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임종복의 <가야금병창>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병창이란 창자(唱者)가 직접 가야금을 연주하면서 단가나 민요, 또는 판소리의 눈 대목 등을 부르는 연창의 형태라는 점, 성악은 선율악기의 반주로 음정이나 장단을 맞추기 용이하므로 가야금 반주는 음정, 선율, 연결, 강약, 흐름, 장단의 도움이 크다는 점, 장월중선류 가야금병창은 그 소리제가 점점 위축되어 왔으나 문화재 제도의 마련으로 명맥을 이어가고 있으며 임종복을 위시한 전승자들이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는 점을 얘기했다. 장월중선은 김채만-박동실로 이어지는 고제(古制)의 소리와 <유관순 열사가>와 같은 창작 판소리도 불렀던 명창이란 점, 큰 선생의 유음을 간직하고 있으면서도 항상 연구하는 자세로 소리 공부에 진력하는 임종복의 모습이 진지하며 모범적이라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충남 부여에 자리 잡고 있는 <내포제시조보존회>가 주최한 2018년도 시조강습회 관련 이야기로 이어간다. 충청남도에는 시조를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인, 내포제시조보존회가 구성되어 있다. 이들은 시조회관에 모여 열심히 시조창을 부르면서 또 한편으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경북 포항에서 오랜 기간 가야금병창 분야의 연주활동을 해 오고 있는 임종복의 활동상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가야금병창>이란 소리꾼이 가야금을 스스로 연주하면서 단가나 민요, 또는 판소리의 눈 대목 등을 부르는 연창의 형태라는 점, 임종복은 장월중선(張月中仙, 본명-순애)의 소리제를 잇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으며 스승의 유음을 가다듬기 위해 스승의 장녀인 정순임 명창에게 소리전반을 공부하고 있다는 점을 애기했다. 또 문화체육관광부는 장판개-장월중선-정순임으로 3대째 이어지는 집안을 판소리의 명가(名家)로 지정하였으며 장월중선은 1960년대 초부터 경주에 정착하여 판소리, 가야금산조와 병창, 아쟁산조, 민속춤 등, 다양한 장르를 전승시켜 왔다는 점, 경상북도는 장월중선의 판소리와 가야금병창을 무형문화재로 지정하고 경주시에서는 판소리를 기본으로 하는 창극공연과 전국 국악경연대회, 학술행사 등을 매해 열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우리가 경험해 본 것처럼, 노래는 혼자 부를 때와 반주악기가 곁들여 질 때가 전혀 다르게 반응한다. 선율악기의 반주가 있다면 음정을 가늠할 수 있고, 선율의 흐름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던 노혜경의 이야기를 하였다. 살풀이 춤이란 살풀이장단에 맞추어 수건을 들고 춘다고 해서 수건춤, 또는 즉흥무라는 이름이 있다는 점, 기(技)의 극치로 예(藝)에 이르는 춤으로 정중동의 신비스러움과 자유스러움, 환상적인 춤사위는 예술적 차원을 뛰어넘는다는 점, 원래는 살(煞)을 푼다는 의미로 시작되었고 이를 가다듬어 교방에서도 추었으나 현재는 무대화된 전통춤으로 자리를 잡았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리고 도살풀이, 살풀이, 동살풀이와 같은 말들은 시나위권에서 불리는 살풀이를 두고 달리 부르는 이름이란 점, 100년 전 화보에 살푸리춤이라는 명칭 소개가 있으나 본격적으로는 1930년대 후반, 한성준(韓成俊)이 <조선음악무용연구회> 이름으로 공연을 한 이후라는 점, <한국예인열전> 무대에서 노혜경은 이매방류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열띤 호응을 받았는데, 그는 무대에 오르기 전에는“마음이 고와야 춤이 고운 법”이라는 스승의 전언을 떠 올린다는 점, 그는 무용학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취득한 흔치 않은 학구파 춤꾼이란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2018 한국예인열전”에서 역동적이며 신명나는 무대를 만들어 주었던 김윤미의 버꾸춤 이야기를 하였다. <버꾸>란 충청도 지방이나 전라도 지방에서 부르는 매구북의 딴 이름으로 소고(小鼓)를 말한다는 점, <법고>의 음성모음화 된 말이 <법구>이고, 법구를 연음화하여 된 발음으로 부르는 명칭이 <버꾸>라는 점을 얘기했다. 이 춤은 금당도의 풍물놀이에 속해 있던 소고잽이들의 춤가락을 기본으로 해서 무대화 한 춤이란 점, 버꾸를 돌리기도 하고, 차올리기도 하며 현란한 개인기를 발휘하여 매우 토속적인 분위기를 자아내었다는 점, 마당놀이에서 볼 수 있는 크고 거친 동작들을 더 세련되게 무대로 끌어들여 객석의 반응을 고조시켰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살풀이춤>으로 객석의 뜨거운 호응을 받았던 노혜경의 이야기로 이어간다. 살풀이 춤이란 살풀이장단에 맞추어 수건을 들고 추는 춤이다. 수건을 들고 춘다고 해서 수건춤이라는 이름도 있고, 음악이 흐르는 대로 즉흥적 춤사위를 보인다고 해서 즉흥무라는 이름도 있다. 여하간 이 춤은 한국인의 멋과 흥을 자랑하는 대표적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강향란의 징춤 이야기를 하였다. 강향란은 남사당놀이 이수자로 활동하고 있는 춤꾼이란 점, 풍물세계의 외로움과 징의 애환을 춤 속에 담았는데, 역동적이며 거친 느낌이 풍긴다는 점, 징(鉦)은 단일 음정을 지닌 타악기로 궁중에서는 대금(大金)이라 불렀으며 군영에서 퇴각시 신호용 악기로 사용되었다는 점, 현재는 풍물놀이, 무속음악, 종묘제례악, 대취타, 불교음악 등에 쓰이고 있는데, 주로 강약을 조절하며 장단의 첫 박을 알리는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을 얘기했다. 강향란의 징춤은 굿거리-덩더꿍-휘모리-굿거리장단으로 전개되며 장단별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 점, <부평풍물축제> 명인전을 비롯하여 <KBS 국악한마당>, <국악의 향기>, <명인 명무전>, <FIA 국제예술제> 등 큰 무대에서 선을 보여 왔고 이제 그의 징춤은 한(恨)과 도(道), 그리고 흥(興)을 신명으로 풀어낸 남사당 무동이의 대표적인 풍물춤으로 자리잡았다는 평가를 받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2018 한국예인열전”에서 역동적이며 신명나는 무대를 만들어 주었던 김윤미의 버꾸춤 이야기로 이어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까지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 장인의 이야기를 하였다. “내 몸 이상으로 사랑하지 않고는 명품(名品)이 나올 수 없다”는 신념으로 악기제작에 정성을 들이고 있다는 이야기, 조선시대에는 장악원이나 악기조성청과 같은 임시관청에서 만들었을 뿐, 개인의 힘으로는 제작이 불가했다는 이야기, 그는 중국 각지를 찾아다니면서 힘들게 경석 재료를 수입해 오다가 2009년 이후에는 경기도 남양의 경석으로 제작한다는 이야기를 했다. 그러나 악기 제작의 전수, 이수를 희망하는 젊은이들이 없어 장남과 차남에게 장인으로서 갖추어야 할 기능과 정신을 전승시키고 있다는 이야기, 문화재청에서는 편종과 편경의 분리문제, 재료비 지원문제, 전수조교의 확보문제 등 행정적인 배려를 서둘러 주어야 한다는 이야기, 전국의 대소 박물관, 각급학교, 공연장 등에 교육적인 전시가 이루어지도록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강향란의 징춤 이야기를 한다. 징춤이란 징을 들고 가볍게 울리거나 두들기면서 추는 춤이다. 얼마 전, 서울남산국악당에서는 <풀뿌리문화연구소>가 제작 기획한 –한국예인열전 공감(共感) 동락(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유일한 제작자, 김현곤이 이 길에 들어선 과정을 소개하였다. <연악사>에 입사한 후, 각종 악기의 구조와 발음원리, 재료에 관심을 갖게 되었고, 이왕직아악부 출신의 이병우(李炳祐) 명인을 만나게 되면서 국악기의 종류와 특성, 기초이론에 눈을 뜨게 되었다는 이야기, 이병우(1908~1971)는 국립국악원 전신이었던 이왕직아악부 제1기생 9명 가운데 한 사람으로 피리, 단소, 양금 연주가 뛰어났으며 양악기를 잘 다루어 고려교향악단에 입단했다는 이야기, 이병우의 집안은 전통음악의 명가라는 이야기를 했다. 또 김현곤은 편종, 편경을 제작하면서 중국, 일본을 비롯하여 세계의 여러 타악기 공방들을 탐방했고, 제작기법을 터득하며 지금도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다는 이야기, 베트남의 궁중음악인 나냑(雅樂)이 2003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되었음에도 베트남의 편종, 편경 제작은 그 전승이 단절되어 있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그래서 2010년, 베트남 후에유적 보전센터에서는 한국으로 복원 요청을 해 와 김현곤 명인이 초청된 바 있었다. 그는 수개월간 그 곳에 파견되어 베트남식 편종과 편경을 완벽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우리음악사에서 황금기라고 말하는 세종 세조시대의 음악적 사건들을 알아보았다. 요약하면 아악의 정리, 편종과 편경과 같은 악기의 제작, 조회와 회례, 제례의 음악 제정,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와 여민락(與民樂), 정대업(定大業)과 보태평(保太平)과 같은 대악의 창작, 그리고 정간(井間)악보 및 오음약보(五音略譜)의 창안과 악보집 간행, 등이 주 내용이다. 또한 세종임금의 음감이 뛰어났다는 이야기와 함께 나라에 변란이 생기면 우물에 편경을 숨겨놓을 정도로 귀중하게 다루었다는 이야기, 세종 이후에도 편경의 제작은 간간히 있었으나 1969년 이후에는 남갑진과 김현곤이 함께 해 오다가 현재는 김현곤 1인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편종이나 편경을 제작하기 위한 기술복원의 다양한 정보나 각종 기록은 김현곤 명인의 잠재된 능력을 일깨우기 시작한 것이다. 그는 스스로 제작한 편종과 편경을 1980년대 초부터 국립국악원을 비롯하여 각 대학 국악과나 또는 전문 연주단체에 보급하기 시작하였다. 개인의 제작이 불가능하다는 이전의 통설을 깨고 국내 유일의 편종과 편경의 제작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명인이 된 것이다. 과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경을 소홀히 다루거나 잘 못해서 깨뜨리게 되면, 곤장 백대의 중벌이 내려진다는 이야기와 함께 조선조 세종 이전에 국내에서는 편경을 만들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그래서 와경(瓦磬)으로 대체하여 썼지만 와경은 울림이 짧고 맑지 못해서 경돌처럼 매끄럽고 고운 소리를 낼 수 없었다는 점, 세종 7년(1425), 경기도 수원 남쪽의 남양에서 경석이 발견되어 편경을 제작하였다는 이야기, 편경은 춥거나 덥거나 기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기에 여러 악기의 조율시, 표준악기로 삼을 수 있었다는 이야기를 했다. 중국은 12매나 32매의 편경도 있고, 크기에 따라 높낮이를 결정하지만 우리는 16매 모두가 크기가 같고 두께에 따라 높낮이가 결정된다는 이야기, 경석 발견 뒤 5년 동안 편경 33틀을 제작하였고 여기에 130여명의 장인들이 참여하였다는 이야기, 현대에 와서는 김현곤 명인이 편종이나 편경을 혼자 제작하고 있으며 그 배경도 단절된 제작기술을 복원시킬 수 있도록 갖가지 정보와 기록이 밑받침 되었기에 가능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제작이 우리 음악사에서 얼마나 중요한 사건이었나 하는 점을 살펴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편종과 편경의 외형 모습이 비슷해 보이지만, 편종은 목사자, 편경은 백아(白鵝), 곧 흰거위를 받침대로 쓰는데 그 이유는 편종 소리는 웅장하고, 편경은 청아한 것을 상징하기 때문이란 점, 또한 편종의 틀이 용머리인데 비하여 편경은 봉황의 머리를 조각해서 쓴다는 점, 편경은 경석 끝부분인 고(鼓)를 가볍게 쳐야 맑은 소리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외부 침략이나 내란, 또는 관리소홀 등으로 파손되면 스스로 제작이 어려워 명(明)나라로부터 사오다가 조선조 세종 때부터는 국내에서 직접 편종과 편경을 제작, 사용해 왔다는 점, 또한 편종은 주종소(鑄鐘所)를 설치하여 국내 생산이 가능했다는 점, 그러나 편경의 경우에는 그 재료인 단단한 옥석을 구하는 일이 어려웠다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조선조 세종 이전에 국내에서 편경을 제작하였다는 기록은 없다. 아마도 그 까닭은 편경의 재료인 경석을 찾지 못했기 때문에 중국에 가서 직접 사 온 것으로 짐작되기 때문이다. 또한 중국에서 구해오는 과정도 여의치 못할 경우, 기와를 구워서 만든 와경(瓦磬)으로 대신했다고 한다. 이때 편경의 귀중함을 나타내는 단적인 말이 전해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