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0 (월)

  • 흐림동두천 20.0℃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22.1℃
  • 구름많음대전 21.9℃
  • 구름조금대구 26.0℃
  • 맑음울산 27.0℃
  • 맑음광주 23.9℃
  • 맑음부산 27.2℃
  • 맑음고창 ℃
  • 구름많음제주 24.0℃
  • 구름많음강화 18.8℃
  • 구름많음보은 20.5℃
  • 구름많음금산 21.3℃
  • 구름조금강진군 26.4℃
  • 구름많음경주시 ℃
  • 맑음거제 26.6℃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닫기

한글 그리고 우리말

대한민국, “한글학”이 필요하다

극동대학교, 세계 최초로 한글학 온라인 강좌 개설 예정

[그린경제/얼레빗=김슬옹 기자]  극동대학교가 20141학기부터 교양 온라인 강좌로 한글학을 개설하기로 했다. ‘한글학이 얼마나 필요하며 왜 중요한가에 대한 글쓴이의 의견과 제안을 극동대학교가 받아 들여 개설되었다. 한글은 세종대왕이 우리말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말까지도 제대로, 바르게 표기하기 위하여 창제한 훈민정음을 가리킨다. 한글은 한국어를 적는 고유 문자 이름으로서의 특수성과 사람의 문자가 지향해야 할 가장 이상적인 보편성을 갖춘 문자이기도 하다.  

이제 국제 사회에서는 언어와 문자를 제대로 아는 이라면 한글을 최고의 문자 체계로 평가하는데 전혀 이견이 없는 듯하다. 2012년에 리커슨(E.M.Rickerson)과 힐튼(Barry Hilton)이 엮어 펴낸 he Five-Minute Linguist: bite-sized essays on language and languages(2nd ed.).라는 책에서 피터 다니엘스(Peter T.Daniels)는 지구상의 문자 체계를 총정리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지금까지 만들어진 것 중 최고의 문자 체계는 중국으로부터 배운 음절 접근법을 인도로부터 배운 자음-모음 접근법과 결합한 한국어, 한글(Hangul)입니다. 한국어 메뉴판에서 당신은 간단한 중국 글자처럼 보이는 정사각형 모양들을 볼 것입니다. 그러나 그것들을 보다 자세히 보면 블록(음절)으로 결합된 단지 40개의 간단한 문자입니다. 조그만 공간에 엄청난 정보를 넣은 것입니다.” _E.M. 릭커슨 , 배리 힐튼 엮음/류미림 옮김(2013). 언어학에 대한 65가지 궁금증. 경문사. 56-57. 

기본 자모음 24자에서 확장된 40자 자모(자음 19+모음 21)의 한글 체계를 최고의 문자 체계로 평가하고 있다. 많은 외국 학자들의 한글 찬사는 1889년에 고종 초청으로 육영공원 영어 교사로 온 헐버트 박사에 의해서 비롯되었다.  

그는 1892년에 '한글(Korean Alphabet)'의 우수성을 역사상 최초로 학술적으로 외국에 알리고 1905년에 출간한 한국사(The History of Korea)에서 "한글과 견줄 글자는 세상 어디에도 없다.“(Korean alphabet scarcely has its equal in the world for simplicity and phonetic power.")라고 갈파하였다. 또한 영국의 저명한 문자학자인 샘슨은 1985년에 한글을 탁월한 단순성과 편리성을 나타내는 인류의 위대한 지적 업적으로 자리매김 했다.  

“We may well marvel at the outstanding simplicity and convenience of Hangeul. Whether or not it is ultimately the best of all conceivable scripts for Korea, Hangeul must unquestionably rank as one of the great intellectual achievement of humankind.” -Geoffrey Sampson, (1985). Writing System. Hutchinson. p.144. 

   
▲ "한글 숨바꼭질" 작품 서울여대 한재준 교수 <나는 한글이다>, 서울 종로구 한글가온길 한글학회 건물

이제는 이러한 찬사가 필요한 때가 아니다. 한글이 창제된 지 571, 반포된 지 568년이나 되었는데 이런 식의 찬사만 듣고 있다는 것은 후손들의 직무유기다. 한글에 대한 짜임새 있는 학문을 통해 한글의 내용과 가치를 제대로 정리해야 한다. 다시 말해 한글학이 필요하다. 한글학이란 이러한 한글에 대한 학문 체계를 이르는 말이다. 한글학은 한글 문자에 대한 이론이면서 한글의 의미와 가치를 보편적 관점에서 정리한 학문이다. 따라서 한글학은 한글의 가치를 극대화하여 한글의 보편적 가치를 나누고자 하는 실천 지향의 학문이다. 

그렇다면 한글학은 왜 필요한지 다시 생각해 보자. 문자학 측면에서 한글은 인류 문자 가운데 가장 발달되고 가장 체계화된 문자에 담론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자에 대한 독자적인 학문 체계가 없다면 한글의 문자적 가치는 어디서 찾아야 하는가? 

다음으로 문화 예술 측면에서 보면 한글은 단순히 문자를 넘어 인간이 지향해야 할 문자 문화의 전형을 보여 준다. 모든 문자가 독특한 언어문화 전통을 가지고 있지만 한글에 담긴 문화적 전통은 한글학을 통해 제대로 정리되어야 한다.  

예술적 측면에서 보더라도 한글은 문자 예술의 극치를 보여 준다. 단순한 점과 직선과 원만으로 문자의 미학을 만들어냈다. 생활 측면에서 보면 한글은 문자를 통해 소통하고 생각을 정리하고 정보와 지식을 나누는 자연스런 언어생활의 중심에 놓여 있으므로 이러한 측면을 종합 정리 평가하고 더 나은 한글이 발전된 미래를 위해서도 학문적 체계화가 필요하다.  

그렇다면 한글학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를 정리해 보자. 첫째, 한글학은 문자학을 새로 세우는 구실을 할 것이다. 한글은 문자 과학이면서 문자의 보편적 가치를 잘 담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한글학은 소통학의 주요 분야가 될 것이다. 글말을 통한 소통에서 한글은 신분 질서를 뛰어넘게 하고 쉽고 과학적인 문자의 기능성, 도구성은 매우 뛰어나다. 반소통으로 악용되기도 하지만 대체로 다양한 맥락의 소통에서 한글을 매우 탁월한 기능을 한다.  

셋째, 한글학은 글꼴학의 바탕이 될 것이다. 한재준 교수 지적처럼 한글은 글꼴 미학의 다양한 측면을 간직하고 있다. 한글학을 통해 이러한 글꼴학을 더욱 드높여야 한다. 넷째, 한글학은 융합학의 대표 분야로 더욱 조명될 것이다. 한글은 언어학 분야에 속하기도 하지만 한글은 음악적 요소와 미술적 요소 과학적 요소 등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융합 접근을 통해 그 실체를 제대로 밝힐 수 있다. 

그렇다면 한글학의 실천 전략은 무엇인가. 첫째 이론적 실천이 필요하다. 철저한 이론을 세움으로써 한글의 가치와 한글학의 의미를 더욱 드높일 수 있다. 둘째 융합학문 차원의 노력이 필요하다. 최근 융합, 통섭 등이 시대의 화두이기도 하고 이와 관련 융합학이 더욱 존중받고 있는데 한글은 융합학 그 자체이기 때문이다. 세종 한글 융합 학회 등을 통해 한글학을 살려야 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런 모임을 통해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한글의 의미와 가치를 함께 연구해야 한다.  

셋째, 한글에 대한 총체적 노력이 필요하다. 총체적 노력이라 함은 그간 한글에 대한 역사와 문제 의식, 실용적 현상 등 다양한 분야를 집약해 주는 한글학 정립을 통해 총체적으로 노력하자는 것이다. 넷째는 한글의 가치 실현 곧 한글사랑이 절실할 때이다. 한글사랑의 최종 지향점이나 바탕은 한글학이란 학문 정립을 통해 제대로 이룩할 수 있다.  

얼마 전 구글의 에릭 슈밋 회장이 한국을 방문하여 남긴 말이 인상적이다 

   
▲ 유진룡 문화체육부장관과 에릭 슈밋 구글 회장

한국인들이 한글에 큰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한글은 빨리 타이핑할 수 있는데 이것이 한국이 디지털 리더가 될 수 있었던 까닭 가운데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_에릭 슈밋 구글 회장. -동아일보 20131031. A31. 

이제 한글은 한국인의 자부심이 아니라 인류의 자부심이 되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한글의 보편성을 이론화시킨 한글학이 매우 절실하다. 극동대학교가 한글학 온라인 강좌를 개설하는 것이 얼마나 큰 의미가 있는지 우리가 깨달아야 할 때이다.

 
[극동대학교의 한글학 주차별 제목] 

  1주차 : 한글학의 필요성
  2주차 : 한글 명칭론
  3주차 : 한글 문자론
  4주차 : 한글 과학론
  5주차 : 한글 예술론
  6주차 : 한글 철학론
  7주차 : 한글 경제론
  8주차 : 한글 교육론
  9주차 :  한글 문화론
10주차 : 한글 운동론
11주차 : 한글 우수성론
12주차 : 한글 세계화론
13주차: : 한글학의 성격과 우리의 자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