입학하면서부터였다. 요즘은 그래도 우뇌의 지배를 받는 왼손을 개발하자는 호성도 높아가고 있지만 내가 소학교 다니던 그 당시만 해도 왼손으로 글을 쓰는 것은 틀리고 잘못된 거라고 생각했다. 그래서 반주임의 "특별관심대상"이 되었고 팔자에도 없는 나머지 공부를 하면서 자존심도 상하고 억울하고 분해서 어린마음에 몇 번이나 훌쩍거렸는지 모른다. 그때 억지로 교정이 돼서 지금 글은 오른손으
[우리문화신문=석화 시인] 어디서부터 잘 못 된 건지 바른 말이 하나 둘씩 사라지고 있는 것은 나만의 느낌일까? 요즘 애들은 인터넷의 나쁜 영향을 받았는지 비속어가 아주 가관이다. 그리고 일부 위쳇동아리에서 곱게 말해도 돌아오는 건 “벌칙”이다. 시대에 따라 속담도 달라진다고 했던가? “가는 말이 고우면 오는 말이 험하다.”라고 하는 말도 있단다. 그래서 왜 그러냐고 물으니 내가 편하면 되지 남의 심정까지 헤아릴 여유가 없다는 거다. 자기가 스트레스 받아서 상관없는 사람한테 화풀이하면 당한 사람은 무슨 죄인가? 애들이 순진하지 못한 비속어를 입에다 달고 다니니 참 한심하다. 우리 조카도 어디서 한어비속어를 배웠는지 툭하면 비속어를 쓴다. 나로서 들어주기엔 단어가 너무 거북하다. 애들은 하지 말라면 더 하는 거라 비속어를 쓰지 말라고 하면 더 할 건데 어떻게 말할 수도 없고 참 난감하다. 물론 나도 고칠 것이다. 나도 이제부터라도 조카애랑 동생에게 존댓말과 바른말을 배우게 도와줘야겠다. 조카한테도, 동생한테도 존댓말과 바른말을 써봐야지. 어떤 반응이 나오고 어떤 효과가 생길지 무척이나 기대된다. 왠지 재미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서 해봤더니 정말 효과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