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평소에 하지 않던 일을 하다가 일이 터졌다. 애들 다 출가시키고 둘이서 사는 우리, 지난 주 집사람이 갑자기 김장한다고 해 어머니와 통화하면서 소식을 전했더니 “도와주어야지, 여자 혼자 하려면 너무 힘들다.”라고 하기에 큰맘 먹고 바깥 일정을 줄이면서 들어와서 배추 속을 만들기 위한 무채 썰기 시작했는데 무 두 개를 썰고 나서 그만 채칼에 오른 손 엄지 끝을 베이고 말았다. 손톱도 조금은 잘리는, 엄지손으로 보면 중상이다. 그냥 지혈로 버텨보는데 지혈이 안 된다. 결국, 집사람의 성화로 자정 무렵에 병원 응급실로 달려가니 당직 의사와 간호원이 고생고생하면서 봉합수술을 해주신다. 집에 오니 새벽 1시 반. 일단은 안심하였지만, 문제는 그다음 날부터였다. 말하자면 오른손 엄지가 없어진 셈이다. 붕대로 감아놓으니 힘을 쓸 수가 없다. 물이 들어가면 안 된다고 물에 손을 담글 수가 없으니 면도를 하려고 해도 오른손으로 하던 면도기를 제대로 잡을 수가 없어 면도가 안 되고, 머리를 감을 수 없고, 옷을 입으려니 단추를 꿸 수가 없어 못 입겠다. 나는 골프를 안 치니 그립 잡는 것으로 고민할 이유는 없지만, 오른손으로 하는 작업 중에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바람은 마지막 잎새마저 뜯어 달아난다 그러나 세상에 남겨진 자비에 대하여 나무는 눈물 흘리며 감사한다 이 아름다운 싯귀는 시인 나희덕이 11월에 부쳐 쓴 작품이다. 겨울을 재촉하는 강한 바람에 마지막 매달려 있던 나뭇잎마저 뜯겨 날려 가는 계절을 짧은 글로 나타내고 있다. 계절은 나희덕이 그린 11월을 넘어서 12월로 접어들었다. "어허 벌써 올해도 마지막 달로 접어들었단 말인가?" 이런 탄식이 사람들의 입에서 줄을 잇는 그런 사이에 아침 기온이 영하로 내려가고 공원의 나무들은 게으른 몇몇을 제외하고는 모두 계절의 위력에 순응이라도 하려는 듯 마지막 잎까지 날려버릴 준비를 다 하고 있다. "명령만 내리세요, 겨울님!" 그들은 더는 동장군의 위력에 저항할 의지도 버린 모양이다. 그 마지막 잎새를 바라보며 나는 미국작가 오 헨리의 단편소설보다는 더 마음이 댕기는 것이 있다. 바로 우리나라 가수 배호가 부른 같은 이름의 노래다. 그 시절 푸르던 잎 어느덧 낙엽 지고 달빛만 싸늘히 허전한 가지 바람도 살며시 비켜가건만 그 얼마나 참았던 사무친 상처길래 흐느끼며 떨어지는 마지막 잎새 그런데 이 멋진 노래의 노랫말은 포항출신의 정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늦은 가을에서 겨울로 치닫는 요즈음 나를 사로잡은 음악이 하나 있다. 프랑스 작곡가 가브리엘 포레(1845~1924)의 ‘무언가 3번’이란 피아노곡이다. 3분 안쪽의 짧은 곡인데 한 번 듣는 것으로 성이 차지 않을 때에는 다른 사람들의 연주를 포함해서 몇 번이고 듣지만 주로 이 한국인의 연주를 우선 듣는다. 무언가라면 무언(無言). 곧 가사가 없는 노래라는 뜻이겠지. 피아노곡은 원래 노래 없이 연주만 하는 경우가 많으니 특별할 것도 없지만 그래도 무언가라고 하면 무언가 정말 드러내지 않은 메시지가 담겨있는 듯한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이름이다. 프랑스 사람인 작곡자 포레가 붙였을 원제목은 불어로 ‘Trois romance sans paroles’라고 해서 ‘무언의 3개 로망스’라고 뜻인데 그냥 무언가라고 부른단다. 포레의 작품번호 17번인 이 곡은 3곡인데 그중에 3번째 곡이 글자 그대로 로망스의 분위기가 나는 곡이다. ‘로망스’라고 하면 우리는 베토벤의 로망스 2번 F장조를 처음 듣고 그 두근거림과 달콤함에 곧 빠진 기억이 새로운데 이 곡을 들으면서도 나는 그런 달콤하면서도 아련한 느낌과 함께 이 곡과 관련된 어느 한 분을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계절이 빨리 가는 것 같지만 올해처럼 가는 것 같지도 않으면서 가는 해는 처음이렸다. 연초 겨울에 별 것 아닌 것처럼 시작된 질병이 봄을 망치고 여름을 부질없게 하고 가을까지도 꼼짝을 못 하게 하니 올 한해는 정말 우리가 계절에 따라 자연을 즐기지 못하고 ‘한 번도 일찌기 경험하지 못한’ 한 해를 산 것이 아니냐는 억울함이 이제 가을을 보내면서 진하게 솟아오른다. 우리는 가을이 되면, 낙엽이 지면, 털털 털고 길을 나서곤 했다. 시골길이든 산길이든 호젓한 길을 걷다가 밤이 되면 자연으로부터 많은 이야기를 들었다. 나 홀로 길을 나섰네 안개 속을 지나 자갈길을 걸어가네 밤은 고요하고 황야는 신에게 귀 기울이고 별들은 서로 이야기를 나누네 러시아 출신의 프랑스 여성 스베틀라나가 20여 년 전에 불러 우리의 애청곡이 된 ‘나 홀로 길을 나섰네’의 노랫말에서처럼 가을은 밖으로 나가서 시간을 만나고 자연과 대화하는 계절이었다. 그런데 그것조차도 제대로 할 수 없는 가을이다. 감염을 막기 위해서라며 밖으로 나가지 말라는 호소 겸 명령을 거역하기 어려웠기에 어디든 가서 마음 놓고 차 한 잔 음악 한 곡 마음대로 듣기 어려웠고 친구들과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아버지는 나를 낳으시고, 어머니는 나를 기르셨다. 나를 다독이시고 나를 기르시며, 나를 자라게 하고 나를 키우시며, 나를 돌아보시고 나를 다시 살피시며, 출입할 땐 나를 배에 안으셨다. 이 은혜를 갚으려면 하늘처럼 망극해 한량이 없구나. 父兮生我 母兮鞠我 拊我畜我 長我育我 顧我復我 出入腹我 欲報之德 昊天罔極” ...《시경》 〈육아(蓼莪)〉 나를 낳아주고 길러주신 부모님이 올해로 혼인 70주년을 맞았다. 거꾸로 세어보면 625동란이 나던 1950년 초겨울에 혼례를 올리고 부부가 되신 것이다. 두 분이 혼인하실 당시 아버지는 집의 나이로 18세, 어머니는 한 살 위인 19세셨다. 문경 주흘산 동쪽 계곡의 너른 분지의 윗동네에 사는 할아버지와 아랫동네에 사는 외할아버지가 서로 친구분이신데 두 분이 둘째 아들과 둘째 딸을 맺어 주셔서 부부가 되고 두 분이 자녀를 3남 2녀를 낳아 그 밑에서 이제 손자 손녀 10명에 우선 증손주 8명이 태어나 자라고 있다. 마침 아버지 생신이 늦가을 초겨울이라서 올해 혼인 70주년을 맞아 생신축하 겸 성대한 기념 축하연을 열어드리는 것이 자식된 도리로서 마땅하나 식구들이 모두 한데 모이다가 혹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그것도 벌써 근 30년 전의 일이구나. 언젠가 점심을 마치고 영등포역 앞 지하상가를 지나다가 레코드를 파는 집이 보여 잠깐 들렸다가 우연히 발견한 한 장의 CD. ‘줄리에트 그레코’였다. 그날 오후 만나는 사람들이 누구인지 기억도 안 될 정도로 서둘러 일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와 얼른 CD를 걸었지. 옛 축음기가 돌아가는 듯한, 가을비가 내리는 듯한 분위기의 전주 부분에 이어 촉촉한, 비음의 목소리가 거실을 감싸고 돌아온다. 오, 네가 기억해 주었으면 우리 사랑하며 행복했던 시절을 그 무렵 인생은 더없이 아름다웠고 태양은 지금보다 더 뜨거웠지 죽은 낙엽들은 삽 속에 모여 담기는데 추억도 회한도 고엽처럼 모여 담기는데 북풍은 싸늘한 망각의 어둠 속으로 그걸 싣고 사라져버린다. 이런 내용의 이 노랫말이 줄리에트 그레코의 물 흐르는 듯한 목소리에 담겨 흐르는 동안 나의 머리도 근 50년 전 옛날로 되돌아가고 있었다. 70년대 초 대학생 때 클래식 기타동호회 회원들을 중심으로 기분을 내어 자주 들리던 곳이 있었다. 지금 한국일보 남쪽 이마빌딩 앞 삼거리에 있던 '해심(海心)'이라는 조그만 술집... 의자라야 무척 좁고 낡고 것들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목마른 계절” 이 가을에 적합한 표현인 것 같다. “아 목이 마르구나!” 이렇게 이야기하면 술 생각이 나느냐고 하겠지만 그것만이 아니라 모든 게 목이 마르다. 어디든 가고 싶은 것도 그렇고 누구든 만나고 싶은 것도 그렇고 무슨 이야기이든 밤새워 하고 싶은 것도 그렇고 ... 그렇다. 나는 목이 마른 계절을 살고 있다. 술이 넘치지만, 술을 같이할 사람도 없고. 술 많이 마시자고 하면 이 사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비난을 받을 것이고, 술 대신에 맑은 음료를 놓고 이야기의 강물을 마시고 싶어도 같이 이야기할 사람을 찾기가 어렵고, 지금 내가 사는 것이 제대로 사는 것인지를 알고 싶은데 어디다 누구에게 물어보아야 할지도 모르겠고 .... 《목마른 계절》 사실은 책 이름이다. 우리의 전설이 된 수필가 전혜린의 수필집이다. 전에 본 수필 ‘먼 곳에의 그리움’에서 이미 알아버린 그녀의 마음, 어딘가 가고 싶어 하는 그 마음이 내 마음에도 방랑의 바이러스를 뿌린 게 아닌가 헷갈리는 때에 나는 인터넷으로 옛 책 검색을 하다가 이 《목마른 계절》이란 이름의 책을 발견했다. 1976년에 초판이 나온 이 책이 2018년에 5판 4쇄까지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가을 수채화 ... 윤갑수 따스하던 한낮의 날씨는 금세 지는 해처럼 갈바람은 차갑게 옷깃을 파고든다. 자람이 멈춘 나뭇잎마다 푸른빛을 내려놓고 탈색 중이다. 밤낮 기온 차가 화가로 변신 연일 멋진 수채화를 그린다. 이제 가을이네. 사람이 다니는 길옆에는 수천, 수만 장의 수채화가 그려지고 있구나. 차가운 공기에 나뭇잎들이 어이쿠 안 되겠구나 하면서 몸의 물기를 거두면 싱그럽던 녹색의 이파리들도 노랗게 누렇게 빨갛게 색을 바꾼다. 그리고 먼 길을 떠날 준비를 한다. 이런 가을엔 모두가 시인이다. 모두가 시를 쓰고 싶고 그 시로 이 가을의 무드를 잡고 그 속에 빠져들고 싶다. 그러나 그것은 시집이라는 책 속에 들어가거나 어디 창이 있는 방안에서 뭔가를 찾을 때 가능한 마음의 소풍이다. 길거리에서는 빠르게 지나가는 차량 사이에서 그런 호사를 누리기가 어렵다. 가을의 길거리는 자칫 마음만 바쁘고 쓸쓸하다. 그런데 아니었다. 길 가다가 전봇대에서 멋진 시를 마주친다. 그 시는 이렇게 속삭인다. 이제는 누구를 사랑하더라도 낙엽이 떨어질 때를 아는 사람을 사랑하라 이제는 누구를 사랑하더라도 낙엽이 왜 낮은 데로 떨어지는지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방랑시인 '김삿갓'이 어느 집 앞을 지나는데, 그 집 아낙이 설거지물을 밖으로 휙~ 뿌린다는 것이 그만 '김삿갓'에게 쏟아졌다. 구정물을 지나가던 객(客)이 뒤집어썼으니 당연히 사과를 해야 마땅하지만, '삿갓'의 행색이 워낙 초라해 보이는지라 이 아낙은 미안하다는 말 한마디 없이 그냥 돌아선다. 그래서 '삿갓'이 등 뒤에 대고 한마디 욕을 했다. 하지만 암만 그래도 상스러운 욕을 할 수는 없어서 단 두 마디를 했다. "해. 해." 이게 무슨 욕인가? 그러나 잘 풀어보면 해=年이니까 "해. 해." 그러면 '년(年)'자(字)가 2개니까 2年(=이년)이든지 아니면 두 번 연속이니까 쌍(雙), 곧 '雙年(쌍년)'이 될 것이다. 김삿갓에 관해 일화나 유머와 재치, 해학에 가득 찬 멋진 시가 어디 한두 개인가? 한 농부의 처가 죽어 그에게 부고를 써달라고 하자 '유유화화(柳柳花花)'라고 써주었다는 얘기는 국민이 외울 정도이다. '버들버들하다가 꼿꼿해졌다'는 뜻이 아닌가? 이처럼 한자를 빌어 우리말을 표현하기도 하며 한시를 한글의 음을 빌어 멋지게 풍자하고 조롱하는 그의 솜씨는 우리나라 고대문학사에서 따라올 사람이 없다. 그 대표적인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양력 10월만 되면 두려운 날이 하루 있다. 결혼기념일이다. 결혼기념일을 부부가 같이 기념하고 즐기는 날이라는 사회 통념에 따르면 나는 지금까지 이날을 제대로 같이 기념한 적이 없다. 우선 결혼기념일이 정확히 언제인지가 기억되지 않은 해가 많았다. 8월에 있는 부인 생일은 챙겼지만, 그 두 달쯤 뒤인 이 결혼기념일은 날짜가 꼭 이틀쯤 헷갈려서, 무심코 지나고 나서는 ‘아이쿠 이런’하고는 후회를 한다. 대개 그런 날은 부인에게서 좋은 대접을 받지 못했기 때문에 뒤늦게 깨달은 경우이다. 그리고 어쩌다 미리 생각이 나면 뭐라도 해주고 싶은데 그게 서로 원하고 바라는 것이 잘 맞지를 않아 삐끗거리는 경우도 더러 있었다. 물론 아주 챙기지 않았으면 70을 바라보는 내가 아직까지 다리가 성한 채로 나다닐 수 있었겠는가? 지난 일을 생각하면 그래도 결혼 15주년을 맞은 1995년 북경에 있을 때에 시간을 내어 천진을 하루 다녀온 일이 있었고, 10년이 더 지난 2005년에는 결혼 25주년을 기념해 일본 단풍 여행을 다녀온 적도 있다. 말하자면 25주년이니 은혼식을 일본 여행으로 치른 셈이 된다. 그렇지만 이런 큰 두 기억 말고는 대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