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동짓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베어내어 춘풍 이불 아래 서리서리 넣었다가 어른님 오신 날 밤이어든 구뷔구뷔 펴리라. 황진이(黃眞伊) 시조 <동짓달 기나긴 밤을> 동지, 해가 부활하는 날 ‘동지(冬至)’는 24절기의 스물두째이며 명절로 지내기도 했던 날이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곧 ‘작은설’이라 하였는데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른 다음 차츰 낮이 길어지기 시작한다. 그 때문에 옛사람들은 이날을 해가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잔치를 벌여 태양신에게 제사를 올렸다. 그래서 동지를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했다. 이런 생각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첨치(冬至添齒)’라 하여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고 생각했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불렀다. 동지팥죽, 귀신 쫓고 더불어 살고 이날 가장 흔한 풍속으로는 팥죽을 쑤어 먹는 일이다. 팥죽에는 찹쌀로 새알 모양의 단자(團子) 곧 ‘새알심’을 만들어 죽에 넣어서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모레는 24절기의 스물두째이며 명절로 지내기도 했던 ‘동지(冬至)’입니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곧 ‘작은설’이라 하였는데 하지로부터 차츰 낮이 짧아지고 밤이 길어지기 시작하여 동짓날에 이른 다음 차츰 낮이 길어지기 시작기 때문에 옛사람들은 이날을 해가 죽음으로부터 부활하는 날로 생각하고 잔치를 벌여 태양신에게 제사를 올렸습니다. 그래서 동지를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했지요. 이런 생각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첨치(冬至添齒)’라 하여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고 생각합니다. 궁중에서는 설날과 동지를 가장 으뜸 되는 잔칫날로 생각했으며, 이때 회례연(會禮宴, 잔치)을 베풀었고, 해마다 예물을 갖춘 동지사(冬至使)를 중국에 파견하여 이날을 축하하였지요. 조선 후기 홍석모가 연중행사와 풍속들을 정리하고 설명한 세시풍속집 《동국세시기》에 “관상감(觀象監, 조선시대 천문과 날씨 일을 맡았던 관서)에서는 새해의 달력을 만들어 임금에게 바친다. 나라에서는 이 책에 동문지보(同文之寶)라는 어새를 찍어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이것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청자의 원조라 말하는 송나라 때에 "고려청자의 비색 천하제일."이라고 알려졌습니다. 그 고려청자 가운데 ‘청자 칠보투각향로(국보 제95호)’, ‘청자 상감 구름학무늬 매병(국보 68호)‘, ‘청자 상감 모란무늬표형병(국보 제116호) 등이 유명합니다. 그런데 국립중앙박물관에는 고려 사람들이 신선을 본떠 만든 청자 주전자도 우리의 눈에 띕니다. 바로 ’청자 선인(仙人)모양주전자(국보 제167호)‘가 그것이지요. 1971년, 대구 교외의 한 과수원에서 땅을 파다가 높이 28cm, 바닥지름 19.7cm의 이 청자 주전자를 발견하였습니다. 이렇게 작은 청자 유물이 뭐가 그리 대단하다고 국보로 지정되었을까요? 고려청자는 상당히 많이 남아있지만, 출토지가 분명한 고급 청자는 많지 않습니다. 그뿐만 아니라 사람 모습으로 만든 인형(人形) 청자는 매우 희귀합니다. 특히 이 아름다운 고려청자 주전자에는 생활 속에서 도가(道家)의 이상세계를 그렸던 고려 사람들의 정신세계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는 점이 이 주전자가 국보로 지정되기에 이른 까닭입니다. 이 주전자를 보면, 보관(寶冠)을 머리에 쓰고 도포(道袍)를 입은 사람이 구름 위에 앉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내일은 24절기 가운데 스물한째인 ‘대설(大雪)’입니다. 소설에 이어 오는 대설(大雪)은 눈이 가장 많이 내린다는 뜻에서 붙은 이름이지만 원래 역법(曆法)의 기준 지점인 중국 화북지방(華北地方)의 계절적 특징과 맞춘 것이기에 우리나라는 반드시 이때 눈이 많이 내리지는 않습니다. 옛 사람들은 대설부터 동지까지의 기간을 삼후(三候)로 나누어서, 초후(初候)에는 산박쥐가 울지 않고, 중후(中候)에는 범이 교미하여 새끼 치며, 말후(末候)에는 여주(박과에 속하는 식물)가 돋아난다고 하였지요. 때는 바야흐로 한겨울 동짓달이라(時維仲冬爲暢月) 대설과 동지 두 절기 함께 있네(大雪冬至是二節) 이달에는 호랑이 교미하고 사슴뿔 빠지며(六候虎交角解) 갈단새(산새의 하나) 울지 않고 지렁이는 칩거하며(不鳴蚓結) 염교(옛날 부추)는 싹이 나고 마른 샘이 움직이니(乃挺出水泉動) 몸은 비록 한가하나 입은 궁금하네(身是雖閒口是累) 위 시는 열두 에 대한 절기와 농사일 그리고 풍속을 각각 7언 고시의 형식으로 기록한 19세기 중엽 소당(嘯堂) 김형수(金逈洙)의 <농가십이월속시(農家十二月俗詩)>의 일부입니다. 여기서는 이 무렵 호랑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문화재청은 지난 11월 1일 ‘떡 만들기’를 새롭게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했습니다. 지정 대상은 떡을 만들고, 나누어 먹는 전통적 생활관습까지를 아우른 것입니다. 떡은 곡식가루를 시루에 안쳐 찌거나, 쪄서 치거나, 물에 삶거나, 혹은 기름에 지져서 굽거나, 빚어서 찌는 음식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일생의례(백일ㆍ돌ㆍ혼례ㆍ상장례ㆍ제례)를 비롯하여 주요 절기 및 명절(설날ㆍ정월대보름ㆍ단오ㆍ한가위ㆍ동지)에 다양한 떡을 만들고 나누어 먹었지요. 또한, 떡은 한 해 마을의 안녕을 비는 마을신앙 의례, 상달고사 등 가정신앙 의례, 별신굿과 진오귀굿 등 각종 굿 의례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제물(祭物)입니다. 그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개업떡ㆍ이사떡 등을 만들어서 이웃 간에 나누는 문화가 지속해서 전해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청동기ㆍ철기 시대 유적에서 시루가 발견된 점, 황해도 안악 3호분 벽화의 부엌에 시루가 그려진 점을 미루어 고대에도 떡을 만들어 먹었다고 추정됩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 떡을 뜻하는 글자인 ‘병(餠)’이 나오고, 《고려사(高麗史)》를 비롯하여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등 각종 문헌에서 떡을 만들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사람들이 윗사람에게 펜으로 편지를 쓰던, 누리편지(이메일)를 쓰던 글 끝에 ‘올림’이라 쓸까 ‘드림’이라 쓸까 망설이게 됩니다. 여기서 ‘올림’은 ‘위로 올리다’ 하는 뜻이고, ‘드림’은 ‘주다’의 높임말인 ‘드리다’로 보이지만 본디 ‘안으로 들이다’ 하는 뜻입니다. 받는 사람이 나보다 높은 자리에 있다는 뜻으로 ‘위로 올리다’ 하는 것이고, 내가 주는 것이 보잘것없다는 뜻으로 슬쩍 대문 ‘안으로 들이다’ 하는 것이지요. 그러니까 ‘올리다’는 받는 사람을 높이려는 뜻을 담고, ‘들이다’는 주는 스스로를 낮추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이를 보면 ‘올리다’나 ‘들이다’가 모두 물품을 두고 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물품이 아니라 말씀을 보내는 편지라면 ‘올림’이나 ‘드림’은 적절치 않을 것입니다. 이보다는 또 다른 우리말에 ‘사뢰다’와 ‘아뢰다’가 있는데 이것이 더 맞는 말입니다. 사뢰는 것은 속살과 속내를 풀어서 말씀을 드리는 것이고, 아뢰는 것은 모르고 있는 일을 알려 드리려고 말씀을 드리는 것이지요. 특히 예전처럼 붓이나 펜으로 글씨를 써서 봉투에 넣어서 보낸다면 봉투가 물품이니 봉투 겉에는 ‘올림’과 ‘드림’ 가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지난 9월 말부터 종편 텔레비전 JTBC에서는 국악과 대중음악의 넘나들기(크로스오버)를 통해 시청자들에게 국악이 가진 멋과 매력을 선사하는 우리나라 첫 국악 경연 프로그램 <풍류대장>이 방영되고 있습니다. 저는 이즈음 병마와 싸우느라 이 프로그램을 보지 못하다가 최근 다시보기를 통해 접할 수 있었는데 국악을 사랑하는 젊은이들의 혼이 담긴 무대 몸짓과 소리를 통해 감동을 받았고, 눈물이 날 뻔했다고 고백하게 됩니다. 이 무대는 민요, 판소리 등의 소리꾼들이 새롭게 편곡한 국악과 대중가요를 가야금ㆍ대금ㆍ해금 등 국악기는 물론 기타, 신시사이저, 마린바 등 서양악기에 맞추어 멋진 노래를 불렀음은 물론 흔히 만날 수 없는 남성 가야금병창까지 들을 수 있어 정말 국악에 대해 일반인들이 새롭게 눈 뜰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 주었습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국악을 좀 안다는 사람도 잘 모른다는 ‘정가’ 소리꾼들이 등장하여 ‘정가’의 매력을 한껏 뽐내줬음은 정말 압권이었습니다. 심지어 어려운 음악이라는 ‘정가’에 대해 성시경 심사위원은 “정갈하고 고급스러운 것은 물론, 대중음악과 가장 빨리 위화감 없이 화합할 수 있는
오늘부터 서서히 기지개를 키려 합니다. 아직 완쾌된 것은 아니지만 재활훈련을 하지 않는 일요일 하루만 우리문화편지를 써서 매주 월요일 독자 여러분께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직 모자란 것이어도 여러분께 다가서려는 제 마음이니 너그럽게 받아주시기 바랍니다. 고맙습니다. ==================================================================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큰 것은 지름이 1자(30.3cm)쯤 된다. 타원형이며, 머리는 작고 둥글다. (가운데 줄임) 주머니가 있어 먹물을 담고 있는데 다른 동물이 습격하면 그 먹물을 뿜어내어 현혹한다. 그 먹물을 가져다 글씨를 쓰면 색이 매우 빛나고 윤기가 난다. 다만 오래 두면 벗겨지고 떨어져서 흔적이 없어지는데 바닷물에 담그면 먹물의 흔적이 다시 새롭게 나타난다고 한다.“ 이는 정약용(丁若鏞)의 형인 손암(巽庵) 정약전(丁若銓)이 흑산도 유배시절 쓴 《자산어보(玆山魚譜)》에 있는 ‘오징어’에 관한 내용입니다. 물론 여기서는 오징어가 아니라 ‘오적어(烏賊魚)’라고 써 놓았습니다. 다산의 제자 이청(李晴)이 붙인 설명에 보면 ˝날마다 물 위에 떠 있다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해마다 10월이 되면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세운 날을 기리는 <개천절>이 있고, 세종임금이 훈민정음을 창제한 날을 기리는 <한글날>이 있다. 또 그 밖의 기념일로 셋째 토요일 문화의 날, 25일 독도의 날, 5일 세계 한인의 날, 15일 체육의 날 등 문화강국답게 10월은 기림의 날이 많다. 그 가운데 더욱 의미 깊게 새겨야 할 <한글날>을 맞아 한글과 세종임금 이야기를 해 보자. 한국인치고 한글을 모른다고 하는 사람은 없다. 하지만 한글이 왜 세계 으뜸글자로 추앙받는지 아는 사람은 많지 않다. 세계 많은 언어학자, 한글을 으뜸글자로 추켜세워 세계 언어학자들은 이구동성으로 한글을 으뜸글자로 추켜세운다. 1886년 한국에 와서 외국어를 가르치고 광무황제(고종)의 외교 자문을 맡으면서 ‘한국인보다 한국을 더 사랑한 외국인’ 독립운동가 헐버트(Homer Bezaleel Hulbert) 박사는 131년 전 미국 언론에 올린 기고문에서 “알파벳과 비슷한 훈민정음은 완벽한 글자다. 조선어(훈민정음) 철자는 철저히 발음 중심이다. 영국이나 미국에서 오랫동안 갈망하고 학자들이 심혈을 기울였으나 성공을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 중 추분으로 낮과 밤의 길이가 같은 날입니다. 이날을 기준으로 밤의 길이가 점점 길어지며 가을도 그만큼 깊어가지요. 오늘날 우리가 알고 있는 추분의 의미는 이것이 다일까요? 아닙니다. 조선왕조실록 <철종 10년 (1859)> 기록에 보면 “(임금께서) ‘성문의 자물쇠를 여는 데 대해 의견을 모으라고 하시면서 종 치는 시각은 예부터 전해오는 관례에 따라 정하여 행하라는 가르침이 있었습니다. 추분 뒤에 자정(子正) 3각(三刻)에 파루(罷漏, 통행금지를 해제하기 위하여 종각의 종을 서른 세 번 치던 일)하게 되면, 이르지도 늦지도 않아서 딱 중간에 해당하여 중도(中道)에 맞게 될 것 같다.”라는 내용이 보입니다. 이 기록처럼 추분날 종 치는 일조차 중도의 균형감각을 바탕에 깔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도 덜도 치우침이 없는 날이 추분인 것으로 이는 그 어느 쪽으로도 기울지 않는 곳에 덕(德)이 있다는 뜻이며 이를 중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추분엔 향에 대한 의미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추분의 들녘에 서면 벼가 익어가는데 그 냄새를 한자말로 향(香)이라고 합니다. 벼 화(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