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지난주에는 서해안 여인들이 부르는 갯가노래에 관하여 이야기 하였다. 인천 근해의 아낙네들이 갯가에서 굴을 따거나 조개를 캐며 부르는 노래에는 <군음>과 <나나니타령>이 있는데, 군음이란 자신의 처지를 한탄조로 읊조리는 소리이고, <나나니타령>은 장단이나 선율선이 듣는 사람들로 하여금 흥겹고 정겨우며 친근감을 준다는 이야기, 선소리꾼이 선창을 하면 나머지 대부분의 참여자들이 간단한 소리로 받는 메기고 받는 형식이란 이야기, 단순한 작업요라기보다는 선율구조가 유희요의 성격을 띠고 있으며 노랫말과 장단형이 8장단에 맞추는 규칙적인 진행이란 점도 이야기 하였다. 후렴구는 <나나나나 산이로다. 아니 놀고 뭘 할 소냐>를 굿거리 8장단에 부르고 메기는 소리도 노래말과 장단의 말 붙임이 후렴구와 동일해서 8장단에 부른다는 이야기, 메기는 소리의 가사는 상당수가 있으나 그때그때 분위기에 따라 적절한 가사를 인용하며 즉석에서 재치있게 만들어 부르기도 해서 즉흥성이 강하다는 점, 여성들의 노래로 평소 생활 속에서 빚어진 가족이나 이웃과의 불편한 관계를 슬기롭게 해소하고 서로 서로 손을 맞잡게 되는 좋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인천 근해의 뱃노래 중에서 어선 뱃노래와 시선뱃노래에 포함되어 있는 <닻감는 소리>, <노젓는 소리>, <바디소리>, <배치기>, <쟁기소리>, <간닦는 소리> 등을 소개하였다. 닻감는 소리란 출항을 위해 닻을 감아 올릴 때 부르는 소리로 작업요의 빠른 손놀림을 위한 특징답게 2~3개의 주요음이 주 구성음이고, 2박 계통의 간결한 리듬과 메기고 받는 형식으로 되어 있다는 점, 노젓는 소리는 2인, 또는 4인이 나누어서 메기고 받는데, 메기는 소리에는 다양한 노랫말이 나오며 상호 격려의 내용이나 신세 한탄조가 많다는 점을 얘기했다. 바디소리란 그물에 든 고기를 배위로 퍼 올릴 때, 부르는 소리로 빠른 동작에 맞추어 빠르게 부른다는 점, 배치기는 배위에서의 선상 배치기와, 선주(船主)네 집 마당에서 펼치는 마당놀이 형태의 배치기가 있다는 점, 후자의 경우에는 북이며 장고, 징, 꽹과리, 태평소 등 신명을 울리는 모든 타악기들이 노래와 춤과 함께 벌어지게 되고 메기고 받는 형태라는 점, 시선뱃노래의 노젓는 소리는 음악적 요소가 풍부하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지난주에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어 있는 <인천근해 갯가노래와 뱃노래>에 관하여 이야기 하였다. 서해안에는 어류자원이 풍부해서 인천 근해에도 어선들의 고기잡이가 활발했고, 썰물에는 마을 아낙네들이 갯가에서 조개 등 어패류를 채취하였는데, 육체적 노동의 과정을 노래와 춤으로 함께 하면서 이겨냈다는 점, 이러한 현상은 어업뿐 아니라 어초(魚樵)에서부터 논밭을 경작하거나 김을 매는 경운(耕耘)을 생업으로 삼는 민중들의 반려가 되었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인천을 중심으로 한 서해안 지역의 어업 관련노래에는 남정네들의 <어선 뱃노래>와 <시선 뱃노래>가 있고, 아낙네들의 <갯가노래> 등이 대표적이란 점, 어선 뱃노래에는 <닻감는 소리>를 비롯하여 <노젓는 소리>, <바디소리>, <배치기>, <쟁기소리>와 <간닦는 소리> 등이 포함되고, 시선뱃노래에는 <노젓는 소리>, 그리고 여성들이 부르는 갯가노래에는 <군음>과 <나나니타령>이 대표적이란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인천 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지난주에는 왕기석 일행의 토막창극 <화초장> 대목을 소개하였다. 흥보가 부자 되었다는 말을 듣고 흥보집으로 온 놀보가 동생이 부자된 내력을 듣고는 당장 제비를 잡으러 가겠다고 일어선다. 그러다가 붉은 화초장을 보고, 빼앗다시피 하여 메고 가면서 신명나게 부르는 노래가 화초장 대목이라는 이야기, 사설이 매우 재미있게 꾸며져 있어 웃음을 연발하게 된다는 점, 같은 대목이라도 박봉술과 박녹주는 부분, 부분 사설치레가 다르다는 점을 얘기했다. 동편제 송만갑의 제자로는 박봉래와 김정문이 대표적인데, 박봉래의 소리는 그의 아우 박봉술에게 이어졌지만, 그 이후에는 확산되지 못하였다는 점, 송만갑의 또 다른 제자 김정문의 소리는 박녹주와 강도근이 이어 받았으며 여류 명창 박녹주의 소리에서는 아니리가 많이 다듬어져 있다는 점, 현재는 박녹주로 이어진 흥보가가 널리 불리고 있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이번 주에는 인천광역시 무형문화재 제3호로 지정되어 있는 <인천근해 갯가노래와 뱃노래>에 관한 이야기를 한다. 지난 10월 14(토) 낮 3시, 인천무형문화재 전수교육관 야외공연장에서는 인천근해의 갯가노래와 뱃노래의 제52회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지난주에는 젊은 국악인들이 조직한 <민속악회 정(正)> 이란 그룹의 창단연주회를 소개하였다. 현대감각이란 명분아래 전통음악의 뿌리가 점점 허약해져 가고 있는 공연계를 바라보며 의기투합하여 악단을 조직하였고, 삼성동 소재, 한국문화의 집(Kous)에서 창단 연주회를 준비하고 있다는 점, ‘악자위동(樂者爲同)’이란 음악이야말로 모든 사람을 하나같이 같게 만든다는 의미로 이는 신분이 다른 사회 구성원을 음악을 통해서 상호 조화의 길로, 화합의 길로 안내하는 역할을 음악이 해야 한다는 점을 말했다. 이 원리를 이해한다면 남과 북이 총부리를 겨눌 것이 아니라, 손을 잡고 함께 나와 아리랑을 부르는 것이 화합의 길로 더 빨리 달려가는 길임을 알아야 한다는 점도 강조하였다. 예(禮)가 구분해 놓은 인간과 인간의 간격을 좁혀주는 역할을 바로 음악이 해야 하기 때문에 음악인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전하면서 젊은 국악인들이에게 “첫술에 배부를 수 없다”는 당부도 잊지 않았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김수연의 판소리보존회 발표시, 특별출연을 해서 좌중을 웃음바다로 만들었던 왕기석 일행의 토막창극 <화초장>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지난주에는 경기도 과천시에 자리 잡고 있는 <한국경기소리보존회>가 마련한 제15회 정기공연과 관련한 이야기를 하였다. 국악공연에 대한 종래의 부정적 인식에서 탈피해 보고자 동 보존회는 다양한 변화를 시도해 왔는데, 대체적으로 좌창형태의 긴소리를 동적으로 변화를 주거나, 반주형태의 확대 편성과 창자가 가야금을 연주하며 부르는 병창의 형태, 그리고 소리극 형태의 작업 등이다. 소리극 가운데서는 대동가극단의 맥을 이어가려는 열정이 남다른데, 그 까닭은 1930년대 중반, 경기도 과천 찬우물 마을에 살던 임종원이 창단하였다는 점, 일제치하에서 억압받고 있던 동포들에게 항일정신을 고취시켜 민족의 단합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던 단체였다는 점을 얘기 했다. 또 과천 출신의 임상문, 임종선, 임세근, 임명옥, 명월 자매 등 임정란의 집안으로 선대의 예술혼을 오늘에 이어가려 하는 정신이 담겨 있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공연은 15개 지부 1,000명의 회원들의 힘과 뜻이 담겨 있고, 내년으로 도래한 경기 천년의 해를 맞아 경기소리의 음악적 특색을 들어내는 무대였다는 이야기를 말했다. 선유가(船遊歌)를 가야금병창의 형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지난주에는 홍성에서 개최된 역사인물축제 이야기와 <제13회 홍성 가무악 전국경연대회> 관련 이야기를 하였다. 홍성이 낳은 역사적인 인물, 6인을 선정하여 이들의 업적이나 나라사랑 정신을 영원히 기리자는 의미를 축제형식으로 표현하고 있다는 이야기, 인물 6인은 고려의 명장 최영 장군을 비롯하여 성삼문, 김좌진, 한용운, 한성준, 이응로 화백 등, 우리가 잘 알고 있는 인물들로 우리 역사의 한 페이지를 문(文)과 무(武), 그리고 예(藝)에서 장식했던 분들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역사인물 축제와 연계되어 열린 제13회 <전국 가무악전국대회>는 국악의 신진을 발굴하는 등용문으로 손색이 없는 대회로 평가된다는 이야기, 홍성을 찾은 관광객이나 지역 주민들에게 전통음악이나 전통춤에 대한 인식을 더욱 넓혀 주었었다는 이야기, 분야의 확대를 고려하기 바란다는 주문과 함께 100세 시대에 걸맞은 노인부를 반드기 신설해 주기를 바란다는 이야기, 앞으로 홍성의 역사인물축제와 병행되어 민관이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대표적인 형태의 축제라는 점에서 상당부분 탄력을 받게 될 대회여서 기대가 모아진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지난주에는 김세종제의 춘향가를 김수연에게 전수해 준 성우향 명창과 성우향에게 전해 준 정응민 사범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성우향은 국가지정 문화재 제5호 판소리(춘향가)의 예능보유자로 활동하면서 많은 제자들을 가르친 명창으로 특히 제자들을 아끼는 마음이 남달랐다는 점, 판소리를 배우기 이전에 가곡과 시조를 배워서 긴 호흡이나 힘찬 발성, 소리의 역동성이 돋보이는 명창이었다는 점, 스승 정응민의 영향을 받아 바른 마음(正心), 정직한 소리(正音), 지나치지 않는 몸동작이나 연기를 강조했다는 점, 이러한 판소리 관(觀)은 정응민-성우향-김수연에게 이어졌기에 김수연은 쉽게 범접하기 어려운 소리꾼의 면모를 지니고 있다는 점을 말했다. LA문화원에서 기념 공연을 할 때나, 또는 라스베가스로 가는 사막 중간에 한국인 식당에서 김수연의 <흥타령>을 듣고 흥과 감동, 심지어 눈물을 흘리는 관광객이나 동포들이 많았다는 이야기 등도 덧붙였다. 전승계보가 뚜렷하고, 예술적 실연 능력에 있어서도 국내 최정상급 명창으로 인정받고 있는 김수연의 소리를 이제는 국가가 보호하고 지켜줄 시점이 되었다는 점을 관계자들에게 청원한다는 이야기 등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창극에 대한 이론과 비평이 당세의 독보적인 존재였다는 김세종 명창의 이야기를 하였다. <김세종제 춘향가의 미적(美的)접근>이라는 학술모임에서도 김세종제 춘향가의 전승과정이나 동편소리의 특징으로 통성이나 대마디 대장단, 기교보다는 통목을 쓰는 점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전의 춘향가와는 달리, 양반적 취향이 상당부분 가미되어 사설 내용이 우아해 졌고 섬세해 졌다는 이야기나 시창(詩唱)의 삽입이나 우조(羽調)가 강하게 포함되며 감정의 표출을 자제하는 미의식을 반영하고 있다는 이야기, 그리고 김세종은 동편에 속한 대명창으로 신재효 문하에서 지침을 받아 문견이 고상하고, 문식(文識)이 넉넉하며 창극에 대한 이론과 비평이 당세 독보적인 존재였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특히 김세종은 사설의 이면(裏面)과 형용동작이 사설에 맞도록 적절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는데, 이러한 김세종의 춘향가 소리를 보존해 나가고 있는 모임을 현재 김수연이 이끌고 있는 것이다. 김세종제의 춘향가를 김수연에게 전수해 준 스승이 얼마 전 작고한 성우향 명창이다. 성우향은 국가지정 문화재 5호 판소리(춘향가)의 예능보유자로 활동하면서 많은 제자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현재 국악속풀이는 김수연이 이끄는 <김세종제 춘향가보존회> 발표회와 관련된 이야기를 하고 있다. 보존회원들의 순서가 진행 중에 찬조 출연한 신영희 명창의 춘향가 중 박석치 대목이 이어졌다. 이 대목은 이도령이 암행어사가 되어서 남원에 내려오던 중, 입구의 박석고개에 올라 좌우를 내려다보며 지난날 춘향과의 만남을 회상하는 대목으로 사설이 시(詩)적이다. “박석치 올라서서 좌우 산천을 둘러보니 산도 옛 보든 산이요, 물도 옛 보든 녹수로구나. <중략> 광한루야 잘 있으며 오작교도 무사트냐?” 신영희 명창은 근세 한국을 대표하던 김소희 명창의 수제자로 국가문화재 예능보유자로 활동하고 있다는 점, 그는 판소리 북을 들고 대중 오락 프로그램에 출연해서 판소리를 널리 알리고 대중화 하는데, 일조를 한 명창으로 유명하다는 점, 그는 극장 무대가 크든, 작든 간에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 통성으로 부르는 명창으로 또한 유명하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김수연의 강습생들이 부른 옥중(獄中)가, 쑥대머리 대목은 임방울(1905~1961)에 의해 유명해졌다는 점, 김수연의 큰 제자들이 남도민요로 끝을 맺었으나, 객석의 요구로 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