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립중앙박물관은 <고고학지>, <미술자료>, <박물관 보존과학>, <박물관 교육> 등 각 분야의 학술지를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있다. ▲<고고학지>는 고고학 관련 연구, 자료소개, 발굴조사 보고 등을 게재하는 고고학 전문 학술지이다. 올해 발간된 <고고학지> 제28집은 일제강점기 자료 공개 사업에 관한 특집호로 일본 교토(京都)대학 요시이 히데오(吉井秀雄) 교수의 「일본인 연구자가 바라본 일제강점기 자료 공개사업」을 비롯한 국내외 연구논문 8편이 수록되었다. 논문을 통해 박물관이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일제강점기 자료 공개사업의 성과와 업적을 공유하고 학계와 함께 고민하여 향후 사업 진행 방향성 수립에 관한 의견을 제시하고 있다. 1960년 창간된 ▲<미술자료>는 국립중앙박물관 최초의 학술지로 미술사 분야의 연구성과를 꾸준히 소개하고 있다. 6월 간행된 제101호에서는 서울대학교 남동신 교수의 「원각사13층석탑 건립과 그 의미체계」등 3편의 논고와 1960년 창간호부터 2021년 제100호에 이르기까지 <미술자료>에서 언급했던 주요 문화재의 목록
[우리문화신문= 이윤옥 기자] 일본을 배우고 알아가는 방법은 여러 가지 있을 것이다. ‘문학’으로의 접근도 그 한 방법 가운데 하나일 듯하다. 새봄을 맞아 기대되는 강좌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다. 바로 <문학으로 일본 읽기>이다. 서울특별시교육청 동대문도서관이 주최하고 한일비교문화연구소가 기획·주관 하는 <문학으로 일본 읽기>(Part1) 강좌는 3월 20일부터 4월 17일까지 총 5회로 예정되어 있다. 3월 20일, 첫 번째 강좌는 ‘일본문학 속의 가족: 일상, 폭력과 유전’이라는 주제로 도쿠다 슈세이의 <욕조(風呂桶)> 등을 주제로 한일비교문화연구소 최재철 소장이 맡는다. 이어 3월 27일에는 ‘일본 근대문학 속의 부자(父子) 관계’를 성결대 임태균 교수가 강의할 예정이며, 4월 3일에는 ‘근대소설을 통해 본 일본적 미의식’을 서울대 서동주 교수가 맡는다. 이어 4월 10일에는 ‘근세 일본 문학과 기행’이란 주제로 한국외대 김경희 교수가 강의할 예정이며, 마지막회는 4월 17일 ‘가면의 시대, 현대 일본 문학 속의 인간관계’라는 주제로 위덕대 이정희 교수가 맡아 강의하며 일본 문학과, 문화에 관심있는 시민 150명을 선착순
[우리문화신문= 금나래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한국관광공사(사장 김장실, 이하 관광공사)와 함께 치유의 K-지역관광산업을 이끌 이끌 첫 번째 ‘올해의 웰니스 관광도시’로 정선군을 선정했다. ‘올해의 웰니스 관광도시’는 2023년 처음 추진되는 사업으로, 코로나19로 지친 국내외 관광객들의 마음에 ‘치유’를 제공하고 웰니스 관광산업을 육성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선정된 지역은 문체부, 관광공사와 함께 지역의 웰니스 관광자원을 활용해 관광상품을 만들고, 사업이 끝난 이후에도 사업이 지속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고 관련 행사 등을 연간 추진하게 된다. 올해는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사업을 공모해 사업계획서를 바탕으로 내외부 전문가들이 추진계획의 적정성과 지역관광의 매력도, 사업 기대효과 등을 중심으로 평가한 결과 정선군을 최종 선정했다. 정선군은 문체부와 관광공사가 지정한 추천 웰니스 관광지 3곳*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런 우수한 웰니스 관광자원을 기반으로 특화된 관광상품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는 점이 강점으로 꼽혔다. 특히 올해 사업으로 웰니스 관광도시의 정체성을 확립해 향후 한국을 대표하는 웰니스 관광도시로 도약하겠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한국국학진흥원(원장 정종섭)은 제례문화의 바람직한 계승을 위해 ‘제례문화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라는 기획기사를 마련했다. 네 번째 주제는 ‘홍동백서 조율시이’, 근거없는 제사상차림이다. “남의 집 제사상에 감놔라 배놔라” “남의 집 제사상에 감놔라 배놔라 한다”라는 말이 있다. 쓸데없이 남의 일에 간섭하지 말라는 뜻이다. 이 말은 조율시이棗栗柿梨) 곧 과일은 대추·밤·감·배의 순서로 배열한다는 제사상차림에서 유래되었다. 제사상에 제물을 차리는 방식을 진설법이라고 한다. 대표적인 것으로 ‘조율시이와 홍동백서’(紅東白西 - 붉은 것은 동쪽에 차리고 흰 것은 서쪽에 차린다)가 있다. 그런데 이러한 진설법이 근거 없는 원칙이라는 의견이 있다. 조상제례의 지침서인 <주자가례>의 제사상차림에는 과일의 구체적인 명칭을 제시하지 않고 ‘과(果)’로만 그려져 있고, 모두 6종이다. 다만 주석서에는 ‘시과(時果)’ 곧 그 계절에 수확되는 과일을 차린다고 되어 있다. 그렇다면 조율시이(대추·밤·감·배)가 제사상의 기본 과일이 된 까닭은 무엇일까? 여기에는 이들 과일이 우리나라의 풍토에 가장 적합했기 때문이라는 설명이 있다. 조선시대 유형원
[우리문화신문= 전수희 기자] 통영의 봄 바다는 상냥하고 온화하다. 호수처럼 잔잔한 수면 위로 부드러운 햇살이 내려앉고, 점점이 흩어진 푸른 섬 사이를 여객선과 유람선이 오간다. 눈부신 바다를 배경으로 아름다운 음악의 향연이 펼쳐지는 통영국제음악당이 여행을 한층 풍성하게 만든다. 올해로 21회를 맞은 2023통영국제음악제가 3월 31일~4월 9일에 열린다. 통영 출신 세계적인 작곡가 윤이상을 기리는 음악제다. 통영국제음악당은 바다가 보이는 언덕에 자리해 조망이 훌륭하다. 콘서트홀 로비는 공연이 없는 날에도 개방한다. 볕이 잘 드는 로비에 앉아 ‘바다 멍’을 즐기노라면 몽글몽글한 감성이 샘솟는다. 전망 좋은 브런치 카페에서 시간을 보내도 좋다. 윤이상의 삶과 음악을 살펴보려면 윤이상기념관을 방문한다. 사진과 친필 악보, 생전에 연주하던 첼로 등을 전시하고 베를린 자택에서 사용하던 가구, 음반, 책 등을 가져와 서재와 응접실도 재현했다. 관람 시간은 오전 9시~오후 6시(월요일 휴관), 입장료는 없다. 가까운 서피랑공원도 가볼 만하다. 공원에서 가장 높은 서포루에 오르면 강구안 일대가 한눈에 내려다보인다. 아랫동네엔 윤이상이 학교 다니던 골목도 있다. 미륵산 가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서울시가 지난달 '한옥4.0 재창조 계획' 발표 이후 본격적인 한옥 대중화, 활성화를 위한 공간과 프로그램 운영에 들어간다. 서촌한옥마을에는 '마을안내소'가 들어서고 북촌한옥마을 공공한옥도 다목적 대관시설이 추가된다. 서울시는 종로구 누하동에 서촌 안내소인 '서촌 퍼멘티드(Fermented)'를 개관하고 3월부터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또 한옥에서 다양한 활동(소규모 모임·회의·행사 등)이 가능한 북촌 내 다목적 대관시설 ‘공공한옥 놀이터’도 시범 운영한다. 서촌 한옥문화가 숙성되는 곳 ‘서촌 퍼멘티드’ 방문객, 주민위한 안내 및 전시 제공 '한옥과 한옥문화가 숙성(Ferment)되는 공간'이라는 의미가 담긴 '서촌 퍼멘티드'는 서촌이라는 독특한 지역적 특성과 필운대로 상업가에 있는 지리적 이점을 살려 내ㆍ외국인 관광객, 주민을 위한 마을 안내와 지역문화 교류 공간으로 운영된다. 시설 운영 개요 ▣ 곳 : 종로구 누하동 15(필운대로 45) ▣ 시설규모 : 지상 1층, 연면적 72.65㎡(대지123.2㎡) ▣ 시설용도 : 마을안내소(쉼터, 카페, 전시공간 등)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모바일 신분증 시대가 열린 지 벌써 1년이 됐다. 2022년 1월 처음 도입된 모바일 신분증은 6달의 시범 기간을 거쳐 2022년 7월부터 전국으로 확대됐다. 안랩은 2021년 12월에도 시큐리티레터를 통해 모바일 신분증의 유형과 보안 이슈를 소개한 바 있다.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지금, 무엇이 달라졌을까? 그리고 모바일 신분증은 계속 믿고 사용해도 될 만큼 안전할까? 이번 글에서는 손말틀(모바일) 신분증 도입으로 우리는 어떤 변화를 맞이했고, 손말틀 신분증이 탑재한 보안 기술은 무엇인지 간단히 살펴본다. 지갑이 필요 없는 손말틀 신분증 시대 요즘에는 지갑을 들고 다니는 것마저 거추장스럽게 느껴질 것이다. 신용카드가 등장하면서, 지폐나 동전을 쓸 일이 줄었고, 최근에는 슬기말틀(스마트폰)에서 '페이' 서비스를 지원하는 탓에 실물 카드도 굳이 지갑에 넣어 다닐 필요가 없다. 마지막까지 지갑 속 필수품으로 버텨온 신분증도 이제 손말틀로 발급된다. 손말틀 신분증 중에서도 손말틀 운전면허증이 가장 먼저 도입됐다. 정부는 2022년 1월부터 손말틀 운전면허증 제도를 시범적으로 벌였고, 같은 해 7월, 발급 대상을 전 국민으로 확대했다. 행
[우리문화신문=금나래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보균, 이하 문체부)는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김태훈, 이하 공진원)과 함께 우리 전통놀이문화 체험장인 <우리놀이터>를 전 국민이 손쉽게 접할 수 있는 ‘전통놀이·생활문화 거점공간’으로 확대 개편한다. ‘전통놀이문화 조성 및 확산’ 사업의 일환인 <우리놀이터>는 2020년부터 현대적인 디자인과 디지털을 접목해 개발한 현대화된 제기, 투호, 팽이 등 전통놀이기구와 콘텐츠를 가족·연인·친구들과 함께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전통놀이문화 전용 공간이다. 현재 전주 한옥마을과 경기도 고양어린이박물관, 경주 엑스포대공원, 경기도 양주 시립회암사지박물관에 있으며, 국립민속박물관 서울관과 파주관에도 2월 28일(화) 새롭게 문을 열어 총 6개소가 운영된다. 문체부는 앞으로 온 국민이 우리 고유의 놀이와 문화를 더 가깝게 누릴 수 있도록 <우리놀이터>의 규모와 내용을 대폭 확대·강화하고 명실상부 전통놀이와 전통생활문화의 대표 브랜드 공간으로 재탄생시킨다. 전국 확대 조성, 전통생활문화 관련 체험·교육·행사 개최, 온라인플랫폼 구축 먼저, 더욱 많은 국민들이 쉽게 방문하고 이용할 수
[우리문화신문=정석현 기자] 국립극장 공연예술박물관(관장 이주현)은 2월 28일(화) 「공연예술문화연구」 제2호를 펴낸다. 「공연예술문화연구」는 공연예술학과 박물관학 담론에서부터 학제 간 융합 연구까지 아우르는 학술지다. 당대 공연예술 관련 연구 결실과 학적 논의를 담아내기 위해 2022년 창간됐다. 「공연예술문화연구」제2호는 ‘특집’, ‘연재’, ‘서평’, ‘평론’으로 구성된다. ▲특집에는 해마다 제시된 주제를 중심으로 투고된 논문 가운데 심사를 거쳐 뽑은 글을 게재한다. 이번 호에는 “팬데믹 이후 공연예술”을 주제로 남영희ㆍ변영미ㆍ조순자가 쓴 논문을 수록했다. ▲연재는 나라 밖 공연예술, 박물관ㆍ도서관 등을 소개하는 마당으로, 코리아리서치센터 원장 주동완이 뉴욕공연예술도서관을 소개한다. ▲서평에서는 문화 전반을 고찰한 나라 안팎 저술 서평을 통해 동시대 공연예술의 흐름을 짚어 본다.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한류연구센터 공동연구원 서지영과 연극학자 전영지가 각각 『예술 이후』(데이비드 조슬릿 저)와 『정동, 동물, 자폐인(Affect, Animals, and Autists)』(말라 칼슨 저)에 대해 썼다. 마지막으로 ▲평론에서는 2022년 ‘제2회 국립극장
[우리문화신문=전수희 기자] 서울시는 2023년 가을, 겨울 패션 트렌드를 선보이는 ‘2023 F/W (Fall/Winter, 가을/겨울) 서울패션위크’를 3월 15일(수)부터 19일(일)까지 5일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서울패션위크는 100% 현장 패션쇼로 개최하며, 서울패션위크 공식 유튜브(https://www.youtube.com/@SFW_official) 온라인 채널을 통해서도 생중계되어, 패션에 관심 있는 일반시민 누구나 실시간으로 만나볼 수 있다. 2023년 서울패션위크의 글로벌 홍보대사에는 데뷔 6개월 만에 미국 빌보드 차트 ‘핫 100’에 진입하고 두 개의 ‘밀리언셀러’ 음반을 보유한 그룹 ‘뉴진스(NewJeans)’가 활약한다. 서울패션위크 홍보대사 ‘뉴진스’의 영상은 2월 25일(토) 서울패션위크 유튜브(@SFW_official)를 통해 최초 공개된다. 이번 ‘2023 F/W 서울패션위크’는 크게 3가지 행사로 운영된다. ①30개 디자이너 브랜드의 패션쇼 ②27개국 130여명의 해외바이어(구매자)가 참여하는 국내 최대 수주박람회 트레이드쇼 ③패션과 혁신기술이 결합된 다양한 시민참여프로그램 구성된다. 관객들에게 보다 생동감 넘치는 경험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