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8 (수)

  • 구름많음동두천 25.2℃
  • 구름많음강릉 24.8℃
  • 구름조금서울 26.9℃
  • 구름조금대전 27.6℃
  • 구름조금대구 27.3℃
  • 구름조금울산 25.7℃
  • 구름조금광주 25.3℃
  • 맑음부산 28.0℃
  • 구름조금고창 26.1℃
  • 맑음제주 27.4℃
  • 구름많음강화 24.0℃
  • 구름조금보은 24.9℃
  • 맑음금산 26.1℃
  • 구름조금강진군 26.0℃
  • 구름조금경주시 25.5℃
  • 맑음거제 27.7℃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오대천 따라 걷기

전체기사 보기


정선아리랑의 발상지는 남면 낙동리

오대천 따라 걷기 6-2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조금 내려가니 장구목이 입구가 오른쪽으로 나타난다. 여기는 가리왕산 등산로 입구인데, 안내판을 읽어보니 정상까지는 4km 거리이다. 마침 옆에 맑은 물이 흐르는 개울이 있어서 우리는 잠시 휴식을 취하기로 했다. 시계를 보니 낮 2시 50분이다. 여러 사람이 배낭에서 먹을 것을 꺼내 놓았다. 쑥떡, 오이, 초코렛, 와인, 믹스커피 등이 쏟아져 나왔다. 나는 커피는 믹스커피만을 마신다. 커피 만드는 데 시간이 들지 않고 간편하기 때문이다. 내 입맛은 매우 싼 입맛이다. 단순한 생활을 추구하는 나의 생활철학에 딱 맞는 것이 믹스커피다. 그런데, 어떤 사람은 믹스커피는 몸에 해롭다고 (근거는 잘 모르겠지만) 먹지 않고 블랙커피만을 마신다. 그래서 이날 나는 뜨거운 물 두 병, 그리고 커피믹스 몇 봉지와 카누(블랙커피 상표) 몇 봉지를 함께 준비해왔다. 우리는 풍성한 간식을 먹으면서 이야기꽃을 피웠다. 화제는 과거 대학생이었던 시절의 이야기들이 많이 나왔다. 흘러간 옛 연도를 계산해 보았다. 내가 1972년도에 대학을 졸업했으니 벌써 51년이 지났다. 반세기가 지난 것이다. 아, 세월이 참으로 덧없이 흘러갔다! 그때 나는 서대문

해질녘에야 문을 여는 달맞이꽃

오대천 따라 걷기 5-3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아무도 다니지 않는 한적한 도로로 들어섰다. 오른쪽으로 개다래나무가 자주 나타난다. 다래나무과에 속하는 개다래나무는 덩굴식물로서 줄기는 4~6m에 달한다. 잎의 상반부 또는 전체가 하얗게 되는 산반현상을 나타내어 멀리서도 개다래나무를 뚜렷이 알아볼 수 있다. 걷기에 좋은 길이 계속 이어진다. 모퉁이를 돌자 갑자기 벌들이 나타난다. 마침 지나가는 사람이 있었는데, 우리보고 벌을 조심하라고 일러준다. 벌통이 400통이나 길가에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사람이 지나가자 호기심 많은 가양이 요즘 무슨 꿀을 따느냐고 물었다. 피나무꿀과 밤나무꿀 그리고 잡꿀을 딴다고 한다. 벌통을 지나고 도로 차단기를 지나자 다리가 나타났다. 수항교다. 반대편에서 수항교까지는 차로 들어올 수 있다. 우회도로(구 59번도로)가 끝나고 터널을 통과한 59번 도로로 나왔다. 이제부터는 막동리가 시작된다. 막동리(幕洞里)는 진부면의 남부지역으로 이곳에 처음 정착한 사람들이 움막을 치고 살았다고 해서 막골이라고 불렀다. 1906년에 평창군에 편입되었다. 《조선지지(朝鮮地誌)》에 막동, 현재도 막동이다. 59번 도로를 따라 계속 남쪽으로 내려갔다. 다시 터

음양이라는 세상의 이치는 신비한 것

오대천 따라 걷기 5-2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계속 오대천의 왼쪽 언덕을 따라 내려가자 마평1교가 나타났다. 마평1교는 세월교(洗越橋)다. 세월교는 비가 많이 오면 물에 잠기도록 만들어진 다리를 말하는데, 잠수교라고도 한다. 평상시에는 다리를 건널 수 있으나 홍수가 나서 다리가 잠기면 건널 수가 없다. 서울시 서초구 반포대교 아래에 있는 잠수교를 생각하면 이해가 될 것이다. 마평1교를 건넌 뒤에 마평 삼거리로 올라가지 않고 왼편으로 걸어가 둑길로 들어섰다. 이제는 오대천의 오른쪽 둑길을 걷는다. 길 오른쪽으로는 감자밭, 배추밭, 파밭이 이어진다. 배추를 벌써 수확한 밭도 보인다. 배추를 수확하면 다른 작물을 심을 것이다. 이곳 진부에서도 이모작을 할 수 있다. 오대천의 오른쪽 언덕을 걷다가 다시 59번 도로로 올라왔다. 이제는 수항리로 접어들었다. 수항리(水項里)는 진부면 소재지 남쪽에 있는 마을로 오대천의 물목(물이 흘러서 들거나 나는 어귀를 말하는 토박이말)이 되므로 물목, 수항, 물항이라고 하였다. 《조선지지》에 수항리로 나왔고, 현재도 수항리라고 한다. 본래 강릉에 속했던 지역인데 1906년에 평창군에 편입되었다. 도로를 따라 걸어 낮은 고개를 넘어갔다. 낮

수백 척 절벽 난간서 강물에 투신한 청심

오대천 따라 걷기 4-3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신기교를 건너면 거문리(巨文里)이다. 우리는 이제부터 (구)59번 도로를 따라 남쪽으로 내려간다. 오대천은 길의 왼쪽으로 흐른다. 거문리의 어원을 조사해 보았다. 옛날에는 거문리를 거커리라고 하였는데, ‘큰 글’이라는 의미라고 한다. 마을에 모양이 마치 붓끝처럼 생긴 문필봉(文筆峰)이라는 산이 있어서 거커리라고 하였다. 학자를 많이 배출할 지형이라고 한다. 벼농사가 잘 되어 ‘일강릉 이거컬’이라고 할 정도였다고 한다. 거문리로 들어가는 입구에 둥근 돌탑 2개를 쌓아 놓았다. 돌탑이 있는 사거리에서 오른쪽으로 들어가면 거문리 마을이 나온다. 거문리는 넓은 분지 형상인데, 농경지가 많고 초등학교가 있을 정도로 규모가 큰 마을이다. 우리는 거문리로 들어가지 않고 (구)59번 도로를 따라 걸어갔다. 날씨가 흐려지더니 비가 조금씩 뿌리기 시작했다. 다행히도 이번 구간의 종착지인 청심대까지는 멀지 않았다. 장마전선이 중부지방에 걸쳐 있다는데, 오늘은 비 때문에 고생하지 않았다. 청심대가 있는 곳의 지명은 마평리이다. 마평리는 진부면의 남쪽 방향에 있는 마을로 《조선지지》에 마평리(馬坪里)이고 현재도 마평리이다. 조선 시대 말먹이를

‘꿀벌 집단 실종’, 환경 재앙 불러올 것

[오대천 따라 걷기 4-2]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봉평에 살면서 나는 노년에 귀촌한 사람들을 많이 알고 있다. 사업을 하여 많은 돈을 번 사람도 여럿 알고 있다. 그러나 아직 돈 버는 일에서 완전히 손을 뗀 사람은 보지 못하였다. “이제는 사업을 접고서 노년을 즐겨야지”라고 말은 하지만 실제로 사업에서 손을 뗀 사람을 보지 못하였다. 아직도 “어디에 싼 땅이 나왔다”라는 정보를 들으면 반드시 가서 보고 온다. “돈을 더 벌어 자식에게 더 많이 물려주면 그것도 좋지 않겠는가”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술 마실 때 하는 건배사에 ‘쓰죽’이라는 말이 있다. 중국어가 아니고 ‘쓰고 죽자’의 준말이다. 내가 술자리에서 “수의에는 주머니가 없답니다. 자 건배사를 하겠습니다. 쓰~죽~”이라고 하면 모두 쓰~죽~이라고 외친다. 그러나 대부분 사람은 기회만 생기면 돈을 더 벌려고 애쓴다. 어떤 사람은 틀림없이 돈이 되는 사업이 자꾸만 눈에 보인다고 말한다. 모든 사람에게 하루는 정확히 24시간이고, 한해는 365일이다. 돈을 버는 데 사용하는 시간이 많아질수록 돈을 쓰는 시간은 적어질 것이다. 아주 간단한 뺄셈인데도 욕심에 눈이 어두워 깨닫지를 못한다. 박 사장은 여러 가지 면에서 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