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4 (수)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글 그리고 우리말

사라지는 사투리, ‘지역어 종합 정보’에 모아

국립국어원,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 공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소속 기관인 국립국어원(원장 소강춘, 이하 국어원)은 2월 5일(수)에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http://dialect.korean.go.kr)을 공개한다. 국어원은 2004년부터 사라져 가는 지역의 언어문화를 보존하기 위해 전국의 사투리를 조사해 왔다. 이제 그동안의 조사 결과를 정리하여, 국민이 지역어 정보를 쉽게 찾아보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이하 ’누리집‘)’을 개통했다.

 

 

소멸 위기의 지역어 조사에 17년의 시간과 251명의 말품 들어

 

사투리는 삶의 현장에서 사용하는 말로, 그 지역 고유의 역사와 전통, 문화가 반영되어 있는 소중한 문화 자원이지만 빠른 속도로 사라져 가고 있다. 2015년에 실시한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에 따르면, 일상생활에서 지역어 사용 비중이 2010년에서 2015년 사이에 7%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원은 소멸 위기의 지역어 보존을 위해 2004년부터 2019년까지 전국 131개 시군에서 전통적 생활 방식을 유지하고 있는 80대 이상 제보자를 대상으로 지역어 음성을 채록하였으며, 2020년에는 남은 19개 시군을 조사함으로써 1단계 지역어 조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다. 전국의 지역어를 한 차례 조사ㆍ정리하는 데만 17년의 시간과 제보자 251명의 말품이 든 셈이다.

 

 

 

 

삶의 현장에서 사용되는 우리말을 ‘지역어 종합 정보’에 모아

 

‘지역어 종합 정보 누리집’은 지역어 정보의 공유와 활용에 초점을 두고, 그간 국어원에서 구축한 자료를 제공한다. ‘지역어 찾기, 지역어 지도, 지역어 이야기 자료, 문학 속 지역어,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 등 다섯 개의 주제로 정보를 구성하였다. ‘지역어 찾기’에서는 1,200개의 어휘가 지역별로 어떻게 다른지 확인할 수 있는데 제공되는 지역어와 음성 자료는 각각 16만 항목에 이른다. ‘지역어 지도’에서는 ‘겨울, 그네, 소꿉놀이’ 등 지역의 방언 차이를 잘 보여주는 100여 개 어휘의 지역어 지도와 해설을 볼 수 있고, 사용자가 직접 자신만의 언어지도를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지역어 이야기 자료’에서는 지역의 생생한 구술자료 음성을 들을 수 있는데 전국 25개 시군에서 채록한 구술 자료 50시간 분량의 지역어와 표준어 번역 그리고 발화자의 음성이 제공된다. ‘문학 속 지역어’에서는 문학작품 772편에 반영된 지역어 2,012항목의 예문과 지역어 해설이 제공된다. ‘사진으로 보는 생활어’에서는 해녀, 심마니, 부채장 등 17종의 전통 직업에서 사용하는 직업 생활어 764항목과 관련 사진 1,033장이 제공된다. 아울러, 올해 지역어 1단계 조사가 마무리되면, 그 결과도 추가로 제공할 계획이다.

 

 

우리말 다양성 보존을 위해 지역어 조사 범위 확대

 

문화적으로 성숙한 국가에 오르기 위해서는 우리말의 다양성을 오롯이 모으고, 사용 분포를 정리할 필요가 있다. 소강춘 국립국어원장은 “우리말의 다양성을 보존하는 일이야말로 국가의 책무”라며, “2021년부터는 조사 대상을 각 지역의 세대와 직업으로 확대하여 한국어의 지역적 사용 분포를 정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