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 이한꽃 기자] 제주신사가 들어서 있던 곳을 말하려면 먼저 제주측후소부터 이야기해야 한다. 1923년 일제는 옛 제주읍성의 쾌승정을 헐어버리고 그 터에 제주측후소(현 제주기상청)를 지었다. 제주읍성은 석성(石城)으로 1105년(고려 숙종 10년) 탐라군이 설치되면서 처음으로 축성되었는데 1599년 성유문 등 여러 제주 목사들이 증개축을 하여 구한말까지 유지되어 오다가 1910년 총독부의 읍성 철폐령이 내려지면서 점차 훼손되었다. ▲ 제주측후소 바로 옆 제주읍성 자리에 제주신사를 지었다. 일제는 1920년대 후반에 대대적인 산지항 축항공사를 벌였는데 당시 바다 매립을 위한 용도로 역사적인 제주읍성을 헐어냈다. 제주읍성이란 요즘으로 치자면 제주시청과 같은 구실을 하는 곳으로 제주시의 핵심 행정관청인 것이다. 이러한 행정관청을 조선총독부는 마구잡이로 헐어 버리고 난데없는 기상관측 시설을 지어 버린 것이다. ▲ 제주지방기상청 앞에서 바라본 제주신사 터(제주중앙감리교회 자리) 뿐만 아니라 일제는 현재 제주기지방상청과 제주중앙감리교회 사이에 내선일체의 동화정책을 펴기 위해 1928년 제주신사(濟州神社)를 지었다. 2009년 1월 5일치 한라일보에
[그린경제 = 정석현 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우습고도 분통하다 나라 없는 백성이 되었단 말인가 우습고도 분통하다 부모를 떠나고 나라를 떠났단 말인가 금옥 같은 우리민족이 저들의 노예 된단 말인가 용봉(龍鳳)같은 당당한 사대부가 저들에게 압제를 받는단 말인가 -김대락 분통가 중에서- ▲ 김대락 독립투사 어록 ▲ 어록 전시장 *김대락 선생은 누구인가? '분통가'를 지은 백하 김대락은 1845년 안동부 임하면 천전리에서 도사(都事)를 지낸 우파 김진린(愚坡 金鎭鱗)1)과 함양 박씨 사이에서 난 7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관은 의성이요, 자는 중언(中彦)이며 호는 비서(賁西)라 하였는데 후일 만주에 들어가 백두산 아래 산다는 듯으로 백하(白下)라 하였고 더러는 둔옹(遯翁)이라고도 하였다. 그 당시 도사댁은 사람 천석, 글 천석, 밥 천석으로 삼천석댁이라는 별칭이 있을 정도로 경과가 좋은 집안이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자라난 그는 두 아우 김효락 (
[그린경제 = 이윤옥 기자] 일본 교토에는 임진왜란, 정유재란 당시 전북 남원 일대에서 무고한 백성의 코를 잘라다 묻은 코무덤이 있다. 그러나 이 무덤을 현재 일본인들은 귀무덤이라 부른다. 에도시대의 학자 하야시라잔이 코무덤이라는 말이 잔인해서 귀무덤이라 부르자 했다는데서 그렇게 부르고 있는 것이다. 무덤 이름부터 왜곡되어 있는 잔인한 역사의 현장! 더 부끄러운 것은 한국인들도 일본인이 부르는 이름 그대로 여전히 ‘귀무덤’으로 부르고 있는 점이다. 그러한 현실은 경남 사천에 가면 명확히 알 수 있다. 그곳에는 교토 코무덤의 흙 한 줌을 덜어다 이총(耳塚)이라는 비석 하나 달랑 만들어 놓았다. 선량한 사람들의 코를 잘라다 묻은 코무덤이건만 역사는 왜곡상태에서 한 발자국도 진전되지 않고 있다. 9월 26일은 남원 만인의총에서 호국정신의 위업을 기리고 그 충절을 기리기 위한 제향을 올리는 날이다. 이 날을 맞아 교토 코무덤의 진실을 파헤친다. -편집자주- 귀면 어떻고 코면 어떠냐는 식의 태도를 우리가 여기서 불식시켜야 하는 까닭은 단 두 가지다. 하나는 코를 묻었는데 귀를 묻었다고 왜곡하면 안 된다는 것이고 또 다른 하나는 잔학성의 상징인 코베기를 완화된 표현으로
[그린경제 = 정석현 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내 이상은강압을 절대 배격하고전 민족이전 인류가최대의 민주 밑에서다 같이 밥 먹고다 같이 생각하고다 같이 일하는세계를 창조하는 데 있다. -환국 직후 기자회견 중에서(조선일보 1945.12.5)- ▲ 류림 독립투사 *류림91894-1961) 선생은 누구인가? 본관은 전주. 초명은 화종(花宗), 호는 단주(旦州)와 월파(月坡)이다. 1894년 현재의 경상북도 안동시 예안면 계곡리에서 류이흠(柳頤欽)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 류림은 안동의 내앞마을에 설립된 근대식 중등학교인 협동학교(協東學校)를 다녔다. 졸업 후 1915년 정진탁과 함께 대구에서 부흥회(復興會)를 조직하여 활동하였으며, 1917년에는 김용하(金容河)와 함께 자강회(自彊會自强會)를 조직하여 항일운동을 전개하였다.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류림은 안동 지역의 임동면편항시장에서 벌어진 시위에 참여하였다. 이후 류림은 가족들과 함께 봉천성(
[그린경제 =전수희 기자]고내포구에 저녁놀이 그림처럼 아름답다. 낮에는 낮대로 쪽빛 바다가 고운 고내리 해안가 도로에는 다락 쉼터가 있고 그 쉼터 안에 커다란 재일고내리시혜불망비가 서 있다. 불망비(不忘碑)란 말 그대로 어떠한 사실을 후세 사람들이 잊지 않도록 기록하여 세우는 비석을 말하는데 고내리 사람들이 간직하고 있는 잊을 수 없는 일이란 무엇일까? 불망비의 한 구절을 보자. ▲ 제주시 애월읍 고내리 바닷가에 서 있는 다락 쉼터 표지판 아 그 언제였던가. 한일합방 망국의 한 북받치는 설움 안고 가난을 이기려 고향땅을 뜨던 날이. 고내봉에 솟아 있는 절개의 송백, 맑은 시닛물의 물맛을 뒤로 하고 현해탄 건너 일궈온 삶이 아닌가. 물설고 낯설은 일본 땅에 뿌리내려 살아온 세월은 어느덧 100여년을 헤아리네. 한시도 고향을 잊은 적 없으니 망향이라. 가슴에 절절했던 그 한을 세상 끝날까지라 한들 어찌 잊으리. 자식들 키우랴, 생활고를 이겨내랴, 바당들어 잠녀질 하던 어머니, 빌에왓을 갈아엎던 아버지를 그리면서 억척스레 살아내던 타국살이 아니던가. 수만리 머나먼 고향산천 고내리라. 부모형제들을 보고 싶은 마음이야 필설로 이루 다 표현 할 수 있으랴. 고내 8
[그린경제=김영조 기자] 나라가 위기에 빠질 때마다 목숨 바쳐 나라를 지킨 이들이 있고 온 겨레는 그들을 추모하고 기리는 일에 소홀하지 않는다. 그런 시설들은 바로 국립현충원을 비롯하여 온 나라 곳곳에 있다. 1597년(선조 30) 정유재란 때 남원성을 지키기 위해 왜적과 항전하다가 전사한 군관민을 합장한 무덤 사적 제272호 만인의총도 바로 그런 시설 가운데 하나이다. ▲ 정유재란 때 남원성 전퉁에서 전사한 1만여 명의 의로운 주검이 묻힌 만인의총 하지만 문제는 1만여 명이나 되는 의로운 주검이 묻힌 만인의총이 홀대를 받는다며, 하루빨리 나라가 관리하는 성역시설로 승격시켜 달라고 외치는 이들이 있다. 남원사회봉사단체협의회와 만인정신선양회준비위원회가 그들인데 그들은 어제(9월 25일) 늦은 4시 30분 정유재란 북문터 곧 옛 남원역 자리에서 남원성 전투 제416주년 기념 제10회 만인의사 추모 및 만인정신 계승 범시민대회를 열었다. ▲ 개화사를 하는 양경님 남원사회봉사단체협의회장(왼쪽), 추모사를 하는 남원시 박형규 부시장 ▲ 결의문 낭독을 하는 배종철 남원관광발전협의회장(왼쪽), 경과보고와 향후계획 보고를 하는 황의동 만인정신선양회 추진위원장 의
[그린경제 = 정석현 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종사가 지금에 와서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내가 어찌 감히 살아 있는 인간으로 자처하겠는가 -이중언의 가장(家狀) 중에서- ▲ 이중언 독립투사 *이중언(1850-1910) 선생은 누구인가? 1879년(고종 16) 문과에 급제한 뒤 상의원직장(尙衣院直長)성균관전적사간원정언을 역임하고, 1880년 사헌부지평 등을 지냈다. 1882년 정국이 혼란하자 봉화의 임당산(林塘山)에 들어가 농사를 지었다. 1895년 8월 일제에 의하여 명성황후시해가 자행되고 단발령이 내려지자, 김도현(金道鉉)이 안동영양 등지를 중심으로 창의하자 이에 가담하여 전방장으로 활약하였다. 1905년 을사조약이 강제체결되자 을사오적의 목을 베어야 한다고 상소하였으나 간신배들에 의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1910년 경술국치의 소식을 듣고 통분하여 집 밖에 좁다란 방 한칸을 마련하고 외부와 접촉을 끊고 때때로 을사조약 체결 때 상소하였던 글을 읽으면
[그린경제 =정석현 기자] 안동독립운동기념관에서는 오는 2014년 2월 28일까지 안동독립운동가 어록전이 열린다 일제강점기 치열하게 펼쳤던 안동독립운동가들은 과연 어떤 말들을 남겼을까? 이제라도 안동독립운동가들의 가슴 절절한 외침을 들어보자. 제군이여! 제군의 행하는 바는 인도(人道)니라 고독하나마 넘어질까 염려 말고 뛰어라 제군의 뛰는 곳에는 이천만 민족의 후원이 있다 제군이 표방하는 바는 정의니라 처량하나마 부르짖어라 반드시 16억 인류의 화답이 있으리라 -학우회주최순회강연변사제군 중에서 1920.7.17- ▲ 독립투사 이준태 어록 *이준태(1892~?) 선생은 누구인가? 본적은 경상북도 안동(安東). 이명은 권혁(權赫) 또는 권철(權哲). 호는 일봉(一峰).1919년 8월(음력) 고향 사람인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경북 교통부장 안상길(安相吉), 『만주일보』 신문기자 김재봉(金在鳳) 등과 함께 독립운동자금 모집운동에 가담하였다.1922년 1월 김한(金翰), 신백우(申伯雨) 등과 서울에서 사회주의사상단체인 무산자동지회 발기에 참가하였다. 같은 해 3월 무산자동지회와 신인동맹회가 합동하여 만든 무산자동맹회의 상무위원이 되었고, 기관지 『무산자(無
[우리문화신문 = 이윤옥 기자] 일본 교토에는 임진왜란,정유재란 당시 전북 남원 일대에서 무고한 백성의 코를 잘라다 묻은 코무덤이 있다. 그러나 이 무덤을 현재 일본인들은 귀무덤이라 부른다. 에도시대 학자 하야시라잔이 코무덤이라는 말이 잔인해서 귀무덤이라 부르자 했다는데서 그렇게 부르고 있는 것이다. 무덤 이름부터 왜곡되어 있는 잔인한 역사의 현장! 더 부끄러운 것은 한국인들도 일본인들이 부르는 이름 그대로 여전히 ‘귀무덤’으로 부르고 있는 점이다. 그러한 현실은 경남 사천에 가면 명확히 알 수 있다. 그곳에는 교토 코무덤의 흙 한 줌을 덜어다 이총<耳塚>이라는 비석 하나를 달랑 만들어 놓았다. 선량한 사람들의 코를 잘라다 묻은 코무덤이건만 역사는 왜곡 상태에서 한 발자국도 진전되지 않고 있다. 9월 26일은 남원 만인의총(정유재란 때 남원성을 지키기 위하여 왜적과 항전하다 순절한 민.관.군 만인의사를 합장한 무덤)에서 호국정신의 위업을 기리고 그 충절을 기리기 위한 제향을 올리는 날이다. 이날을 맞아 교토 코무덤의 진실을 파헤친다. -편집자주- 돌 치워라 돌 치워라 봉분 위 돌 치워라 먼 고향 남원땅 엄니 곁에 나 가리라 왜놈 칼 맞고 코 잘려
[그린경제 = 이나미 기자] 100년 편지에 대하여..... 100년 편지는 대한민국임시정부 100년(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입니다. 내가 안중근의사에게 편지를 쓰거나 내가 김구가 되어 편지를 쓸 수 있습니다. 100년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역사와 상상이 조우하고 회동하는 100년 편지는 편지이자 편지로 쓰는 칼럼입니다. 100년 편지는 2010년 4월 13일에 시작해서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됩니다. 독자 여러분도 100년 편지에 동참해보시지 않겠습니까? 앞으로 매주 화요일 100년 편지를 소개합니다. -편집자- 문의: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02-3210-0411 * 구한말 국권을 잃자 왜군에 항쟁하며, 의병의 후원자로 식량과 가축(소)을 지원하고 호군활동을 하였다. 왜군이 감나무에 결박 고문과 폭행 장독으로 현장에서 절명하신 증조부 정환종. * 아들을 살리기 위해 숨겨주고 의병의 군량지원과 호군활동을 하다 발각되어 역적으로 몰려 고문 폭행의 장독으로 돌아가신 증조모 선갈음. * 국권쟁취의 의를 행함이 사람의 도리다. 라며 변성명하고 항쟁하여 투옥 되어서도 탈옥하는 담대함과 용맹한 의병장인 조부 정태화. * 의병장 남편 덕분에 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