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때지식」 국가무형유산 새 종목 지정 예고
[우리문화신문=한성훈 기자] 국가유산청(청장 허민)은 「물때지식」을 국가무형유산 새 종목으로 지정 예고한다. 「물때지식」은 밀물과 썰물로 발생하는 바닷물의 주기적인 변화를 인식하는 전통적 지식체계로, 지구에 대한 해와 달의 인력 때문에 발생하는 조수간만(潮水干滿)에 따라 변화하는 조류의 일정한 주기를 역법(曆法)화 한 것이 대표적이다. 물때의 지식체계는 자연환경을 관찰하고 경험하며 축적한 전통 지식과 지구와 달의 관계를 역법으로 표현하는 천문 지식이 결합한 것으로, 어민들의 생계수단인 어업활동뿐 아니라 염전과 간척, 노두(路頭)* 이용, 뱃고사* 등 해안 지역의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지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 노두: 섬과 섬 사이 갯벌에 돌을 깔아 두 지역을 연결하는 일종의 다리 * 뱃고사: 바다에서 배를 부리는 사람이 항해의 안전과 풍어를 빌며 지내는 제사 하루 단위의 밀물과 썰물에 관한 내용은 《고려사》에 등장하고, 보름 주기의 물때 명칭이 《태종실록》에 기록되어 있어, 조선시대 이전부터 15일 주기의 물때 순환체계를 인식하여 이용하고 있음이 확인된다. 조선 후기에는 강경포구의 조석 현상을 바위에 새겨 기록하거나, 실학자인 신경준이 「조석일삭진퇴성쇠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