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십장가의 마지막 이야기로, 십악대죄(十惡大罪)는 중국의 당나라 이전부터 정해져 내려오는 10개의 큰 죄로 도둑질을 비롯하여, 간사함, 거짓말, 꾸며댄 말, 험담, 이간질, 분노, 그릇된 생각, 정절 훼손 등이 포함된다는 점, 중국의 영향을 받은 고려나 조선을 비롯하여 동아시아 지역이 본 형법의 체계를 기본으로 했다는 점, 십생구사(十生九死)나 구사일생(九死一生)은 생존율 10%를 강조하는 말이며, 십맹일장(十盲一杖)은 10여명의 맹인이 하나의 지팡이에 의지한다는 뜻임을 얘기했다. 경기 잡가의 노랫말에 견주어 판소리 사설은 오히려 간결하다는 점, 도드리 장단은 되돌아든다, 반복한다는 뜻으로 환입(還入)이라 부르며, 6박 구성이라는 점, 제1-2박은 합장단, 제3박은 채편, 제4박은 북편, 제5-6박은 채굴림 주법인데, 이를 문자로 쓸 때에는 쌍(雙), 편(鞭), 고(鼓), 요(搖)의 장단형이라는 점, 경기좌창은 선율 악기의 반주가 따르지 않고, 주로 장고 장단에 맞추었으며 장단이 느릴수록 음을 꾸미거나 잔가락을 많이 넣는다는 점, 유절형식이며 라(la)-도(Do)-레(Re)-미(Mi)의 상행형 선율과 라(La)-미(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기민요와 고전춤으로 유명한 김단아 명창의 소개와 십장가의 여덟 번째 매질과 관련된 이야기를 하였다. 김단아는 제1회 <비취 전국경기민요 경창> 명창부 대상, <전주대사습놀이> 민요부 장원이라는 경력이 말해 주듯 무용과 소리를 겸비한 예인이며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경기민요 이수자와 서울시 문화재 고법(장단)의 이수자로 활동한다는 점을 얘기했다. 특히 무속(巫俗)소리 가운데 ‘조상거리’나 ‘대감타령’ 같은 가(歌)무(舞)악(樂) 요소가 짙은 노래들을 소재로 작품을 구상해서 대중들과 함께 소통하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있다는 점을 소개하였다. 십장가의 여덟 번째 매질과 관련된 사설에는 팔자, 팔괘(八卦) 등이 나오는데, 8괘란 '음양(陰陽)'의 세계관을 토대로 그 구체적인 삼라만상의 세계를 나타내고 있으며 태극기에도 건, 곤, 감, 이의 네 가지 괘가 그려져 있다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경기좌창으로 불리는 십장가의 아홉 번째 매질을 당하는 대목 이야기로 이어간다. 춘향이가 아홉 번째 매를 맞고 하는 말은 “구차한 춘향이가 굽이굽이(구비구비) 맺힌 설움, 구곡지수(九曲之水) 어니어든 구관 자제만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경기 좌창 중의 <십장가> 이야기를 하고 있다. 지난주에는 춘향이가 신임 사또의 수청 요구를 거역한 죄로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의 매질을 당하며 항변하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 중 <오>자로 시작되는 용어들은 오매불망(寤寐不忘), 오관참장(五關斬將), <육>에서는 육국유세, 곧 춘추전국시대에 여섯 나라의 임금을 설득하여 합종(合從)시켰다는 소진이도 춘향을 설득할 수 없을 것이라는 점과, 혼인 때에 갖추게 되는 여섯 가지 의식이란 의미의 육례연분 이야기, <칠>로 시작하는 칠리청탄(七里淸灘)은 길고도 맑은 강물을 가리키는 말로 여기에 춘향을 내던져도 반드시 이 도령을 만나게 될 것이라는 의지를 보이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얼마 전, 강화군이 주최한 전국국악경연대회에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적이 있었다. 이 대회는 역사가 그리 오래된 대회는 아니나 참가인원이 400여명을 넘을 정도로 인기 있는 대회로 성장해 가고 있다. 여기서 심사위원으로 참가한 김단아 명창을 만나 옛날이야기를 나눈 것이 기억에 남는다. 김 명창은 경기소리와 고전 춤을 함께 전공하고 있는 예인이다. 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경기 좌창 가운데 <십장가> 이야기를 하고 있는 중이다. 지난주에는 춘향이가 세 번째 매질을 당하며 삼(三)자로 시작되는 삼한갑족, 삼강, 삼춘화류승화시, 삼배주, 삼생연분과 같은 말들을 외쳤는데, 이 가운데 삼한갑족(三韓甲族)이란 훌륭한 집안을 뜻한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네 번째 매질에는 사(四)자로 시작되는 사면차지(四面次知), 사서삼경, 사시장춘, 사지(四肢) 등이 나오고 있는데, 경기좌창의 십장가나 판소리 사설에 보이는 “사지를 쫙쫙 찢어 사대문으로 걸쳤어도 가망없고 무가내”라고 항변하는 대목이 인상적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춘향이가 신임 사또로부터 수청의 요구를 거역한 죄로 다섯 번째, 여섯 번째, 일곱 번째의 매질을 당하며 항변하는 이야기로 이어간다. 다섯 맞고 하는 말에서는 <오>자로 시작되는 용어들, 곧 오매불망, 오륜, 오날, 오관참장과 같은 말들이 나온다. 이 부분의 노랫말은 “다섯 맞고 하는 말이, 오매불망 우리 낭군, 오륜에도 제일이요. 오날 올까, 내일 올까, 오관참장 관운장같이 날랜 장수, 자룡같이 우리 낭군만 보고 지고.” 오매불망(寤寐不忘)에서 오(寤)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기 좌창 중, <십장가-十杖歌>의 앞부분, 곧 1~2대의 매를 맞고 항거하는 이야기를 하였다. <십장가>란 판소리 춘향가 중 한 대목으로 새로 부임해 온 사또가 춘향에게 수청을 요구한 것이 거절되자, 10대(十)의 매(杖)로 폭력을 행사하는 대목이 있는데, 이 부분을 발췌하여 경기창법으로 만들어 부르는 노래이다. 이 대목은 춘향가의 핵심 주제라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여인의 정절(貞節)이 권력에 굴복되느냐? 아니냐? 하는 점이 판가름 나기 때문이다. 그러나 춘향은 끝까지 인내하며 정절의 소중함을 깨우쳐주고 있는 것이다. 매질을 당할 때마다 한 대를 맞으면 일편단심(一片丹心), 일종지심(一從之心), 일부종사(一夫從死), 일각일시, 일일칠형(一日七刑)과 일(一)자로 시작되는 관련 내용과, 두 대를 맞고는 이부불경(二夫不敬), 이군불사(二君不事), 이부지자(二父之子)와 같은 이(二)자로 시작되는 내용을 외치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춘향이가 세 번째 매를 맞고는 사또의 부당함을 외치는 대목의 이야기로 이어간다. 세 번째 매와 관련해서는 삼(三)자로 시작되는 삼한갑족, 삼강, 삼춘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까지 경복궁 <지경다지기>이야기를 하였다. 경복이란 이름은 시경(詩經) 중에서 딴 이름으로 큰 복이라는 점, 경복궁은 조선 초기 신진사대부가 지은 궁궐로 유교 이념이 반영되어 수수하고 검소한 형태로 지어졌다는 점, 자금성보다 먼저 지어졌기에 자금성을 본 떠 지었다는 설명은 옳지 않다는 점, 땅을 다지는 작업 중 노래 소리는 작업의 능률을 극대화 한다는 점, 박상옥 외 100여명의 보존회원들은 힘겹게 지켜오다가 단절위기를 맞게 되었다는 점,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해 줄 것을 건의했으나 <거절>당했다는 점, 이러한 유산은 올곧게 지켜져야 하는데, 서울시의 재고를 바란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주에는 경기 좌창 가운데 심장가에 관한 이야기다. 춘향이가 새로 부임해 온 변 사또에게 10대의 매를 맞게 되는 대목이 바로 십장가다. 이 대목은 판소리로 전해 오는 대목이다. 그러나 이 대목을 발췌하여 경기소리의 창법으로 부르는 노래가 바로 경기잡가, 십장가인 것이다. 이 도령과 이별을 한 뒤, 쓸쓸하게 지내고 있는 춘향에게 남원으로 부임해 온 변사또는 수청 들것을 요구해 온다. 그러나 춘향이가 강력하게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복궁 지경다지기의 제5과정인 <자진 지경다지기> 이야기를 하였다. 땅을 자주 자주 다지며 자진방아타령을 부르는데, 사설은 구수하면서도 의미를 되새기게 만드는 재미있는 구성이란 점, 제6과정은 더 잦게 다지는 과정으로 <이엿차>라 부르며 노랫말도 4자 1구로 규칙적이란 점, 마지막 과장은 뒷놀음의 순서인데, 힘들고 지루함을 잊고 신명나게 춤을 추며 한바탕 노는 마당이란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조선시대 대표적 궁궐, 경복궁은 서울 종로구에 있고, 사적 제117호로 지정되어 있는 건물이다. 조선을 건국하고 이성계는 한양으로 천도하면서 먼저 경복궁을 지었는데, 시경(詩經) 가운데 "이미 술에 취하고 이미 덕에 배불렀어라. 임이시여, 만 년 동안 큰 복을 누리소서."(旣醉以酒 旣飽以德 君子萬年 介爾景福)라는 시 끝부분의 <경복(景福)>을 딴 것으로 정도전이 지었다고 한다. 그 뜻은 큰 복이라는 뜻이다. 그러나 경복궁 건축의 실질적 인물은 누구인지 분명치 않다. 신도궁궐조성도감(新都宮闕造成都監)의 책임자 심덕부로 보는 시각도 있고, 또는 환관 김사행(金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지경다지기의 작업과정이 힘들기는 하나, 절대 소홀히 할 수 없다는 의미에서 사상누각(砂上樓閣)을 이야기 하였다. 제4과장은 휴식을 취하며 펼치는 마당놀이의 순서로, 여기서 부르는 민요가 서울, 경기지방의 노동요인, <양산도>와 <방아타령>등이란 점, 이 노래들은 간단 소박한 가락과 단순한 장단이 특징이고, 노랫말에서도 직설적인 표현이 많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경복궁 지경다지기의 제5과장인 <자진 지경다지기> 이야기로 이어간다. 이 과정에서는 모든 참여자들이 자진방아타령을 부르며 자주 자주 지경을 다지는 과정인데, 역시 경기민요의 자진방아타령과는 다른 형태로 서울. 경기지방의 노동요인 <자진 방아타령>을 부른다. <자진>, <잦다>란 말은 ‘동작이 재다’ 또는 ‘빠르다’는 뜻이다. 참고로 전통적인 우리음악의 형식 중에는 만(慢)-중(中)-삭(數)이 대표적이다. 곧 처음에는 느리게 시작하여 점점 빠르게 진행되는 형식으로 <자진>은 곧 그 삭(數)에 해당되는 말이다. 예를 들어, 기악의 독주음악으로 널리 알려진 산조음악은 느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복궁 지경다지기>의 세 번째 과정인, 초(初)지경 다지기를 소개하였다. 소리꾼 모두가 장단과 호흡을 맞추어 가며 뒷소리를 받게 되는데, 이는 무거운 돌을 들어 올리거나 내릴 때, 운율의 일치로 힘의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다는 점, 지경다지기 소리에는 “에여라 저어”와 “에여라 지경이요” 같은 두 종류의 후렴구가 있는데, 전자가 4글자 단위, 후자는 10글자 안팎의 문장이라는 이야기도 하였다. 육체적 노동은 말 할 것도 없고, 정신적 활동, 또는 매사 모든 일의 전개 과정이 그렇듯이, 기초가 튼튼하고 확실해야 함은 절대적이라 하겠다. 집 짓는 경우를 예로 든다면, 그것이 비록 작은 초가집이라도 땅을 단단하게 다지고 그 위에 기둥을 세우는 일은 절대적인 과정이 될 것이다. 더욱이 수백 수천이 함께 살아가는 공동주택이라면 그 중대성은 더 이상 강조할 것이 없다. 그런데 그 옛날 한 나라의 임금을 위시하여 3,000여명의 대가족이 함께 살게 되는 궁궐을 짓는 공사에서 땅을 굳건하게 다지는 기초작업의 중대함은 더 말할 나위가 있겠는가! 만일 이러한 과정이 힘들고 괴로워서 적당히 끝맺음을 하거나, 또는 소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복궁 지경다지기>에 관한 간단한 소개를 하였다. 경복궁(景福宮)은 서울에 있는 조선시대의 궁궐 이름이고, 지경다지기란 집을 지을 때, 집터를 단단하게 다지는 것을 말함이고, 흥선 대원군이 경복궁을 지을 당시의 지경다지기 재현 과정은, 궁터 고르기, 동아줄 디리기, 초 지경다지기, 마당놀이, 자진 지경다지기Ⅰ, Ⅱ(이엿차), 뒷놀음 등으로 짜여져 있다는 점, 궁터를 고르는 가래질소리는 모갑이의 ‘오험차 다루세’로 시작되는 메기고 받는 형식의 노작요이고, 제2과장 지경줄 디리기는‘디리세, 디리세, 지경줄을 디리세.’를 후렴귀로 하는 소리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주에는 <경복궁 지경다지기>의 3과장인 지경다지는 과정을 소개를 해 보도록 한다. 이 과정은 기수(旗手)를 제외한 전원이, 큰 돌에 지경 줄을 묶어놓고 원으로 둘러선 다음, 하나의 지경 줄에 여러 명이 줄을 잡는다. 그리고는 줄을 당겨 큰 돌을 동시에 들었다, 놓았다 하며 지경을 다져나가는 과정이다. 이때 중요한 것은 무엇보다도 모갑이(우두머리 선소리꾼)의 메기는 소리에 전원이 장단과 호흡을 맞추어 가며 뒷소리를 받아야 한다는 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