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K 교수는 분명히 들었다. 미스 K는 이번에는 ‘아저씨’ 대신에 ‘그 사람’이라고 표현했다. 미스 K는 남편이라는 단어를 일부러 피하는 것이 분명했다. 두 사람은 이미 이혼했거나, 별거 단계에 있을 것이라는 생각이 스쳤다. 이것은 매우 중요한 발견이었다. 앞으로 K 교수가 미스 K를 어떻게 대할 것인가에 대해서 암시를 주는 바가 크다. 간단히 말해서 K 교수가 미스 K에게 데이트를 신청하고, 언젠가 데이트는 물론 그다음 단계로 나아가더라도 유부녀가 아니므로 위험 부담이 줄어들 것 같다. 물론 아내를 속이는 일은 미안하지만, 상대가 유부녀는 아니므로 저쪽 남자에 대해서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될 것이다. 아전인수격으로 해석하면, 로맨스(나쁘게 말하면 불륜)에 대한 위험 부담이 반으로 줄어든다고 볼 수 있다. 어쨌든 우연히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고서 K 교수는 매우 고무된 기분이었다. 며칠 뒤, K 교수는 신문을 읽다가 경기도 이천군에서 도자기 축제가 열린다고 소개하는 기사를 보았다. 해마다 열리는 도자기 축제인데, 올해에는 특히 세계 각국의 도자기를 모아 대규모로 전시회를 한단다. K 교수는 기사를 읽고서 멋진 계책을 생각해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이 소설은 제가 수원대를 정년 퇴임하기 직전인 2015년 4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5달 동안 <수원대 교수협의회 카페>에 발표했던 장편소설(모두 73회)에 바탕을 두었습니다. 소설이란 작가의 경험을 재료로 하여 예쁘게 색칠하고 상상의 날개를 달아 재미있게 부풀린 이야기입니다. 시계를 27년 전으로 돌려서, 1998년에 저는 수원대 후문 근처인 화성군 봉담면 수기리 호수마을에 있는 전원주택에서 살고 있었습니다. 오래 근무한 수원대 교수님들은 기억하실 것입니다. 그해 봄에 학교에는 이상한 소문이 돌았고, 그 후 6달 동안 여러 가지 재미있는 일들이 발생하였습니다. 저는 그때 일어난 사건들을 수첩에 메모해 두었습니다. 지금부터 27년 전 수첩에 메모한 내용을 토대로 10년 전에 발표한 소설을 2025년에 맞게 수정하고 보완하여 우리문화신문에 장편소설로 연재하려고 합니다. 일주일에 한 번씩 글을 올리겠습니다. 실화 같은 소설, 소설 같은 실화라는 말이 있지만 소설은 소설입니다. 소설에 나오는 등장인물은 실제 인물과 비슷하기도 하고 다르기도 합니다. 등장인물에 대해서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