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김슬옹 교수] 놀라운 청음 사건 1433년 설날, 경복궁에서는 새해맞이 아악(정아한 음악이라는 뜻으로 의식용 음악) 연주회가 열렸다. 편경 연주를 다 들은 세종이 이렇게 말했다. 아홉 번째 소리가 음이 약간 높은 듯하구나. 어찌된 일인가? 이 때 음악 총감독이었던 박연은 깜작 놀라 직접 편경을 살펴보니 아홉 번째 돌에 먹물이 아직 마르지 않았다. ▲ 《세종실록》 오례의에 있는 편경 그림(왼쪽), 1433년 음력 1월1일 세종의 지음도(세종대왕기념사업회 소장) 박연이 먹물을 말리니 음이 제대로 나왔다. 멀찍이서 연주를 듣고 반음보다 더 섬세한 음을 잡아냈던 세종. 이처럼 음악에 조예가 깊었던 세종은 실제로 음악가이자 작곡가였다. 박연과 더불어 우리나라에 잘 어울리는 악기를 만들고 표준음을 제정하고 실제 많은 노래를 작곡했다. 세종은 음악 재능이 뛰어나 어린 시절 양녕 형에게 거문고를 가르쳐 주기도 하였고 정간보란 악보를 창안하였으며 정간보로 작곡된 세종악보가 세종실록 부록으로 무려 640여 쪽이나 실려 있다. 이렇게 바로잡은 음악을 바탕으로 세종은 음악 정치를 통해 백성들이 평화롭고 조화롭게 사는 태평성대를 열었다. 15세기에 표준음을
[그린경제/얼레빗=김슬옹 교수] 1434년 가을걷이가 끝나갈 무렵, 서울 광화문 네거리에 있는 혜정교와 종묘에 사람들이 모여 웅성웅성 댔다. 어머, 저게 우리 임금님께서 누구나 시각을 알 수 있게 만든 오목해시계래. 우리 같은 까막눈 백성들이 시각을 알 수 있게 시각 표시를 동물로 표시했대. 말 그림을 바로 가리키면 낮 12시래. ▲ [사진 1] 세종 때 앙부일구를 전시해 놓았던 받침돌, 현재 탑골 공원 한 구석에 있다. ▲ [사진 2] 서울 광화문 교보문고 옆의 혜정교터 표시 비석. 세종은 이곳에 오목해시계를 설치하여 오고가는 백성들이 시간을 알게 하였다. ▲ [사진 3] 종묘에 복원해 놓은 오목해시계와 동물이 표시 된 내부 모습 번다한 길거리에 있어 더욱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시각을 보고 한 마디씩 하느라 정신이 없었다. 엄마아빠 따라 나온 덩치 큰 어린애들은 돌 위에 올라가 시간을 살피기도 했다. 사진 1이 바로 그 당시 오목해시계(앙부일구, 仰釜日晷)가 설치되어 있던 돌이다. 길이가 1미터 남짓인데다가 2단 위에 있어 네다섯 살 아이들까지도 돌 위에 올라가 시간을 알 수 있었다. 혜정교에는 복원이 안 되어 있고 기념 비석만 있고(사진 2
[그린경제/얼레빗=김슬용 교수] 세종 26년, 1444년 여름이었다. 세종은 이렇게 말한다. 나라는 백성으로 근본을 삼고, 백성은 먹는 것으로 하늘을 삼는 것인데 농사는 입는 것과 먹는 것의 근원으로 임금의 정치에서 먼저 힘써야 할 것이다_1444년(세종 26년) 윤7월 25일 그 어느 시대건 먹는 문제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 먹는 것으로 하늘을 삼는다는 것은 제대로 먹어야 사람답게 이 세상을 떠받치는 사람구실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세종은 바로 가장 중요한 사람의 문제, 백성의 문제를 정확히 꿰뚫었다. 정치란 특별한 것이 아니었다. 백성들이 사람답게 살기 위한 터전을 만들고 법을 만들고 더 나은 제도를 만들면 되는 것이었다. ▲ 세종 때 정초 등이 꼭 필요한 농사지식만 모아 펴낸 《농사직설(農事直說)》 1. 굶주리는 백성들 세종이 임금이 된 그 다음 해인 1419년(세종 1년)에 흉년이 들고 온갖 자연 재해가 끊이질 않았다. 세종은 굶어 죽는 백성들을 보고 그들을 제대로 구제하지 못하는 현실이 가슴이 아파 신하들에게 2월 12일에 이렇게 말했다. “백성(국민)은 나라의 근본이요,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과 같이 우러러보는 것이니라. 요즈음 홍수와 가뭄 등
[그린경제/얼레빗=김슬옹 교수] 최근 어떤 아는 젊은 여성을 공적인 일로 만났는데 배가 남산만 했다. 임신 몇 개월인데 아직도 일하고 있냐고 물었다. 임신 8개월이라고 했다. 그럼 출산 휴가는 언제 가려느냐고 했더니 고민 중이라고 했다. 공식(월급이 나오는) 출산 휴가는 아기 낳기 전후 3개월인데 아기 낳기 전에 많이 쉬면 아기 낳고 빨리 나와야 하기 때문에 그 시기를 저울질한다고 했다. 세종대왕은 관노비에게 무려 네 달이 넘은 137일, 그 남편에게도 한 달을 출산 휴가를 주었다고 했더니 그럼 지금이 세종 시대보다 못하다는 거냐고 쓴웃음을 짓는다. 세종 임금 이전에 산모는 아기 낳기 전 한 달, 아기 낳고 나서 7일 모두 37일을 쉬었다. 아기 낳기 한 달 전이야 그렇다 치더라도 아기 낳고나서 7일 만에 일을 하라는 것은 산모 상태로 보아 매우 위험한 일이었다. 세종은 1426년(세종 8년) 4월 17일에 이 문제의 심각성을 깨닫고 여성의 출산 휴가 제도를 담당하고 있는 형조에 지시하기를 관노비가 아이를 낳으면 휴가를 백일 동안 주게 하고, 이를 일정한 규정으로 삼게 하라.라고 하였다. ▲ 그림 오수민 1430년 10월 25일에도 조선 시대 국가의 법규
[그린경제/얼레빗=김슬옹 교수] 아파트 신발장이 무너져 두 어린아이를 덮치는 끔직한 사고가 있었다. 한 아이는 뇌를 다쳐 평생 고통 속에서 살아야 한다. 국민들의 보금자리를 보급하는 공기업 엘에이취(LH)가 지은 아파트에서 일어난 일이다. 이런 사고를 겪고도 제대로 대처하지 않아 또 신발장이 한 아이를 덮쳤고 끝내 아이는 생명을 잃고 말았다. 더욱 비통하고 가슴 아픈 것은 엘에이취 공기업이 제대로 사과하지 않고 대책을 세우고 있지 않다는 점이다. 불만제로 보도에 의하면 이와 똑같이 부실시공한 아파트가 아직도 많다고 한다. 신발장이 넘어진 핵심 이유는 신발장을 고정하는 못이나 나사 하나 안 박아서이다. 나사 하나만 제대로 박았어도 그런 비극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거의 모든 대형 사고도 사소한 부주의에서 비롯되는 경우가 많다. ▲ 한양도성, 세종 때 고쳐 쌓은 부분. 성을 쌓을 때는 저 돌멩이 하나도 소홀이 쌓아서는 안 된다. 세종대왕은 1422년 1월 17일 도성을 쌓는 공사 보고를 받고 이렇게 말한다. 도성을 보수하고 쌓은 뒤에 혹시 돌 한 개라도 무너져 떨어지는 것이 있으면, 즉시 그 방면의 감독관으로 하여금 보수하게 하고 그리고 나서 관련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