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광주역 앞에서 늦은 점심을 간단히 먹고 4시에 광주에서 출발하였다. 돌아오는 기차 안에서 나는 연담 거사와 불교에 관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누었다. 연담 거사는 특이하게도 부인이 교회에 다닌다. 자녀가 둘 있는데, 하나는 아버지 따라 절에 다니고, 하나는 어머니 따라 교회에 다니는 독특한 가정이다. 연담 거사는 그러한 가정 내력 때문인지 이미 기독교 교리에 관해서 잘 알고 있었고, 그래서인지 그가 설명하는 불교 이야기는 이해하기 쉬었다. 나는 수원대 교수로 오기 전에 국토개발원에서 3년 동안 근무한 적이 있다. 그때 이 과장이라는 분과 차를 마시면서 불교에 관한 대화를 나눈 적이 있다. 그분은 불자로서 불교 공부를 많이 한 분이었다. 나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했었다. “부처님의 말씀을 깨달은 사람과 깨닫지 못한 일반인의 행동 차이점은 무엇인가? 다시 말해서, 어떤 사람이 깨닫는다면 그 사람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달라지는가?” 내 질문을 들은 이 과장님은 이것은 금강경에 나오는 보물 같은 이야기인데 좋은 질문을 했으므로 나에게만 말해 준다면서 ‘무주상보시(無住相布施)’라고 말했던 것이 기억난다. 연담거사가 설명하는 무주상보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새벽 6시에 잠이 깨어 일어나 보니 연담거사가 안 보인다. 어디로 갔을까? 한참 지나 단정한 모습의 연담거사가 들어온다. 물어보니 새벽 4시에 일어나 택시를 타고 무등산에 있는 증심사에 가서 참선을 1시간 하고 왔단다. 부지런하기도 하지. 불교를 믿으려면 저 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증심사에 가 보니 법정 스님이 법회를 하러 오신다는 현수막이 붙어 있더란다. 법정 스님은 내가 좋아하는 스님인데. 나는 법정 스님의 작은 수필집 《무소유》를 좋아한다. 혼자 읽기에는 정말 내용이 좋고, 또 내가 보는 관점에서는 환경 문제의 해결책이 담겨 있는 책이라고 생각되어 나는 내가 가르치는 모든 과목에서 학생들에게 《무소유》를 읽고 독후감을 3장 이상으로 써내라는 과제를 낸다. 독후감을 내는 학생에게는 무조건 5점을 준다. 이러한 다소 엉뚱한 과제를 1990년부터 시작했으니까 아마도 3,000권 이상 책을 팔아주었을 것이다. 그날은 바빠서 증심사에 못 갔지만 언제 법정 스님을 만나면 내가 많은 책을 팔아주었으니 점심이라도 한 끼 사시라고 청해야겠다. (주: 그 후 인연이 닿지 않아서인지 법정 스님을 만나지는 못했다. 스님은 2010년에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아이가 태어나면 깨끗하게 씻기고 옷을 입힙니다. 사람이 죽어도 깨끗하게 씻기고 옷을 입히지요. 우린 알몸으로 태어나지만, 알몸으로 세상을 살아가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아무것도 가지고 갈 수 없는 저세상 길도 알몸으로 떠나지는 않지요. 성경 마태복음에는 다음과 같은 말씀이 나옵니다. "너희는 무엇을 먹고 마시며 살아갈까, 또 몸에는 무엇을 걸칠까 하고 걱정하지 말라. 목숨이 음식보다 소중하지 않으냐? 또 몸이 옷보다 소중하지 않으냐? 공중의 새를 보아라. 그들은 씨뿌리거나 거두거나 곳간에 모으지 않아도 하늘이 먹여 주신다. 너희는 새보다 훨씬 귀하지 않으냐? 너희 가운데 누가 걱정한다고 목숨을 한 시간인들 더 늘릴 수 있겠느냐? 또 너희가 어찌하여 옷 걱정을 하느냐? 들의 백합화를 보아라. 그들은 수고도 하지 않고 길쌈도 하지 않는다. 그러나 온갖 영화를 누린 솔로몬도 이 꽃 한 송이만큼 화려하게 차려입지 못하였다." 옷에 관한 것은 승려의 생활에도 보입니다. 불교가 초기에는 절이 없었습니다. 그저 집을 버리고 별도의 수행처 없이 숲속에 머물거나 유랑생활을 하며 명상했지요. 출가 과정에서 승려는 최소의 규칙을 고지받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