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라 카페 갤러리에서 박노해 시인의 사진전 카슈미르의 봄이 열리고 있습니다. 카슈미르라면 요즘도 인도와 파키스탄 사이에 영토 분쟁이 있는 곳 아닙니까? 1947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분리 독립할 때, 카슈미르 지도자 하리 싱이 대부분이 이슬람교도들인 주민들의 의사를 무시하고 인도에 붙음으로써 분쟁이 시작되었지요. 그 동안 박 시인은 팔레스타인, 쿠르드, 인도네시아 아체 등 분쟁과 슬픔이 있는 땅을 찾아다니며 그곳에 평화와 나눔을 전해왔습니다. 그러면서 그들의 삶을 사진에 담아 전시회도 여러 차례 열었는데, 이번에는 카슈미르를 사진에 담아오셨군요. 박 시인은 디지털이 대세인 요즘도 아날로그 사진에 시인의 감성을 담습니다. 그것도 주로 무채색의 흑백 사진으로 담아내지요 그래서 사람들은 박 시인의 무채색 아날로그 사진에서 시인의 감성을 읽어내고, 박 시인의 사진을 빛으로 쓴 시라고 부르곤 합니다. ▲ 히말라야의 눈물, 카슈미르 (사진 박노해 시인) 시인은 무굴제국의 황제 제항기르가 지상에 낙원이 있다면 카슈미르가 바로 그곳이다.라고 할 정도로 아름다운 땅이 인간의 욕심에 의해 슬픔의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신영복 선생님께서 돌아가셨습니다. 지난 금요일(1. 15) 밤에 선생님께서 돌아가셨다는 문자를 받고 순간 멈칫하였습니다. 그 일주일 전에 선생님의 건강이 위중하셔서 예정된 동계특강이 취소되었다는 문자를 받았을 때만 하여도, 그래도 다시 자리를 털고 일어나실 줄 알았는데 끝내 머나먼 길을 가셨네요. 아직은 저희 후학들이 선생님께 배워야 할 것이 많은데... 1968년 통일혁명당 사건으로 무기수의 삶을 살다가 1988년 광복절에 다시 세상의 빛을 보신 분, 감옥에 있는 동안 엽서나 휴지에 깨알 같이 쓴 글을 모아 출간한 《감옥으로부터의 사색》으로 우리 사회에 큰 울림을 주셨던 분. - 신영복 선생님을 기억하는 사람들 중에는 이를 먼저 떠올리실 분들이 많을 것 같습니다. ▲ 신영복 선생의 붓글씨가 내걸린 선생의 분향소 저도 《감옥으로부터의 사색》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정작 제가 먼저 선생님의 세계를 접한 것은 《나의 동양고전 독법, 강의》 책부터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저는 놀라움의 연속이었습니다. 서울대 경제학과를 나와 육군사관학교에서 경제학을 가르치다가 구속되어 20년을 감옥에서 살고 나온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남대문시장에 가면 남대문로에 접하여 복잡한 시장 한쪽을 차지하고 있는 하얀색 12층 건물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4층까지는 새로나 백화점이 들어서 있고, 그 위로는 상동교회지요. 상동교회의 내력을 잘 모르는 분은 왜 이리 복잡한 시장통에 교회가 들어서 있지? 할 수도 있겠습니다. 상동교회는 1888년(고종 25) 스크랜튼 선교사가 세운 교회입니다. 스크랜튼 선교사가 의료선교를 위하여 한성부 회현방 상동(尙洞)에 터를 구입하여 약국과 병원을 차리면서 오늘의 상동교회가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벌써 교회 역사가 127년이나 되었네요. 그러니 남대문시장이 상동교회 보고 왜 남의 구역에 들어와 장사 방해하느냐?라고 할 수는 없겠지요? 상동교회는 단순히 역사 오랜 개신교 교회라는 것에만 의의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상동교회는 일제의 침략에 당당이 맞서 싸운 독립운동의 산실이기도 합니다. 당시 상동교회에서 믿음과 독립운동의 중심에 섰던 인물이 전덕기(1875~1914) 목사입니다. 전덕기는 스크랜튼 선교사에게 감화를 받아 1896년 세례를 받고 상동교회에 입교하였습니다. ▲ 190년대의 상동교회(완쪽), 상동교회를 독립운동의 산실
▲ 《그들이 사는 마을》, 스콧 새비지 엮음, 느린 걸음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어느 날 문득 내가 왜 이렇게 살지?라고 생각해보신 적 없으십니까? 기계문명의 거대한 흐름에 밀려 내가 지금 어디로 가고 있는지도 모른 채, 그저 남들이 가는 대로 자신도 따라가고 있는 모습을 보며 흠칫 놀라신 적은 없으십니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런 것을 느꼈을지라도, 이 거대한 흐름 앞에 한 개인이 뭘 어찌 하겠느냐는 체념 속에 그저 묵묵히 흐름을 따라 갈 것입니다. 아니, 그 흐름에 뒤쳐지지 않으려고 다시금 그 흐름 속에서 경쟁하며 탐욕하며 살아갈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 그런 흐름을 과감히 떨쳐버리고 나온 사람들이 있습니다. 스콧 새비지가 엮고 느린 걸음 출판사에서 낸 책 《그들이 사는 마을》이 바로 그런 사람들의 기록입니다. 《그들이 사는 마을》은 미국의 비영리단체 소박한 삶을 위한 모임에서 발행하는 잡지 《플레인(Plain)》에 실린 글을 위 잡지의 편집자 스콧 새비지(Scott Savage)가 엮은 책입니다. Plain이란 단어 자체에 소박한의 뜻이 있지 않겠습니까? 그들이 사는 마을이란 바로 이런 흐름을 떨쳐버리고 나온 사람들이 소박하게 사는 마을을 뜻하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얼마 전에 광명 케이티엑스(KTX) 역 뒷산인 서독산 기슭에 있는 이순신 장군 무덤을 찾았습니다. 제가 이 말을 하면 다들 어? 이순신 장군 무덤이 광명에 있나?라고 하실 것입니다. 충무공 이순신(李舜臣) 장군 무덤은 당연히 현충사가 있는 아산에 있겠지요. 제가 찾은 무덤은 무의공 이순신(李純信) 장군 무덤입니다. 그러면 무의공 이순신 장군은 또 누구야?라고 하실 분이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무의공은 충무공 휘하 장수로 임진왜란에 참전하여 바다에서 왜군과 싸운 장수이지요. 그러니까 한 부대에 동명이인이 있었던 겁니다. 전부터 충무공 이순신 장군 휘하에 이름이 같은 이순신 장군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는데, 얼마 전에 그 이순신 장군 무덤이 서독산에 있다는 것을 알고는 이번에 찾은 것입니다. 무의공은 양녕대군의 후손으로 1577년(선조 10)에 무과에 급제하였으며, 임진왜란이 일어났을 때에는 방답진 첨절제사로 있었습니다. 그러다가 충무공 휘하에서 중위장, 전부장 등의 직책을 맡아 한산도, 옥포, 부산포, 당포해전 등에서 활약을 하였습니다. ▲ 광명 케이티엑스(KTX) 역 뒷산인 서독산 기슭에 있는 이순신(李純信) 장군 무덤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지난 주 김남윤 클래식 투어 수업은 오케스트라 펼쳐보기로 오케스트라의 얼굴인 현악기, 그 중에서도 첼로와 더블베이스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당연히 연주자들이 나와서 첼로와 더블베이스를 연주하는 시간도 있었지요. 연주곡 중에는 카미유 생상스(Camille Saint Saens)의 동물의 사육제도 있었는데, 첼로는 사육제에 나오는 동물 중 백조를, 더블베이스는 코끼리를 연주합니다. 첼리스트 이지영씨의 연주를 들으니 첼로 연주가 백조의 우아함을 더하는 것 같고, 또한 신윤경씨가 연주하는 더블베이스는 뒤뚱뒤뚱 대는 코끼리의 모습을 잘 표현한 것 듯합니다. 더블베이스는 워낙 저음 악기라 독주 연주를 듣기가 쉽지 않은데, 오늘 더블베이스 독주 연주도 들어보았습니다. 연주곡 중에서 수강생들의 마음을 촉촉이 적신 것은 이지영 첼리스트가 연주하는 쟈클린의 눈물입니다. 원래 첼로의 음색이 처연한 맛이 있지만, 쟈클린의 눈물은 사람의 마음을 쥐어짜는 애절함이 더합니다. 이는 쟈클린의 눈물이라는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이 비운의 천재 첼리스트 쟈클린 뒤 프레(Jacqueline Du Pre, 1945~1987)에게 헌정된 음악이라 더욱
[한국문화신문 = 양승국 변호사] 묏버들 가려 꺾어 보내노라 님의 손에 자시는 창 밖에 심어 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 잎 곳 나거든 날인가도 여기소서 16세기 함경도 홍원 기생 홍랑이 사랑하는 연인 고죽 최경창을 떠나보낸 후 애절한 마음을 담아 쓴 시입니다. 고등학교 국어 시간에 처음 이 시를 배운 뒤 홍랑의 고죽에 대한 애절한 사랑에 감동을 받았었지요. 그러다가 고죽의 자손들이 홍랑의 무덤을 고죽의 옆에 같이 모셔두고, 지금까지 예를 갖춰 돌보고 있다는 얘기를 듣고 얼마 전에 두 연인의 무덤에 다녀왔습니다. ▲ 홍랑 무덤 앞에 세워진 홍랑시비 참! 무덤에 다녀온 얘기를 하기 전에 두 연인을 잘 모르는 분들을 위해 이들의 사랑 이야기부터 해야겠군요. 홍랑은 어린 나이에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홍원 기생이 됩니다. 홍랑이란 이름도 요즘처럼 말하면 미스 홍이라 할 것이니, 사실 홍랑의 이름은 모르는 것이지요. 그리고 최경창(1539~1583)은 당시풍(唐詩風)의 시를 잘 써, 백광훈, 이달과 함께 삼당시인으로 불렸으며, 정철, 송익필, 백광홍, 김득신 등과 함께 조선 8대 문장가의 한 명으로 꼽힐 만큼 문재(文才)를 날렸습니다. 그런데 최경창의 호 고죽(孤竹)
[한국문화신문 = 양승국 변호사]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세월호 참사 1주년을 맞이하여 《4.16 세월호 참사백서》를 냈습니다. 세월호 참사가 났을 때에 대한변협에서도 변협 차원으로 법률지원단을 꾸렸는데, 무려 514명의 변호사들이 지원단에 자원하여 세월호 유가족을 도왔습니다. 백서는 현장 지원 활동, 입법 지원 활동, 진상 조사 활동, 형사재판 지원 활동, 법률 상담 활동, 언론 대응 활동으로 나뉘어 세부적으로 꽤나 자세하게 기록하였습니다. 4.6 배판 크기로 무려 573쪽이나 되네요. ▲ 대한변호사협회에서 세월호 참사 1주년을 맞이하여 펴낸 《4.16 세월호 참사백서》 백서 발간을 총괄 지휘하고, 백서를 개관하는 글을 쓴 이원목 변호사는 제 고교 동기입니다. 이변호사는 바쁜 변호사 업무 중에도, 성균관대 유학대학원에서 유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까지 받은, 그래서 요즈음은 법학이 아닌 유학으로 학생들도 가르치고 있는 변호사인데, 세월호 사건에도 애정을 갖고 자기 시간과 노력을 세월호에 쏟아 부었군요. 세월호는 전 국민의 관심사였으니까, 여기서 다시 세월호 이모저모를 말씀드릴 필요는 없을 테고, 언론 대응 활동에 대해 몇 가지 눈길을 끌만한 것이 있어 이에 대
[한국문화신문 = 양승국 변호사] 지난주에 안중근 기념관의 이혜균 처장이 안중근 기념관 앞의 정원에 와룡매가 활짝 꽃을 피웠다며 홍매와 백매 사진을 찍어 보내오셨습니다. 아! 와룡매가 지기 전에 보러가야 하는데... 그런데 매화는 다른 곳도 많은데, 왜 굳이 남산의 매화를 보러 가려고 하냐고요? 사실 이 와룡매는 사연이 많은 매화입니다. 저는 이 사연을 뒤늦게 알고 난 후, 얼마 전에 동서 부부들과 남산 간 김에 잠시 와룡매를 보러 갔었습니다. 그런데 안내문이 없어 어느 나무가 사연 많은 와룡매인지 알 수 없어, 대충 짐작이 가는 나무에 눈길만 주고 왔네요. 그래서 그 이야기를 이혜균 처장에게 얘기를 했더니, 이번에 와룡매가 꽃이 피는 화려한 시간에 사진을 찍어 보내오셨네요. ▲ 안중근 기념관 앞 정원에 심어진 와룡매 후손 2 아! 참! 제가 와룡매, 와룡매 하면서, 아직도 와룡매가 무엇인지 제대로 설명을 안 드렸군요. 이거~ 성질 급하신 분들은 벌써 슬슬 눈꼬리가 올라가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하하! 말씀드리겠습니다. 와룡매는 임진왜란 때 조선을 침략한 미야기현 센다이의 맹주 다테마사무네(伊達政宗)가 매화의 자태가 너무 마음에 든다며 1593년
[한국문화신문 = 양승국 변호사] 지난주에 롯데백화점 12층에 있는 롯데갤러리에서 개막한 김두례 화가의 개인전에 다녀왔습니다. 2012년에도 같은 장소에서 개인전을 열었는데, 그 때는 화려한 색채가 단지 추상의 세계에서만 춤을 췄다면, 이번에는 그 추상의 색채 속에 인물이 걸어 들어갔네요. 추상의 세계에 인물이 들어가 있으려니, 인물들도 얼굴을 그대로 드러내지 않고 그냥 색채의 덩어리로 서 있기도 하구요. 롯데갤러리에서는 이번 전시회를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작가는 주로 한국적인 색채로 추상과 구상 색면을 활용한 빛을 표현합니다. 오방색으로 표현한 화면 자체는 단순하지만 대담하고 역동적 힘을 지니고 있습니다. 작가의 최근 작품에서는 가벼운 붓질로 표현된 인물상들이 색채의 장 위에 등장합니다. 작가는 한국의 전통 오방색을 통해 한국적 영감을 시각화하였으며, 색면의 아름다움을 공감할 수 있는 미를 완성시켰습니다. 작가의 작품이 들려주는 한국적 모성의 아름다움을 경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전시가 될 것입니다. 한국 전통의 오방색으로 색채를 눈부시게 뿜어내는 김화백의 그림을 보노라면 우선 당장 색채의 마술사 마티스가 생각나지 않을 수 없습니다. 그리고 그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