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얼레빗=이한영 기자] 여성가족부(장관 김희정)는 8월 4일(월) 고노담화 21주년을 맞이하여 국민대 일본학연구소(책임연구원 이원덕 국제학부 교수)와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책임연구원 이신철 연구교수)와 공동으로 일본군 '위안부' 백서를 펴낸다고 밝혔다. ※고노담화: 1993년 8월 4일 고노 관방장관이 '위안부' 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책임을 인정하고 사죄함 본 백서는 1992년 국무총리실 산하 17개 부처가 참여한 '정신대문제실무대책반'의 '일제하 군대위안부 실태조사 중간보고서' 발간 이후 '위안부' 문제 관련 새로 발굴된 자료와 연구 성과, 국제기구, 시민단체, 각국 의회 등 활동을 토대로 '위안부' 범죄와 피해실태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분석한 보고서 형태로 펴낼 예정이다. 일본군 '위안부' 백서를 펴내는 목적은 최근 일본정부의 고노담화 검증결과 공개로 논란이 되고 있는 '위안부' 문제의 본질과 쟁점에 대한 한국 측 논리와 증거자료를 제시하고, 관련 자료에 대한 체계적 분석을 통해 '위안부' 문제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있다. 여성가족부는 백서를 펴내기 위해 한일 관계에 정통한 전문가, '위안부' 문제를 비롯한
[그린경제/얼레빗 = 이나미 기자] 국립중앙도서관(관장 임원선)에서는 30일 본관 5층 지도자료실 내 세미나실에서 서울대학교 이기석 명예교수를 초청, 두만강 하구의 잃어버린 우리의 땅 녹둔도(鹿屯島)에 대한 강연을 열었다. 녹둔도는 조선시대 내내 둔전(屯田)을 설치하여 관리했던 우리의 영토였다. 비록 두만강 하구의 작은 섬이었지만 신증동국여지승람(1530年)의 함경도 지도에 실려 있을 정도로 중요하게 인식되었고 이는 조선이 멸망할 때까지 바뀌지 않았다. 하지만 1861년 청나라와 러시아의 국경조약인 흥개호계약(興凱湖界約)에서 우리와 아무런 상의도 없이 러시아의 영토로 편입시킨 후 지금까지 우리의 잃어버린 땅이 되었다. ▲ 녹둔도 1 러시아의 관할 아래 있었지만 구한말과 일제강점기에 걸쳐 우리 민족의 녹둔도 이주와 마을의 건설은 계속되었다. 하지만 1937년 스탈린의 강제 이주정책으로 녹둔도의 우리 민족 역시 중앙아시아로 옮겨갔고, 이후 이 지역은 최근까지 사람이 살지 않는 군사통제지역으로 묶여 있다. ▲ 녹둔도 2 이 교수는 여러 가지 어려운 조건을 뚫고 2000년 10월부터 2006년 2월까지 총 6차에 걸쳐 현장답사를 실행하였다. 그 결과
[그린경제/얼레빗=이한영 기자] KTV(원장 김관상) 간판 프로그램인 대한늬우스의 그때 그 사람(연출 손성화, 진행 고수웅)에서는 오는 8월 1일(금) 낮 4시, 머나먼 이국의 광산과 병원에서 젊음을 바쳤던 파독 광부와 간호사들의 애환과 근황을 들어보는 조국 근대화의 힘, 파독 광부간호사 편을 방송한다. ▲ 그때 그 사람 하대경 회장 1963년부터 시작해 모두 8,000명의 광부와 11,000명의 간호사들이 독일행 비행기에 올랐다. 가난을 극복하기 위해 각자의 사연을 안고 이역만리 타국으로 향한 대한민국의 젊은이들이었다. 달러 한 장이 이루 말할 수 없이 소중하던 시절, 이들이 우리나라로 송금한 외화는 경부고속도로 건설은 물론 중화학공업을 일으키는 종자돈이 됐다. 당시 파독 근로자들이 흘린 땀을 밑거름으로, 그로부터 50년이 흐른 지금 대한민국은 세계 10위권의 경제대국이라는 비약적인 성장을 이뤘다. 이날 방송에선 사단법인 한국파독광부간호사간호조무사연합회 하대경 회장을 초대해 파독 근로자들의 과거와 현재에 관한 생생한 이야기를 들어본다. 경기도 여주에 사는 하대경 회장은 그 자신 파독 광부 출신이다. 1971년 독일로 건너가 역시 파독 간호사인 부인을
[그린경제/얼레빗=이한영 기자] 지금으로부터 69년 전인 1945년 7월 24일 경성 한복판인 부민관(현 서울특별시의회 별관 )에서 요란한 폭탄소리가 들렸다. 이른바 부민관의거가 일어난 것이다. 부민관의거(府民館義擧)란 독립투사 조문기(趙文紀)유만수(柳萬秀) 등 대한애국청년단 단원들이 친일어용대회가 열리던 부민관을 폭파한 의거를 말한다. 부민관의거의 주역인 조문기 (19272008) 선생을 기리는 동상제막식이 어제 24일 경기도 화성시 매송초등학교에 열렸다. 민족문제연구소는 부민관 폭파 의거 69주년 기념일인 이날 조문기 선생을 기리기 위해 모교인 경기도 화성 매송초등학교에 1.8m 크기의 청동재질의 동상을 세웠다. ▲ 7월 24일 매송초등학교에 제막한 조문기 선생 동상 1927년 5월 19일 경기도 화성에서 태어난 선생은 1943년 5월 일본 가와사키[川岐]에 있는 일본강관주식회사(日本鋼管株式會社)에 일하는 한국인 노무자 3,000여 명이 참여한 '조선인 멸시 규탄 파업'을 주도하였다 이후 국내로 들어와서는 유만수우동학 동지와 함께 대한애국청년당(大韓愛國靑年黨)을 결성하여 국내에서 대일(對日) 투쟁을 본격적으로 펼칠 것을 결의하였다. 기회를 엿보던 중
[그린경제/얼레빗=한성훈 기자] 문화재청(청장 나선화)과 남북역사학자협의회(위원장 최광식)는 지난 23일 오전 11시 개성 만월대에서, 고려 왕궁터 만월대의 남북 공동 발굴조사 재개의 첫 삽을 떴다. 이번 착수식은 남북역사학자협의회, 국립문화재연구소 발굴단 등 남측 관계자와 민족화해협의회, 조선중앙역사박물관 발굴단 등 북측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진행되었다. ▲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조사 착수식(첫삽뜨기) 착수식은 남북 공동 사회로 남측의 최광식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위원장, 강순형 국립문화재연구소장의 인사말과 북측의 민족화해협의회 김철만 부장의 인사말에 이어, 첫 삽 뜨기 순서로 진행되었다. 이번 남북 공동 발굴조사는 남측의 국립문화재연구소와 북측의 조선중앙역사박물관 발굴단이 공동으로 수행한다. 이번 발굴조사는 개성 고려 궁성의 서부 건축군 구역(약 33,000㎡) 중 기존 조사 구간이었던 남측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 착수식 참석자들 또 양측은 8월 13일 현지에서 전문가로 구성된 발굴자문위원회를 개최하여 발굴조사 성과를 공유하고, 고고학적 연구와 분석에 관한 조언을 받을 계획이다. 이번 개성 만월대 남북 공동 발굴조사를 통해 고려 궁궐의 배치
[그린경제/얼레빗=이한영 기자] KTV(원장 김관상)에서는 오는 7월 24일(목)~25일(금) 아침 11시 30분, 120년 전 낡은 틀을 깨고 새로운 변화를 추구했던 갑오개혁의 정신을 발전적으로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2014 갑오년 대한민국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보는 2부작 특별기획 갑오개혁, 그 후 120년 방송한다. 1894년(고종 31년) 추진된 갑오개혁은 구시대의 문화와 생활양식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대를 열고자 했다. 외세로부터의 주권 독립을 분명히 했고, 신분제도 타파와 노비매매금지, 연좌법 폐지를 추구했으며, 은본위 통화제와 납세제도의 정비, 도량형 개정도 포함됐다. 비록 조선침탈을 목적으로 했던 일본의 무력간섭에 의해 '타율적 개혁'으로 빛이 바래며 반일반침략을 우선시했던 국민들의 반발에 부딪혀 좌절되고 말았지만, 부패한 봉건주의사회를 타파해 더 부강하고 행복한 나라를 만들고자 했던 개혁정신은 이후 독립협회운동과 계몽운동으로 이어져 한국의 근대화에 이바지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KTV 2부작 특별기획 갑오개혁, 그 후 120년에서는 갑오개혁의 역사적 가치와 개혁정신을 재조명하고, 이를 통해 사회 각 부문에서 '개혁'이 화두로 떠오르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100년 편지에 대하여..... 100년 편지는 대한민국임시정부 100년(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입니다. 내가 안중근의사에게 편지를 쓰거나 내가 김구가 되어 편지를 쓸 수 있습니다. 100년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역사와 상상이 조우하고 회동하는 100년 편지는 편지이자 편지로 쓰는 칼럼입니다. 100년 편지는 2010년 4월 13일에 시작해서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됩니다. 독자 여러분도 100년 편지에 동참해보시지 않겠습니까? 앞으로 매주 화요일 100년 편지를 소개합니다. -편집자- 문의: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02-3210-0411 일제강점기 시기의 독립운동에 관심이 많아 관련 사적지들을 답사하는 것을 좋아하는 직장인입니다. 보통 사적지 답사는 국내 또는 중국을 많이 갔지만 올해에는 일본에 가볼 생각을 하고 계획을 하던 중 이봉창의사 순국지라는 한 장!! 우연히 본 사진 한 장이 나를 이봉창이라는 사람에 대해 주목하게 만들었습니다. 아쉽게 실패한 의거로만 알고 있던 사건이 관심을 가지고 볼수록 아주 중요한 사건임을 알게 되었고, 4월과 6월 2차에 걸쳐 도쿄에 가서 당신의 행적을 찾아보고 독립운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20세기의 한 시기에 일본은 조선을 식민지로 지배했다. 이에 앞선 태평양전쟁 중에는 노무동원 계획에 따라 수많은 조선인이 전국의 광산이나 군수 공장 등에 동원되었으며 여기 군마(群馬) 땅에서도 사고와 과로 등으로 소중한 목숨을 잃은 사람이 적지 않다. 21세기를 앞둔 우리들은 일찍이 일본이 조선인에 대하여 지대한 손해와 고통을 안긴 역사적 사실을 깊이 기억하며 마음으로부터 반성하고 두 번 다시 그런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다는 결의를 표명한다. 과거를 잊지 않고 미래를 응시하는 새로운 상호 이해와 우호를 추진해나가고자 여기에 노무동원에 의한 조선인 희생자를 마음으로부터 추도하기 위해 이 비를 세운다. 이 비를 세운 우리들의 마음이 다음 세대로 이어지길 바라며 아울러 아시아 평화와 우호 발전을 원한다. 기억, 반성 그리고 우호 추도비를 세우는 모임 2004년 4월 24일 ▲ '추도비를 세우는 모임과 군마현의회가 합의 하에 채택된 추도비문 이것은 일본 군마현에 있는 군마현립공원(群馬県立公園) 내의 군마의 숲(群馬の森)에 있는 조선인강제연행희생자 추도비에 새겨진 추도비 건립에 즈음하여의 글귀다. 내용상으로 보면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일본은 또다시 태평양전쟁과 같은 참혹하고 끔찍한 전쟁을 일으켜 인류를 공포와 고통 속으로 빠트릴 것인가? 미친 광대가 칼을 들고 날뛰다가 특공대의 기습에 한방에 나가떨어진 꼴이 바로 68년 전인 1945년 8월 9일 일이다. 일본은 기억하는가?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얻어맞은 원자폭탄 세례를 말이다. 이러한 끔찍한 전쟁의 기억은 천 년 전 일도 아니요, 백 년 전 일도 아니다. 바로 68년 전 일이다. 그럼에도 일본은 그 참혹한 전쟁의 역사를 잊고 아니 이에 눈을 감고 또 다시 전쟁의 역사를 다시 쓰려하고 있다. 누가 이 광분한 미치광이를 말릴 것인가? ▲ 5일 신주쿠에서 아베정권에 항의 시위하는 시민들 (마이니치 신문 제공) 아베 내각의 집단적자위권을 사용 가능 결정 사실을 놓고 일본의 헌법학자들도 우려의 성명을 발표했다. 입헌데모크라시회 (立憲デモクラシーの会)의 야마구치(山口二郎) 법정대학 교수 등은 아베정권의 이번 집단적자위권 행사는 입헌주의를 근본부터 부정하고 국민주권과 민주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다. 따라서 집단적자위권 행사는 문제해결의 수단이 아니라 애초부터 전쟁을 하기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왕인박사는 4세기 백제로부터 공자의 논어와 천자문을 전하고 왜국의 아스카문화(飛鳥文化)를 꽃피웠다. 이로서 일본에서 처음으로 한중일 3개국이 조우하게 된 것이다. 왕인박사를 심볼로 동아시아의 선린우호, 민간교류을 계속해나가야 할 것이다. ▲ 왕인무덤을 보살펴 주는 요시토메가즈오 씨(사진 민단신문 제공) 이것은 오사카에 있는 왕인박사 무덤을 관리하는 왕인무덤의 환경을 지키는 모임(王仁塚の環境を守る会)의 대표인 요시토메가즈오 씨(吉留一夫)의 말이다. 그는 왕인박사 무덤이 있는 오사카 히라가타시(枚方市藤阪東町)에 살면서 바람이 부나 비가 오나 왕인박사 무덤 주변을 깨끗이 청소하면서 왕인박사의 높은 뜻을 지난 30여 년간 지켜오고 있다. 이들은 1985년 3월에 모임을 결성한 이래 한국에서 직접 가져온 무궁화를 왕인박사 무덤 둘레에 심고 이곳을 찾는 이들을 위해 왕인박사 무덤 휴게소인 선린우호관을 지었다. 또한 백제를 상징하는 백제문도 만들었다. 요시토메 대표의 왕인무덤의 환경을 지키는 모임은 지난 5월 11일로 창립 제30회를 맞았다. ▲ 왕인박사 무덤, 앞에는 참배자들이 놓고 간 꽃 ▲ 왕인박사 무덤은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