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30 (목)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창수의 토박이말 이야기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모루구름

대장간의 모루를 닮은 구름, 모루구름
토박이말=순우리말=고유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한여름, 맑은 하늘 한쪽에서 뭉게구름이 피어오르더니 이내 커다란 솜 뫼처럼 하늘 높이 솟구치는 모습을 본 적 있으신가요? 힘차게 솟아오르던 그 구름이 더는 올라갈 곳이 없다는 듯, 맨 꼭대기에 이르러 넓고 고르게 쫙 퍼져나가는 모습은 보기 좋습니다.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토박이말은 바로 이 커다란 구름의 꼭대기를 가리키는 말, '모루구름'입니다.

 

 

'모루구름'은 그 이름만 들어서는 어떤 모습일지 쉽게 어림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말집(사전)에서는 이 말을 어떻게 풀이하고 있을까요?

 

적란운의 윗부분에 나타나는 모루 또는 나팔꽃 모양의 구름 《표준국어대사전》

 

풀이에 나오는 '적란운(積亂雲)'이라는 한자말이 조금 낯설지요? '적란운'은 우리가 흔히 '소나기구름'이나 '쌘비구름'이라고 부르는, 하늘 높이 솟아올라 굵은 비나 우박, 천둥과 번개를 몰고 오는 아주 크고 무서운 구름을 말합니다. 그러니 '모루구름'은, 이 커다란 소나기구름이 자랄 대로 자라 하늘 꼭대기에 다다랐을 때, 더는 위로 솟구치지 못하고 옆으로 넓게 퍼져나간 구름의 맨 윗부분을 가리키는 멋진 우리말입니다.

 

그렇다면 이 구름은 왜 '모루'라는 이름을 갖게 되었을까요? '모루'가 무엇인지 알면 그 모습을 바로 떠올릴 수 있습니다.

 

'모루'는 대장간에서 불에 뜨겁게 달군 쇠를 올려놓고 망치로 꽝꽝 두드릴 때 받침으로 쓰는, 묵직하고 단단한 쇳덩이를 가리키는 우리말입니다. 이제 하늘에 뜬 '모루구름'을 다시 한번 떠올려 보세요. 하늘 높이 솟아오른 커다란 구름 기둥(소나기구름) 위에, 마치 칼로 자른 듯 평평하면서도 넓게 퍼져나간 구름의 모습이 대장간의 '모루'와 꼭 닮지 않았나요?

 

어쩌면 옛사람들은 그 거대한 구름 꼭대기를 바라보며, 하늘의 대장장이가 번갯불에 쇠를 달구어 저 '모루구름' 위에 올려놓고 천둥 망치로 두드려 비를 만들어낸다고 생각했는지도 모릅니다. 참으로 멋진 이름이 아닐 수 없습니다.

 

'모루구름'은 아무 때나 볼 수 있는 구름은 아닙니다. 아주 크고 힘센 소나기구름이 만들어질 때만 볼 수 있지요. 그래서 '모루구름'이 보인다는 것은 곧 날씨가 크게 바뀔 낌새이기도 합니다.

'모루구름'은 이럴 때 써보세요.

 

저 멀리 구름 꼭대기가 모루구름처럼 넓게 퍼진 걸 보니, 곧 소나기가 쏟아지겠어요.

저기 저 구름 좀 봐! 꼭대기가 대장간 '모루'처럼 평평하고 넓지? 저걸 모루구름이라고 부른단다. 

 

하늘이 우리에게 보여주는 가장 크고 굳센 바람빛(풍경) 가운데 하나인 '모루구름'. 그저 '비구름'이나 '소나기구름'이라고 뭉뚱그려 부르기 보다 그 커다란 구름의 꼭대기를 바라보며 '모루구름'이라고 힘주어 불러보면 어떨까요? 대장간의 '모루'가 뜨거운 쇠를 두드려 쓸모 있는 연장을 만들어내듯, 하늘의 '모루구름'은 메마른 땅을 적셔줄 세찬 비를 내릴 갖춤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도 하늘을 올려다보며 이 크디큰 이름을 가진 구름을 찾아보는 겨를을 내어 보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이 멋진 토박이말을 곁에 있는 분들에게 꼭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