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춘향가의 시작은 제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시작한다. 김세종 제는 처음 부분에서 남원이라는 고장과 춘향과 이도령을 소개한다. 이에 견주어 동초제는 춘향 모친의 태몽 이야기를 끌어들이며 시작하는 점에서 동초 자신이 새롭게 짜 넣었다는 점을 알게 한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판소리 춘향가는 춘향과 이 도령이 꽃피는 봄, 광한루에서 만나 사랑을 속삭이며 시작된다. 그러나 그들의 <사랑가>는 뜻하지 않은 집안 사정으로 인해 그리 오래 가지 못하고, 곧바로 이별을 맞이하게 된다. 만일 이별 없이 오랜 시간 사랑가만이 지속한다면 관객은 곧 지루함을 느끼게 될 것이다. 이야기가 재미있게 전개되기 위해서는 반전의 슬픈 대목이 펼쳐져 슬픈 감정으로 변하게 되어야 한다. 이별의 장소가 오리정이냐, 춘향의 집이냐를 놓고, 각 바디는 차이를 보이지만, 헤어지게 되는 것은 분명하다. 서로 사랑하던 젊은 남녀의 이별이란 곧 슬픔 그 자체가 분명하다. 슬픔은 비감(悲感)이어서 비감은 객석의 눈물을 자극하기에 충분한 조건이고, 또한 눈물을 흘리도록 슬픈 분위기를 만들어 내야 한다. 고향임의 완창무대는 이 대목에서 슬픔의 절정을 이루고 있었다.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코로나19로 어수선한 4월도 며칠 안 남았다. 한국은 오늘(28일)로 코로나19를 이겨내기 위한 ‘전국민의 노력 100일’을 되돌아본다는 뜻에서 각 언론의 특집이 이어졌다. 하루 확진환자가 한 자릿수로 떨어진 상황이라 조심스럽지만 한시름 놓는 모습이다. 하지만 이웃나라 일본의 상황은 다르다. 하루 확진자 수가 여전히 세 자릿수를 기록 중이다. 이러한 가운데도 시간은 흐른다. 곧 5월이다. 일본에서도 가능하면 외출을 줄이고 집안에서 생활하도록 하는 것이 일상화되고 보니 갑갑하다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특히 어린이가 있는 집안에서는 더욱 그렇다. 그러한 가운데 일본에서도 5월 5일 어린이날이 다가온다. 일본의 ‘어린이날(고도모노히, 子供の日)’은 ‘어린이의 인격을 존중하고 어린이의 행복을 꾀함과 동시에 어머니에게 감사드리는 날’이라는 취지로 1948년에 제정되어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먼저 어린이날을 만든 나라는 터키로 1920년 4월 23일이었고 이후 1925년 스위스 제네바에서 6월 1일을 ‘국제 어린이 날(International Children's Day)’로 삼은 이래 1954년에는 유엔에서 11월 20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고향임의 <동초제 춘향가> 완창발표회에는 6인의 고수가 등장하였는데, 첫 고수였던 박근영은 초반의 긴장을 비교적 여유있게 풀어 주었다는 이야기, 긴장된 분위기를 이완시켜 주고 추임새를 통해 창자에게 자신감을 실어주는 고수의 마음 전달이 바로 장단의 정확함이나 강약보다도 더 중요하다는 이야기, 그리고 동초제 춘향가 시작 부분의 사설은 이전의 다른 바디와 다르게 짜였는데, 이에 따라 가락이나 장단도 다르게 시작한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전의 동편제로 분류되는 김세종제 춘향가의 시작 부분은 남원을 소개하며 남녀 사이 일색(一色)도 나고, 당당한 충렬(忠烈)도 나올 수 있는 지역임을 이야기하고 있다. 또한, 사또 자제, 이 도령은 16샇, 이목(耳目)이 청수하고 행동거지가 현량(賢良)하다는 내용을 아니리로 소개하며 실제의 창(唱)은 중중모리 장단의 <기산 영수 별건곤, 소부, 허유 놀고>로 시작한다. 널리 알려진 가사이지만, 다시 한번 음미하는 의미에서 기산(箕山)은 높고 깊은 산이고, 영수(潁水)는 근처의 맑은 강 이름이다. 이러한 깊은 산과 맑은 강가에는 소부나 허유와 같은 선비들이 세상을 등지고 살았다고 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일본 관서 지방의 나라(奈良), 교토 등지의 이름날 절들이 코로나19로 줄줄이 관광객을 받지 않고 산문을 폐쇄하고 있다. 19일 일본 ABC 텔레비전에서는 일본 전역에 퍼지고 있는 코로나19를 막기 위한 긴급사태선언 소식을 전하면서 나라지역의 인기 관광지인 나라공원(奈良公園) 모습을 비춰주었다. 카메라는 쉴 새 없이 사슴이 뛰어노는 나라공원을 비추고 있는데 적막강산이 따로 없었다. 평소 같으면 전 세계에서 몰려든 관광객으로 발 디딜 틈이 없겠지만 이날 카메라에 잡힌 모습은 적막하다 못해 공포감마저 든다. 나라(奈良)를 대표하는 절로 세계문화유산에 빛나는 도다이지(東大寺)는 5월 31일까지 대불전에 모셔진 노사나불(盧舎那仏) 관람을 중지하는 대신 날마다 스님이 대불(大佛) 앞에서 독경하는 모습을 생중계할 예정이다. 또 세계문화유산에 등록된 호류지(法隆寺) 역시 4월 23일부터 5월 6일까지 산문을 폐쇄한다. 그뿐만 아니라 세계유산에 오른 갓쇼즈쿠리(合掌造り)로 이름난 기후현 시라카와마을(岐阜県白川村)에서도 5월 2일부터 시작되는 황금연휴 기간에 마을 전체를 폐쇄할 예정이다. 갓쇼즈쿠리는 일본의 폭설지역에서 볼 수 있는 주택의 건축양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유명 고수(鼓手)에 관해 이야기하였다. 소리속을 훤하게 꿰고 있으면서 넘치고 모자라는 부분까지도 헤아릴 줄 아는 능력상의 정확, 강약의 조화, 추임새 등을 제대로 구사할 수 있어야 명고수가 될 수 있다는 이야기, 일고수 이명창은 과거의 이야기이고, 현재는 <일청중(一聽衆) 이고수(二鼓手) 삼명창(三名唱)>, 곧 첫째는 청중의 호응이나 태도, 둘째가 고수의 역할, 셋째가 명창으로 바뀌어 청중이 으뜸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고향임 명창의 <동초제 춘향가>의 완창발표회를 이야기하는 도중, 고수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이야기를 강조해 보았다. 다시 완창 발표회에 관한 이야기로 발표회 당일에는 평소 호흡을 맞추어 온 6인의 고수가 무대에 섰다. 그들은 박근영, 권혁대, 최광수, 박현우, 송원조, 김규형 등으로 이름만 들어도 그 유명세를 짐작할 수 있을 정도의 고수들이었다. 이들은 장단의 정확성은 물론, 강약의 조화, 적절한 추임새 등으로 창자와의 호흡을 함께 하며 소리판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나갔다. 그들은 어떠한 방법으로 명창과의 호흡을 맞추어 나갈 수 있었을까? 해답은 간단하다. 실전(實戰)과 같은 연습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오늘은 24절기의 여섯째. 봄의 마지막 절기로, 곡우(穀雨)다. 곡우란 봄비(雨)가 내려 백곡(穀)을 기름지게 한다고 하여 붙여진 말이다. 그래서 “곡우에 가물면 땅이 석 자가 마른다.”, “곡우에 모든 곡물이 잠을 깬다.”, “곡우가 넘어야 조기가 운다.” 같은 속담이 전한다. 옛날에는 곡우 무렵에 못자리할 준비로 볍씨를 담그는데 볍씨를 담은 가마니는 솔가지로 덮어두었다. 밖에 나가 부정한 일을 당했거나 부정한 것을 본 사람은 집 앞에 와서 불을 놓아 악귀를 몰아낸 다음에 집안에 들어오고, 들어와서도 볍씨를 볼 수 없게 하였다. 만일 부정한 사람이 볍씨를 보게 되면 싹이 트지 않고 농사를 망치게 된다는 믿음이 있어서 그랬다. 볍씨를 담그면 항아리에 금줄을 쳐놓고 고사를 올린다. 이는 개구리나 새가 와서 모판을 망칠 우려가 있으므로, 볍씨 담근 날 밤에 밥을 해놓고 간단히 고사를 올리는 것이다. 또 이날은 부부가 잠자리를 함께하지 않는데 땅의 신이 질투하여 쭉정이 농사를 짓게 한다고 믿기 때문이다. 곡우 무렵엔 나무에 물이 많이 오른다. 곡우물은 주로 산 다래, 자작나무, 박달나무 등에 상처 내서 흘러내리는 수액이다. 몸에 좋다고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도쿄올림픽 내년도 열기 어렵다.” 이 이야기는 4월 10일자 일본 데일리신쵸(デイリー新潮) 기사 제목이다. 데일리신쵸는 작가 니레슈헤이(楡周平) 씨의 말을 인용하여 ‘도쿄올림픽 2021년 개최’를 어둡게 보고 있다. 니레슈헤이 씨는 2019년 6월, 고단샤(講談社)에서 펴낸 《사리엘의 명제(サリエルの命題)》라는 책에서 일본이 코로나19로 곤란함을 겪을 것이라는 예언을 한 작가로 이 책은 일약 예연서(予言書)로 주목을 받고 있다. 니레슈헤이 씨는 지금의 코로나19가 발생하기 전인 2019년 6월에 이미 《사리엘의 명제(サリエルの命題)》에서 “어느 날 갑자기 일본에서 발생한 신형인풀루엔자로 인해 일본의 여러 섬 주민들이 전멸하고 혼슈(本州)에서도 감염자가 나온다. 의지하던 치료약은 부족하고 1년도 안 남은 올림픽 개최도 위기에 빠진다. 미지의 바이러스 때문에 도시는 봉쇄되고...”라고 썼는데 이 내용이 현재 일본의 코로나19 상태를 예견한 것이라고 해서 ‘예언서’라고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니레슈헤이 씨는 데일리신쵸와의 대담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른바 선진국이라는 나라 곧, 미국을 비롯하여 영국,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같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민속음악에 있어서 최고의 미적 가치는 즉흥성이란 이야기, 그런데 악보화 되는 전승과정에서 즉흥성이 배제되기 시작하며 과거와 같은 명인 명창이 출현하지 못하고 있다는 이야기, 그리고 고향임의 판소리 완창무대에서 확인한 바와 같이 완창의 성공을 위해서는 체력관리, 목청 관리, 전체 사설의 암기, 고저, 장단, 연기력이 중요하다는 이야기, 특히 사설의 이면을 살려내는 능력은 오랜 기간의 훈련 없이는 불가능한 영역이란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고수(鼓手)의 역할이 판소리 공연, 특히 완창 발표회의 결정적 영향을 준다는 이야기와 함께 더 중요한 것은 청중의 호응이 분위기를 좌우한다는 이야기를 한다. 판소리의 완창 공연은 1960년대 말부터 시작되었으므로 완창 이전의 판소리 공연 형태는 대부분이 토막소리였다. 토막소리란 전체가 아닌, 어느 한 부분의 소리를 말한다. 가령, <춘향가>와 같이 긴 이야기 가운데 <적성가> 대목이나, <천자풀이> 대목, <이별가> 대목, <옥중가>나 <박석고개> 대목과 같이 창자가 즐겨 부르는 대목, 또는 객석의 요청에 의해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얼마나 지났을까? ‘코로나19’ 감염을 막기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 등 예방을 위한 시민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말이다. 확진 환자가 나오기 시작한 1월 중순부터 따지자면 만 두 달이 지나 석 달째로 접어들고 있다. 이제 슬슬 시민들도 지쳐가고 있다. 지난 두어 달이 이삼 년처럼 길고 지루했다. 그런데도 한국은 세계가 이구동성으로 말하듯 ‘참신한 대책’으로 비교적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한동안 이탈리아, 스페인 등지가 걷잡을 수 없는 확진자가 늘어나는가 싶더니 최근에는 미국이 감염자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그러한 가운데 외신들은 ‘일본이 곧 뉴욕 상황을 맞이할 것’이라는 예상을 쏟아내고 있다. 어제(7일) 마침내 아베 수상은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를 포함한 7개 도시에 긴급사태를 선언했다. 그야말로 올 것이 온 분위기다. 긴급사태 기간은 5월 6일까지로 한 달 동안이다. 이제부터 일본은 미국, 이탈리아, 스페인, 영국, 프랑스 등 수많은 나라가 기하급수적으로 불어나는 감염환자로 공포의 시간을 보낸 것처럼 그 전철을 밟게 될 것이라고 외신들은 앞다투어 보도하고 있다. 전염병은 철저한 예방과 확진자 색출, 동선 파악, 자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고향임 명창이 대전시 무형문화재, 판소리 종목의 예능 보유자로 인정받았다는 이야기, 그리고 그녀가 부르는 동초제란 무엇인가 하는 이야기를 하였다. <동초(東超)>는 김연수(金演洙)의 아호이며, 동초제란 김연수 명창이 스승들로부터 배운 소리를 기초로 하여 서편제의 애잔한 소리와 동편제의 우람한 소리를 융합하여 새로 만든 소리라는 이야기, 동초가 판소리 5바탕을 정리 출판한 일은 후학들 교육에 큰 역할을 하였다는 점을 얘기했다. 또 김연수의 큰 제자, 오정숙(1935~2008)은 5바탕의 완창, 제1회 전주대사습 장원, 국립창극단 활동, 1991년 국가무형문화재 5호 판소리 예능보유자에 올랐으며 소리, 발림, 연기 등이 혼연일체가 되어 완숙한 기량으로 한 시대를 대표하는 여성 명창이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궁중음악이나 정악계통은 대부분의 악곡이 율자(律字)악보나 정간(井間)보로 전해지고 있어서 연주자들의 즉흥성은 용납되지 않는다. 그러나 민속음악의 경우는 다르다. 특히 성악의 판소리나, 무가(巫歌), 기악의 산조 음악은 즉흥성이 생명이어서 이들 음악은 악보화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다. 그렇다면 스승의 소리를 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