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 속풀이에서는 다나베 일행이 대동강에서 뱃놀이를 할 때, 동행하면서 노래를 불러준 장학선이라는 소녀명창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장학선은 일제강점기에 콜롬비아나 빅타레코드사 등에서 서도소리 음반을 취입하기도 했으며 1959년도에는 8도 명창대회에서 1등을 한 인물로 서도소리의 전설이었던 김밀화주의 제자였다. 월남해서는 서도소리로 1969년에 국가 중요무형문화재 예능보유자가 되었다는 이야기, 그 뒤 김정연, 오복녀 등을 거쳐 현재는 김광숙, 이춘목, 유지숙, 한명순 등이 힘겹게 서도소리를 이어오고 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다나베는 기녀들을 예술가로 대접하였다는 내용이 인상적이다. 특히 장학선이 불러준 노래가 세월은 흘러가고, 봄은 또다시 돌아 왔구나. 하늘은 세월을 더하고, 사람은 수(壽)를 더하고, 봄은 천지에 가득하니, 복은 집 안에 충만하다. 그런데 어찌하여 세상의 인심은 날마다 변해 가는가.라는 내용임을 알고 감탄했다는 이야기, 평양의 기생은 서울의 기생이나 일본의 예기들과는 달리, 예술가적인 품위를 지니고 있다는 점에 놀라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그동안 1920년대 초, 조선에 와서 조선의 음악을 조사 기행
[한국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 이야기는 다나베의 대동강주유기(大同江舟遊記)를 보면서 그가 평양에 대한 인상이 매우 좋았기에 여러 가지 아름답게 묘사된 이야기를 하였다. 예를 들면 길거리에서 만나는 여인들 중에도 아주 예쁜 사람이 많다는 대목이라든가, 아름다운 곡선으로 어우러진 건축물을 극찬하는 등, 조선의 건축 문화에도 탄복하고 있는 것이다. 이들의 뱃놀이에 동행을 하게 된 4인의 기생 중에서 장학선(張鶴仙)은 훗날 월남하여 60년대 말, 중요무형문화재 29호 서도소리의 초대 예능보유자가 되었던 인물이라는 이야기를 했다. 또 그는 10살 때 평양 관우물 소리방에서 노래를 배우기 시작하다가 14살 때부터는 평양의 기성권번에 입학하여 본격적으로 김밀화주(金蜜花珠) 명창에게 소리를 배웠다는 이야기, 김밀화주의 제자들로는 장학선 외에도 이반도화(李半島花), 이정렬, 이부용, 장금화 등, 쟁쟁한 명창들이 많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기성권번 출신의 장학선이라는 명창은 일제강점기 콜롬비아나 빅타 레코드회사 등에서 서도소리 음반을 취입하기 시작하였으며 1959년에는 그 유명한 전국의 명창대회 8도 명창대회에서 당당히 1등을 하여 그의 존재를 다시 한 번 세상에 알렸
[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부여에서 개최되는 내포제 시조강습회, 그리고 때를 같이해 김연소 보유자의 시조창 발표무대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시조창은 3장 6구체의 시조시에 가락을 얹고 장단을 배열한 노래라는 점, 영조 이전 시대에는 5장 형식의 가곡(歌曲)이라는 틀에 얹어 불렀는데, 가곡은 16박이 한 장단이고, 구성음이나 잔가락이 많다는 점, 시조창도 촉급하지 않은 속도와 장중한 창법으로 부르기 때문에 한가하면서도 유장미를 느끼게 되는 노래라는 점, 그러나 현대인들에게 외면을 당하고 있으며 겨우 노인층에서만 명맥을 잇고 있는 안타까운 실정에 놓여 있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또 지방정부에서는 지방 고유의 시조를 지방문화재로 지정하는 등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점, 시조창은 세련 정제된 형식미, 유장미, 표현의 절제미, 그리고 창법의 장중미를 느끼게 되는 노래로 5박과 8박의 장단구조와 3음 중심의 간단한 선율형으로 이어진다는 점, 그래서 세상 영욕(榮辱)이 한낱 뜬구름에 불과한 것임을 스스로 깨닫게 되는 노래라는 점, 6월 내포제 시조강습회가 해마다 성황을 이루어서 지역의 큰 축제로, 한국의 대표적인 시조창 축제로 자리잡아 가기를 기대한
[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최창남 명창의 경서도소리 발표회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80을 넘긴 최창남 명창은 10대에 입문해서 평생을 올곧게 소리를 하며 살아온 명창이라는 이야기, 해마다 발표무대를 만들고 있는 모습은 실로 젊은 국악인들에게 귀감이 되며 의지와 집념은 실로 존경받아 마땅하다는 이야기, 그는 1945년 해방되던 해, 황해도에서 인천으로 내려왔고, 그곳에서 이북 출신의 서도 명창들에게 산염불이나 난봉가 류의 소리를 익혔으며, 이은관을 따라 공연을 하면서 배뱅이굿도 익혔다는 이야기를 했다. 또 벽파 이창배는 최창남의 목과 기교, 목구성을 높게 평가하며 조교로 채용하였고 그 인연으로 최창남 앞에 소리를 다듬지 않은 명창들이 드물게 되었다는 이야기, 그는 강하고 부드러운 소리, 밝음과 어두운 소리, 그리고 진함과 옅음의 표현을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현란한 기교의 소유자로 알려져 있어서 경서도 소리를 좋아하던 옛 애호가들이나 이름난 명창들, 전문 국악인들이 주된 관객이 되고 있다는 이야기, 산타령과 난봉가류의 서도소리 외에 최숙희 팀의 장기타령, 큰 제자들인 한진자, 정재경, 이장학, 강연지가 부르는 노래가락과 창부타령, 임춘희, 조
[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산타령이란 산을 노래한다는 의미이다. 지난주는 지역에 따라 경기지방의 산타령, 서도 산타령, 남도 산타령으로 구분이 되고 있으며 서도지방의 산타령은 전쟁이후, 서도 명창들이 적었기에 배우는 사람들도 많지 않았으며 경기지방의 명창들이 전수해 줄 정도였다는 이야기, 경기지방의 산타령은 입타령(口音)이 많고, 장단이 들쑥날쑥하며 강약이나 호흡조절이 까다롭고, 또한 고음역의 선율을 통성으로 질러대는 부분들이 많아 다소 남성취향의 노래로 알려져 있다는 이야기, 그러나 지금은 여성들이 소리패의 절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는 이야기, 경기와 서도 산타령의 차이는 목을 쓰는 창법과 말 붙이는 자리가 다르며 장단도 경기보다는 서도가 빠르다는 점이 비교 된다는 이야기를 했다. 산타령은 산천경개를 두루 두루 노래하기 때문에 사설의 내용이 매우 건전하고 상식이 풍부해 진다는 점, 독창보다는 합창으로 부르며 통일성이 강조되는 노래라는 점, 협동을 통해 남과 더불어 사는 방법이나 질서를 배울 수 있다는 점, 2박, 3박, 4박 등의 장단형태나 3분박, 2분박의 리듬을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씩씩하고 활달한 창법이나 다양한 표현법을 익
[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23회째 준비한 산타령의 발표공연 이야기를 하였다. 지금으로부터 100여 년 전 만 해도 산타령은 한국의 대표적인 합창곡으로 극장가에서는 선소리패를 초청해서 소리판을 벌렸다는 이야기, 산타령의 쇠락배경은 명인 명창들이 세상을 떠났다는 점이나, 타 장르의 구경거리가 동시에 등장했다는 점을 들었다. 60년대 말, 선소리 산타령이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당시에는 김태봉, 유개동, 정득만, 이창배, 김순태 등 5인이 보유자로 인정되었으나, 현재는 이창배와 정득만의 제자들인 황용주, 최창남 외에 선소리산타령보존회회원들이 전승하고 있다는 이야기, 산타령은 1800년대 중반, 사당패들이 산타령 관련악곡들을 연행하였으며 그 이후에는 예인집단이나 세속 음악인들이 전승시켰다는 점, 산타령의 곡명은 1910년~1920년대 문헌인『증보신구잡가-增補新舊雜歌』를 비롯한 여러 자료에 보이고 있다는 점, 무엇보다도 다리밟기 놀이에서 빼놓을 수 없는 노래였으며살고지다리에서는 정월 대보름에 서울, 경기 일원의 산타령패(牌)들이 전부 모여 축제를 열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 혼신을 다해 소리를 하는 황용주 명창 산타령은 산을 노래하는 것이
[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도드리의 기본형 장단과 변형장단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변형 장단이 만들어지게 된 배경은 곡조의 변화와도 밀접한 관계를 지닌다는 이야기, 특히 영산회상 중에 6박자 음악인 상현, 하현, 염불도드리에는 변형 장단이 많다는 점, 그러나 고수의 즉흥적인 변화형이 아니고 고정되어 있다는 이야기, 긴염불과 반염불의 관계처럼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악곡들은 대개 어느 곡을 기본곡으로 하여 가락이나 장단을 변화시켰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또 일반적으로 긴염불에서 빠르게 연주하는 반염불을 만들었다고 생각하고 있으나 실은 그 반대의 경우라는 이야기, 그 이유는 긴염불이라고 하는 곡명은 문헌에 보이지 않으며 반염불의 가락이나 템포는 관악영산회상의 염불가락과 흡사하다는 점에서 그러하다는 이야기, 마치 종묘제악 희문(熙文)을 길게 느리고 가락을 첨가하여 전폐희문을 만든 예와 같다고 하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 중요무형문화재 제19호 선소리 산타령 보유자 황용주 명창의 공연 모습 긴 염불과 반염불에 관한 이야기는 잠시 미루기로 하고, 이번 주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19호《선소리 산타령보존회》의 발표공연에 관한 이야기를 하도록
[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악곡 이름으로서의 염불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현악이나 관악, 평조회상 등 영산회상에 들어있는 구성곡의 하나인데, 관악영산회상 제6곡이 염불도드리란 점, 궁중무용이나 민속무용의 반주음악으로 쓰이고 있다는 점, 승무의 반주 음악인 긴염불, 반염불과는 6박자의 도드리 장단과 음계, 향피리를 사용한다는 공통점이 있으나, 악곡의 길이와 잔가락, 장식음은 다르다는 점을 이야기 하였다. 또 염불도드리 중에서 일부분을 발췌하여 이를 느리게 연주하면서 거기에 잔가락이나 장식음을 넣은 악곡이 긴염불이고, 이 곡조에서 잔가락을 덜고 골격음 위주로 빠르고 간결하게 연주하면 반염불이 된다는 점, 이들 3곡은 6박의 도드리 장단으로 (쌍)雙-2박, 편(鞭)-1박, 고(鼓)-1박, 요(搖)-2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동일한 형태의 장단 반복은 지루하고 단순하기 때문에 실제의 활용은 10여종의 다양한 변형장단을 구사한다는 점, 그렇다고 해서 장고연주자 임의의 변화형은 아니고, 특정 가락에 해당되는 정해진 변형장단을 구사한다는 점 등을 이야기 하였다. 기악합주나 춤 반주시 기본형 장단만 반복해서 친다고 하면 매우 단조로울 수 있다.
국악속풀이 210[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속풀이 209에서는 민간 대풍류의 삼형영산회상이나 정악계의 관악영산회상 상령산(上靈山)은 박자를 셀 수 없을 정도로 불규칙한 진행이 특징이란 이야기를 하였다. 박자가 불규칙적이기에 이를 제대로 연주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는 이야기, 마치 자동차 운전을 할 때 신호등을 잘 지켜야 되는 것처럼 장고나 북의 약속자리를 잘 지켜야 된다는 이야기, 상령산의 시작은 동시에 여러 악기가 합주로 시작되지 않고 박을 일타(一打)하면 장고, 북, 피리, 그리고 대금과 해금, 아쟁 등이 소리를 이어받아 전제적인 합주가 시작되는 형태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또 높고 시원한 가락과 변형 장단의 다양함이 이 음악의 특징이 되고 있다는 이야기, 염불풍류는 승무춤을 반주할 때에 듣게 되는 음악으로 긴염불-반염불(도드리)-타령-굿거리-법고-굿거리-당악 등을 차례로 연주한다는 이야기, 원래의 염불보다 느린 것이 긴염불이고, 이를 반으로 줄였다는 뜻에서 반염불이라 하지만, 명칭에 대한 관습은 일관성의 논리가 없으며 일반적으로 반염불을 다른 이름으로는 도드리라 부르고 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염불이란 악곡명의 이름은 현악영산회상에도 들어있고
[한국문화신문 = 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삼현영산회상이란 음악은 높은 음역에서 이루어지는 흥겨운 가락과 다양한 장단형이 특징이란 이야기를 하였다. 아울러 삼현의 넓은 의미는 민간의 잔치음악이나, 제사음악, 군악 및 행악, 춤의 반주악이나 탈놀이의 반주음악 등 음악 전반을 뜻하는 용어이고, 좁은 의미는 대풍류 형태로 연주되는 삼현영산회상을 지칭한다는 이야기를 했다. 또 일반적으로 민간 대풍류는 세 종류로 구분되는데, 하나는 민간 삼현영산회상이고, 둘은 취타풍류이며 셋은 승무의 반주음악으로 연주되고 있는 염불풍류라는 이야기, 대령산은 삼현영산회상을 일컫는 이름이지만, 작게는 대풍류 첫곡의 명칭이라는 이야기, 장단형은 쌍(雙), 편(鞭), 고(鼓), 요(搖)이며 장고점(杖鼓點)간의 박자가 일정치 않아 이를 제대로 연주하기가 어렵기에 각 연주자들이 다른 악기의 선율을 훤히 꿰고 있어야 한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 관악영산회상을 연주하고 있는 삼현육각보존회 회원들 민간 대풍류의 삼형영산회상을 국립국악원을 비롯하여 정악계에서는관악영산회상 또는 아명을 사용하여 표정만방지곡이라 부르고 있다. 특히 이 곡의 첫 악장인 상령산(上靈山)은 악보상에는 20박을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