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7 (월)

  • 맑음동두천 5.7℃
  • 맑음강릉 11.4℃
  • 구름조금서울 4.7℃
  • 구름많음대전 8.1℃
  • 구름많음대구 9.7℃
  • 흐림울산 10.4℃
  • 흐림광주 9.1℃
  • 구름많음부산 14.9℃
  • 흐림고창 8.1℃
  • 흐림제주 12.0℃
  • 맑음강화 4.5℃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많음금산 8.2℃
  • 흐림강진군 9.9℃
  • 구름많음경주시 11.0℃
  • 구름많음거제 13.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이창수의 토박이말 이야기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쌘구름

차곡차곡 쌓아 올려 쌓인 구름, 쌘구름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늘에 솜을 뜯어 둥실둥실 띄워 놓은 듯한 구름. 우리는 이 살가운 구름을 '뭉게구름'이라는 이름으로 참 자주 부르지요. 바라만 보아도 마음이 넉넉해지는 이 구름에, '뭉게구름'만큼이나 멋진 우리 토박이말 이름이 또 하나 있다는 것, 알고 계셨나요? 오늘 우리가 함께 나눌 이름은 바로 그 또 다른 이름, '쌘구름'입니다.

 

'쌘구름'이라는 이름이 조금 낯설게 들리실 수도 있겠습니다. '쌘'이라는 말은 '쌓이다'의 준말 '쌔다'의 매김꼴(관형형)이랍니다. 구름의 생김새가 아마도 솜이나 볏단처럼 무언가를 차곡차곡 '쌓인 듯한' 모습을 보고 만든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쌓인 구름'이 '쌘구름'이 된 것이지요. 

 

 

말집(사전) 풀이를 보면 더욱 또렷해집니다.

수직운의 하나. 뭉게뭉게 피어올라 윤곽이 확실하게 나타나는 구름으로, 밑은 평평하고 꼭대기는 솜을 쌓아 놓은 것처럼 뭉실뭉실한 모양이며 햇빛을 받으면 하얗게 빛난다. 무더운 여름에 상승 기류로 말미암아 보통 2km 높이에서 생기는데, 발달한 구름 꼭대기는 10km에 이르는 경우도 있으며 비는 내리지 않는다 《표준국어대사전》

수직 방향으로 뭉게뭉게 피어올라 대체로 확실한 윤곽이 나타나는 구름 《고려대한국어대사전》

 

두 풀이 모두 '쌘구름'이 땅에서부터 위로 솟아오르며 뭉게뭉게 피어나는 구름임을 알려줍니다. 특히 표준국어대사전에서는 그 모양이 꼭 "솜을 쌓아 놓은 것 같다"고 풀이하고 있으니, '쌘구름'이라는 이름이 참으로 찰떡같이 어울리지요?

 

눈치채셨나요? 네, 맞습니다. '쌘구름'의 풀이는 우리가 앞서 만났던 '뭉게구름'의 풀이와 거의 같습니다. '쌘구름'은 '뭉게구름'의 또 다른 이름이자, 뜻이 같은 말인 셈입니다.

 

'뭉게구름'이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모양새에 마음을 두었다면, '쌘구름'은 솜을 '차곡차곡 쌓아 올린' 듯한 덩어리진 모습에 마음을 둔 이름입니다. 한자말로 '쌓을 적(積)' 자를 써서 '적운(積雲)'이라고 부르는 것과도 그 뜻이 고스란히 통합니다. '뭉게구름'도 좋고 '적운'도 맞지만, '솜을 쌓아 올린 구름'이라는 뜻을 고스란히 담은 '쌘구름'이라는 이름은 우리에게 한결 더 살갑고 알기 쉽게 다가옵니다.

 

'쌘구름'은 '뭉게구름'을 부르는 또 다른 이름이니, 맑고 볕 좋은 날 하늘을 보며 언제든 쓸 수 있습니다.

오늘 하늘 참 맑다! 저기 솜 뭉치처럼 둥실 떠 있는 쌘구름 좀 봐.

저 구름은 솜이 차곡차곡 '쌓인 것' 같다고 해서 '쌘구름'이라고도 부른대. '뭉게구름'이랑 같은 말이야.

하늘에 핀 쌘구름이 꼭 커다란 강아지가 엎드려 있는 것 같지 않니?

 

'뭉게구름'이라는 익숙한 이름 뒤에 숨어 있던 또 하나의 고운 이름, '쌘구름'. '뭉게뭉게' 피어오르는 모습과 '차곡차곡' 쌓인 모습을 함께 떠올리니, 구름이 한 결 더 넉넉하게 느껴지는 듯합니다.

 

어느날 맑은 하늘에 솜 뭉치 같은 구름이 떠 있거든 반갑게 "아, 쌘구름이다!" 하고 불러도 보시고, 곁에 있는 이에게 "저 뭉게구름의 다른 이름이 '쌘구름'이래요. '쌓인 구름'이라는 뜻이래요." 하고 알려주는 것도 참 멋진 일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