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지난 8월 12일부터 17일까지, 캄보디아 바탐방(Battambang)에서의 시간은 선교 사역이 곧 축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언어의 벽은 노래와 몸짓, 그리고 서로를 향한 따뜻한 시선 앞에서 쉽게 무너졌다. 선교사역의 첫 시작은 공연 봉사였다. 신나는 찬양 율동이 시작되자 모두의 발걸음이 멈췄고 팬플룻의 독주가 바람처럼 울려 퍼지자 귀 기울여 듣기 시작하였다. 이어 미니가야금과 플룻, 신디사이저, 바순이 합주를 이루었다. 서로 다른 음색이 하나로 어우러지며 낯선 이들의 마음을 묶어냈다. 특히 전통 민요 ‘아라삐야’를 편곡해 연주했을 때는 청중이 박수로 응답했고 곧 합창으로 이어졌다. 찬양과 율동은 국적과 언어를 뛰어넘어 하나의 몸짓으로 모였다. 이후 의료ㆍ어린이ㆍ미용ㆍ한복체험 봉사가 동시에 진행되었다. 의료 봉사는 내과와 치과, 한의과, 방사선과, 안과, 정형외과, 약국까지 갖추어 주민들을 맞았다. 환자들은 진료와 치료를 받은 뒤 복음을 들으며 몸과 마음의 위로를 얻었다. 약과 처방이 몸을 돌봤다면, 복음은 영혼을 어루만졌다. 미용 봉사는 머리를 손질하고 손톱을 다듬는 작은 섬김이었지만, 그 속에서 존엄과 웃음이 되
[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지난 4월 3일 늦은 7시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에서 유희정 함동정월류 가야금산조 독주회가 열렸다. 함동정월류 가야금 산조에 대해 말하기 전, 그 뿌리는 이렇다. 함동정월 명인은 강진군 병영면의 출신으로 스승 최옥삼에게 가야금을 배웠다. 최옥삼은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최옥산’으로 알려져 있던 최옥산류(현재는 최옥삼류로 불린다.) 가야금산조의 창시자로 알려진 명인이다. 그는 김창조와 한성기에게 어린 시절 가야금 산조를 배우고 북한에서 활발하게 활동한 국악인으로 북한민중음악사 계보를 잇는 북한 음악인들의 스승으로 남도 음악을 기반으로 북한 음악을 개척하였다고 전해진다. 함동정월(예명, 본명 함금덕)은 어려운 형편으로 인해 11세 때 광주 권번에서 기본기를 다지고 12세 강진군 병영면에서 여러 선생에게 춤과 노래를 배웠다. 특히 스승 최옥삼에게 가야금을 배워 1980년에 국가무형문화재(현,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 및 병창의 예능보유자로 지정받으면서 최옥삼류 가야금 산조를 사람들에게 널리 알린 일등 공신이다. 사람들은 그 산조를 최옥삼제 함동정월류라 부르기도 하였다. 월북한 스승의 이름을 제대로 부르지 못했던 시절을 지난 1998
[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선화예술중·고등학교(이하 선화) 개교 50돌을 맞이하여 전공별 공연과 전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선화국악동문회는 지난 2월 2일 저녁 5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50돌 기념 공연으로 대미를 장식하였다. 선화는 ‘태극기를 세계로’라는 기치 아래 1962년 창단된 ‘리틀엔젤스예술단’을 시작으로 1974년 선화예술중학교를 설립하고 이어서 선화예술고등학교를 1977년에 개교하였다. 이번 선화국악동문회는 선화예술고등학교를 졸업한 175명의 동문들과 재학생들이 수준 높은 공연을 선보이며, 명실상부 예술계의 산실임을 여지없이 증명하였다. 필자는 선화예술고등학교 20기 거문고 전공 출신이다. 광진구에 있는 선화예술고등학교에 들어서면 “이 문은 세계로 통한다”라는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날마다 등교하며 그 글귀를 읽었던 기억이 새록새록 하다. 정문 왼편에는 유니버설발레단과 유니버설아트센터(옛 리틀엔젤스회관)가 자리하고 있다. 재학 당시 필자는 언젠가는 리틀엔젤스회관에서 연주하고 이 문을 지나 세계를 향해 갈 것이라며 마음을 새긴 적이 있다. 돌이켜보니 이제까지 예술을 이어올 수 있었던 것은 이 글귀 덕이다. 선화인들은 이 글귀를 모두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