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꽃집의 아가씨는 예뻐요 그렇게 예쁠 수가 없어요 그녀만 만나면은 그녀만 만나면은 내 가슴 울렁울렁 거려 위 노래는 지웅 작사, 홍현걸이 작곡으로 윤형주가 부른 ‘꽃집의 아가씨’란 노래다. 예전엔 제법 알려져 많은 사람이 따라서 부르기도 했었다. 그런데 지하철 신당역 지하도를 걷다 보니 꽃집이 하나 보인다. 꽃집에 전시된 꽃들이 참 예뻐 보이고, 문득 꽃집 안을 얼핏 들여다보니 꽃집 주인으로 보이는 아가씨도 윤형주 노래처럼 참 예뻐 보인다. 그런데 아쉽게도 간판은 ‘꽃집’이 아니라 ‘Flower shop’이다. 이 가게도 오는 손님 대부분이 내국인일 텐데 꼭 저렇게 영어로 써야 했는지 묻고 싶다. 이왕이면 ♥OO꽃집♥이라고 한글로 쓰고 그 옆이나 아래에 영어로 표기했더라면 참 좋았을 텐데...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서울 중구 청구로 흥인초등학교 교문 옆 담장에 붙여놓은 팻말이다. <담배 그만>이라고 하여 우리말로만 써놓았다. 여기에 영어는 끼어들 자리가 없다. 그저 간결하고 명쾌하게 ‘그만’이란 우리말로 강조해 놓은 것이다. 보건복지부노는 ‘노담 사피엔스’란 이름으로 금연광고를 내놨다. 노담 사피엔스는 담배에 노출되지 않은 새로운 세대(종)의 출현을 의미하는 말이라고 한다. 청소년은 물론이고 20대 청년층을 대상으로 좋은 기억력, 우수한 폐활량, 민첩한 반응력 등 담배를 피우지 않아 갖게 되는 ‘노담 능력’을 드러냈다는 보건복지부 이야기다. 하지만 이 말에는 영어 ‘No’가 들어 있다. 또 ‘사피엔스’도 영어 ‘sapiens’에서 따온 것이다. 정부가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호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라는 규정을 어기면서 이렇게 광고를 내놓아야 하는지 묻고 싶다. 이 기본법의 정신은 한글로 쓰라는 얘기를 넘어서 우리말로 하라는 뜻이다. 그런데 정부가 앞장서서 우리말을 짓밟으니 한 블로거는 “나는 모태(母胎) 노담(NoDam)입니다.”라고 아예 한자와 영어 자랑을 하고 있지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한국외국외국어대학교 서울 이문동캠퍼스에 가니 학생들이 “韓國外大”라고 한자로 쓰인 점퍼를 입고 다녔다. “韓國外國語大學敎”라고 전체를 다 쓴 것도 아니고 줄여서 쓴 한자를 학교가 아닌 밖에서 보면 중국인들도 잘 이해할 수가 없을 듯싶었다. 그냥 “한국외대”라고 쓰면 될 터인데 세계 공통어라고 할 영어도 아니고 굳이 한자로 쓰는 까닭이 무엇일까? 지난 4월 17일에는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의 우리문화편지에 고등학교 야구 중계에 나온 선수들의 운동복에는 학교 이름이 한자로 쓰인 것을 꾸중하는 글을 본 적이 있다. 그 사진을 보면 ‘全州’, ‘慶北高校’라고 한자로 쓴 운동복이 아니던가? 김 소장은 이 글에서 “운동복에 학교 이름을 쓰는 것은 자기의 학교를 자랑스럽게 생각하고 알리려는 뜻일 텐데 굳이 한자로 쓰는 것은 무슨 까닭일까요? 한자를 모르는 사람은 자기 학교의 이름을 몰라도 되는지 묻고 싶습니다.”라고 개탄하고 있다. 세계 으뜸 글자라는 한글을 가진 겨레가 이렇게 스스로 얼빠진 짓을 하는 것이 참으로 안타깝다. 얼마 전 우리는 제577돌 한글날을 지났다. 이때 많은 행사를 하는데 그런 정신으로 행사만 하면 무엇할까? 제발 스스로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길가에 가다 보니까 한 커피 전문점 창구에 ‘오더 넣는 곳’이란 단말기가 있다. 나처럼 나이 든 사람에게 생소한 것이어서 무엇인가 몰라 한참 쳐다보았다. 조금 있으니 젊은이가 와서 단말기에 보이는 대로 커피 주문을 한다. ‘오더 넣는 곳’이란 말이 ‘ORDER HERE’을 곧 주문을 뜻하는 것인가 보다. 요즘은 주문도 사람이 받지 않고 기계가 받는다. 그런데 이처럼 ‘오더 넣는 곳’으로 쓰지 말고 ‘커피 주문하는 곳’이라고 쓰면 어디 덧나는가? 영어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어디 서러워서 살겠는가? ‘오더’란 외래어를 쓰는 것은 잘난 모습이 아니라 민족주체성을 버린 한심한 사람으로 비출 수 있음을 왜 모르는가?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길에 지나가다 보니 젊은이들에게 세련되었다고 느낄만한 건물이 하나 보인다. 무엇하는 곳일까? 그런데 간판은 작은 영어 글씨로 써놓았다. 잘 알 수가 없는데 마침 밖에 나오는 사람이 있어서 물어보니 카페란다. 왜 이렇게 영어로 작게 써놓았느냐고 물어보니 이렇게 해야 젊은이들이 좋아한단다. 보아하니 외국인들이 주로 찾아오기보다는 내국인 손님이 대부분인 듯한데 굳이 영어로만 가게 이름을 쓴 가게 주인이나 이를 선호한다는 젊은이들이 참 안타깝다. 특히 가게에서 취급하는 상품이 무엇인지 간판에 쓰여 있지 않아 가게에 들어가 보지 않으면 무슨 가게인지 알 수가 없도록 한 것은 광고 효율성 면에서 볼 때도 잘못된 것이 아닐까? 아니면 영어를 모르는 사람은 출입금지 한다는 팻말을 달아 놓아 놓는 것이 좋을지도 모르겠다. 장사 하나 하더라도 민족주체성을 잊지 않으려 노력하는 자세를 가졌으면 좋겠다. 세계 으뜸 글자 ‘한글’을 가진 나라에서 이렇게 한글을 홀대하고 영어에 목맨 듯한 모습을 보면서 외국인들은 무어라 할 건지 두렵기만 하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지난 5월 31일은 ‘세계 금연의 날’이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담배를 피우는 것이 충격적인 사안임을 인식시키고 담배 없는 환경을 촉진하기 위해 해마다 5월 31일을 ‘세계 금연의 날’로 지정한 것이다. 따라서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도 담배 연기 없는 건강한 초등학교를 위해 모두 노력해달라는 뜻으로 ‘블루리본 주간(Blue Ribbon Week)’를 만들고 이의 홍보를 위해 곳곳에 펼침막을 걸어 놓았다. 그런데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뜻이야 충분히 이해하고도 남음이 있지만 왜 영어로 ‘블루리본 주간’이라고 써야만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국어기본법> 제14조 제1호에는 “공공기관 등의 공문서는 어문규범에 맞추어 한글로 작성하여야 한다.”라고 되어 있다. 이는 공문서뿐만 아니라 펼침막 등 홍보물에도 그 작용이 미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럼에도 이를 어겨가면서 굳이 영어로 주간 이름을 만들고 이를 버젓이 펼침막으로 내거는 것은 공무원들이 민족주체성이 없거나 그 조금 영어를 쓰면서 잘난 체를 하는 것은 아닌지 묻고 싶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어린이날을 앞둔 장충초등학교 정문 앞에 펼침막이 걸려 있다. 우선 눈에 들어오는 것은 "제9회 꿈을 먹고 살지요."라고 하여 우리말을 한글어로 써놓아 칭찬하고 싶어졌다. 하지만 그 옆에 달린 내용은 "HPPY CHILDREN'S DAY <Let's Go, Let's Play>"라고 온통 영어로만 써 놓았다. 굳이 영어로 써놓아야만 되는지 참으로 기가 막히다. 민족주체성이 결여된 선생님들이 아이들을 가르치는듯 하여 안타깝다. 조금 있으면 세계 으뜸 글자 한글을 만드신 세종대왕 탄신일이다. 그 세종대왕 탄신일을 우리는 스승의 날로 기린다. 하지만, 이렇게 위대한 스승 세종대왕이 지하에서 슬픈 눈물을 흘릴 것 같아 마음이 내내 무겁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장충단공원에 하나뿐인 커피와 디저트 파는 가게에는 멋진 한옥에 간판이 영문으로 되어 있다. 이곳에 들르는 손님들을 보면 외국인은 별로 눈에 안 띄고 거의 한국인이다. 그런데 멋지게 한옥을 지어놓고 빵집의 이름이 꼭 영문이어야 하는지 이해가 안 된다. 그것도 ‘haus’로 사전을 찾으니 영어도 아니고 인도네시아어로 “목이 마른‘라는 뜻이라는데 별로 없을 것 같은 인도네시아 손님을 위해 그렇게 쓴 것일까? 아무리 빵집이라 해도 제발 우리말을 쓰는 곳이면 좋겠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길 가다가 문득 올려다보니 창문에 붙인 글씨가 눈에 띈다. <옷 고치미 수선실> 요즘엔 옷 수선하는 곳도 점차 사라져 가지만, 수선집의 이름도 영어를 써야만 유식하게 보이는지 패션, 수선하우스, 스타일 핏, 리폼, 빈티지리클 같은 이름이 마구 등장한다. 그래도 패션이나 하우스는 뜻이나 짐작할 수 있지만 ‘스타일 핏’이니 ‘리폼’, ‘비티지리클’은 도대체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이제 옷 수선도 영어를 모르면 하지 말라는 얘기인가? <옷 고치미 수선실>란 이름 알아듣기 쉽고 예쁘지 않나? 제발 <옷 고치미 수선실>처럼 우리말을 사랑하는 수선집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우리문화신문=허홍구 시인] 어버이날 일기 - 허 홍 구 아버지 어머니 무덤 앞에 무릎 꿇고 큰절 올렸습니다 이승과 저승이 다른데 아들을 알아보셨겠습니까 먼 산 물끄러미 바라보며 혼자 아프게 울다 왔습니다. 이 못난 불효자가 무슨 할 말이 있었겠습니까 부끄러워 고개를 숙이고 하염없이 길을 걷다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