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심청이가 떠나야 하는 마지막 날의 새벽을 알리는 닭의 울음소리를 들으면서 “반야진관에 맹상군”이 아니어든, 네가 울면 날이 새고, 날이 새면 나 죽는다”라는 혼잣말의 의미를 소개하였다. 한밤중, 진나라 관문은 막혀 있고, 뒤에서는 군사들이 쫓아오고 있는 다급한 상황이다. 일행 중, 닭 울음소리를 흉내 내는 사람이 있어서 그 소리를 흉내 냈더니, 성(城)안의 모든 닭이 잠에서 깨어나며 한꺼번에 울었고, 그 바람에 성문을 지키던 병사도 날이 샌 줄 알고, 문을 열어주어 무사히 빠져나올 수 있었다는 이야기였다. 슬픔이 가득 찬 계면조의 소리 속에서도, 분위기 반전을 위한 대목은 필요한 법이다. 공양미 300석에 몸이 팔린 심청, 드디어 선인(船人)들과 약속한 날이 밝아오니, 사당에 하직 인사를 마치고, 아버지와도 이별한 다음, 선인들을 따라나서는 약속 시간이 된 것이다. 아무 물색도 모르고 있던 아버지가 어딜 가느냐? 물으며 답답하다고 말하라고 재촉한다. 더는 아버지를 속이는 것도 자식 된 도리가 아니어서 심청은 눈물로 그간의 상황을 고백한다. “아이고 아버지, 공양미 300석을 누가 저를 주오리까? 남경 장사 선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오늘은 24절기의 스물두째이며 명절로 지내기도 했던 ‘동지(冬至)’입니다. 민간에서는 동지를 흔히 ‘아세(亞歲)’ 곧 ‘작은설’이라 하였는데 ‘해’의 부활이라는 큰 뜻을 지니고 있어서 설 다음가는 작은설로 대접하는 것이지요. 이런 생각은 오늘날에도 여전해서 ‘동지첨치(冬至添齒)’ 곧 “동지를 지나야 한 살 더 먹는다.” 또는 “동지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한 살 더 먹는다.”라고 생각했습니다. 또 동지는 날씨가 춥고 밤이 길어 호랑이가 교미한다고 하여 ‘호랑이 장가가는 날’이라고도 부릅니다. 동지의 특별한 풍속을 보면 다가오는 새해를 잘 계획하라는 뜻으로 달력을 선물하는데 더위를 잘 견디라는 뜻으로 부채를 선물하는 단오 풍속과 함께 “하선동력(夏扇冬曆)”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동지의 또 다른 풍속에는 며느리들이 시어머니나 시할머니에게 버선을 지어 선물하는 “동지헌말(冬至獻襪)”이란 아름다운 풍속도 있었습니다. 이날 새 버선을 신고 길어지는 해그림자를 밟으면 수명이 길어진다고도 믿었지요. 그런데 이날 가장 보편적으로 지내는 풍속은 팥죽을 쑤어 먹는 일일 것입니다. 특히 지방에 따라서는 동지에 팥죽을 쑤어 솔가지에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마나즈루에 도대체 뭐가 있니?' 엄마는 애절한 얼굴로 물었다. '아무것도 없지만 가' 내가 아닌 다른 사람 같은 목소리로 대답했다. 하지만 그건 역시 내 목소리였고 그대로 현관을 나왔다. 도쿄역까지 가는 전철은 굉장히 붐볐다.” 이는 소설 《마나즈루》의 주인공 케이의 말이다. 케이는 ‘아무것도 없는 곳’인 마나즈루를 향해 오늘도 발걸음을 옮긴다. 그녀가 마나즈루로 발걸음을 옮기는 날은 대체로 정해져 있다. 마음이 심란한 때다. 비가 오거나 안개가 끼거나 일이 잘 안 풀리거나 외로울 때, 그리고 12년 전 실종된 남편의 흔적이 몹시도 그리울 때 그녀는 마나즈루행 열차에 몸을 싣는다. 얼마 전, 아끼는 후배로부터 소설책 한 권을 선물 받았다. 후배는 가와카미 히로미 작품인 소설 《마나즈루》를 번역했다고 하면서 사인까지 곱게 해서 책을 보내왔다. 책 표지에 두른 띠지(출판사에서 홍보하기 위한 책 광고 문구 등이 기재됨)에는 “추리소설과 여행기, 우아한 에로티시즘을 결합한 꿈 같은 작품”이란 광고 문구가 쓰여있다. 아담한 크기의 소설책을 받아 든 나는 책장을 대충 넘겨본 뒤 책상 위 한쪽에 한동안 방치(?)했다. 사실 나는 요즘 소설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말 못 하는 까마귀도, 반포지은(反哺之恩)을 한다는 이야기, 심청이가 장 승상 댁에 가 있는 동안, 심봉사는 오지 않는 딸을 찾아 나섰다가 개천에 빠져 죽을 지경이 되었는데, 다행히 몽은사 화주승이 목숨을 구해 주었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심청가 이야기는 바로 이 대목, 곧 심봉사가 화주승에 의해 목숨을 구한 뒤, 스님이 제시하는 ‘공양미 삼백석만 불전에 시주하고, 진심으로 불공을 드리면 눈을 떠서 대명천지를 보게 된다는 정보’를 듣게 되면서 크게 변화한다. 누구나 자기의 목숨을 구해 주고, 좋은 조건을 제시해 주는 구원자가 나타나면 그의 말만 반겨 듣고, 앞뒤 사정을 고려하지 않는 것이 문제가 될 때가 많은 법이다. 처음에는 심봉사도 눈을 뜨게 된다는 제안에 호기 있게 응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후회하기 시작하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결과였다. 앞뒤 사정이 이런데도 어린 심청은 어떻게든 공양미 300석을 마련해서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려는 효심을 포기하지 않는다. 심청이가 ‘어떻게 하면 공양미 300석을 불전에 시주하고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도달해 있을 때, 때마침, 남경장사 선
[우리문화신문=이윤옥 기자] 한적한 시골 마을에 왁자지껄 잔치가 벌어졌다. 이름하여 꼬치감(串枾, 쿠시가키)축제다. 꼬치감은 말 그대로 가느다란 대나무 꼬챙이에 깎은 단감을 끼워 말리는 것으로 이것은 곶감으로 먹기 위해서가 아니라 정초에 가가미모찌(鏡甁)에 장식하려는 것이다. 가가미모찌란 정월 초하루에 찹쌀떡을 눈사람 모양으로 만들어 집안의 신성한 곳에 두는 의식으로 여기에 꼬치감을 얹어 놓는다. 이는 예전부터 내려오던 풍습으로 신사(神社) 등에서 전해오는 3종의 신기(神器) 곧 거울과 칼, 곡옥을 대신하여 떡, 꼬치감, 귤을 포개어 진설하여 나쁜 액운을 막기 위한 민간신앙에서 유래한다. 칼 대신에 뾰족한 대나무 창에 곶감을 꿰어 말린 꼬치감은 우리가 흔히 먹는 곶감이긴 하지만 특별히 제례용 감이라고 보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꼬치감으로 유명한 와카야마현 시고마을(四鄕)은 표고(標高) 400m~ 550m에 자리 잡아 겨울은 춥고 건조한 바람이 불어 꼬치감을 만들기에 적합한 조건을 가진 지역이다. 이곳 말고도 기후현, 나가노현, 히로시마 같은 곳에서도 꼬치감을 생산하지만 시고(四鄕)산을 으뜸으로 친다. 시고마을의 꼬치감은 400년의 역사를 갖고 있지만 지금처
[우리문화신문=김광옥 수원대 명예교수] ‘시인발정(施仁發政)’에서 시작하는 세종의 구체적 정치사상들을 보자. 먼저 세종의 정치에서 나타나는 민본(民本)의 모습이다. 민본 가운데는 예나 지금이나 제일 중요한 것은 ‘먹고 입는 것’이다. 먹는 것 : 백성은 나라의 근본이 되고, 먹는 것은 백성의 하늘이라, 심고 가꾸는 일은 정치의 먼저 할 바이나, 진실로 단비[甘雨(감우)]가 아니면 이를 어찌 성취하리오.(세종 7/6/25) 옷 : (수령이 재물을 사용해도 가한 조목을 나열하여 법을 제정하는 방안을 논의하다) 경내의 인민 중에 만약 환과고독(鰥寡孤獨, 외롭고 의지할 데 없는 처지인 사람)과 병든 자가 있으면 모두 장부를 만들어 두고 구호하며, 길거리에 굶주리고, 옷 없고, 늙고, 병든 자가 있으면 역시 다 구호해야 하며, 호랑이를 잡는 사람까지도 혹 쌀ㆍ무명ㆍ염장(소금과 간장) 등을 주게 됩니다. (세종 7/11/14) · 의식(衣食) : 의식이 넉넉하면 백성들이 예의를 알게 되어, 형벌에서 멀어질 것이다. 그대들은 나의 지극한 마음을 본받아 백성들을 편안하게 기르는 일에 힘쓰라. (세종 7/12/10) 생활 풍족 : 교서에 이르기를, 임금은 이르노라. 백성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김광균 시인은 “설야(雪夜)”라는 시에서 눈이 오는 정경을 “이는 어느 잃어진 추억의 조각이기에 싸늘한 추회(追悔) 이리 가쁘게 설레이느뇨.”라고 읊조립니다. 하지만 겨울이라는 12월 그것도 대설도 지났지만, 눈이 올 기미는 없고 오히려 어제는 곳곳에 비가 추적추적 내렸습니다. 심지어 스키장에는 호우특보가 내리기도 해 편의점 앞에 비옷이 깔렸고, 스키장 운영자와 스키를 타러 갔던 사람들이 울상을 지었다고 합니다. “조강에 나아갔다. 임금이 이르기를, ‘요사이 보건대, 일기가 점점 온화해지고 또한 눈이 내리지 않는다. 기도하는 것을 꼭 숭상하여 믿을 수는 없지만, 기설제(祈雪祭)를 또한 지내야 하겠다. 겨울철에 비와 눈이 많이 와야 땅이 흠뻑 젖어, 내년 봄농사가 가망이 있는 법이다.’ 하였다.” 중종실록 26권, 중종 11년(1516) 10월 17일 기록으로 중종 임금이 눈이 내리지 않으니, 기설제를 지내야겠다고 합니다. 그런가 하면 헌종 2년(1836) 12월 12일에는 기설제를 지냈다는 기록도 있습니다. 《조선왕조실록》에는 제설제란 말이 모두 41번이나 나오는데 눈이 와야 할 시기에 눈이 오지 않는 것도 천재라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계면조의 느낌은 어두운 단조(短調) 음계에 비교된다는 이야기와 함께 원래 계면(界面)이란 말은 눈물을 흘려 얼굴에 금이 그어지기에 붙여진 명칭이라고 했다. 특히 슬픈 대목이 많은 <심청가>는 사설의 전개 과정이나 가락의 진행 속에서 계면 소리임이 확인된다. 6~7살 된 심청이가 “내일부터 자신이 밥을 빌어 아버지를 공양하겠다”라는 대목이나 ”고맙기는 하나 그런 말은 당초에 말라.”라고 제지하는 부녀 사이 대화가 우리의 가슴을 뭉클하게 하고, 감동을 주고 있다는 내용을 소개하였다. 그 뒤로 슬픔을 느끼게 하는 계면의 소리는 지속해서 이어지고 있다. 심봉사가 “그런 말은 당초에 말라”고 해서 주저앉을 심청이는 애초에 아니었다. 아버지 앞에“말 못 하는 가마귀도 공림(空林)의 저물어진 날에 반포지은(反哺之恩)을 허옵난 듸, 하물며 사람이야 일러 무엇 허오리까?”라는 대목이 또한 감동적이다. 까마귀가 새끼를 위해 열심히 먹이를 물어다 주어 성장을 돕지만, 이제 새끼가 자라나면 먹을 것을 구하다가 늙은 어미에게 되돌려 보답한다는 말이다. 부모에게 불효하는 못된 인간들에게 회초리를 들고 가르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박유전의 강산제 <심청가>는 이날치를 통해 김채만-박동실-한애순에게 전승된 계보와 정재근을 통해 정응민이 이어받았고 정권진, 성우향, 성창순, 조상현 등에게 전승시킨 2종의 유파가 비교적 널리 확산하였다. 그 밖에 주상환, 전해종, 고종 때의 정창업, 최승학, 김창록, 황호통, 송만갑, 이동백 등도 심청가를 잘 불러 이름을 남기고 있다. 지난주에 이어 이번 주에도 판소리 <심청가> 가운데서 눈 대목을 골라 소개해 보도록 한다. 이미 말한 바와 같이 <심청가>는 심청 어머니의 유언 대목이나 심봉사의 통곡 대목, 또는 심청 어머니의 출상 대목들이 이어져 슬픈 분위기, 곧 계면조로 이어가는 가락이 많은 편이다. 계면조(界面調) 음악은 슬픔을 의미하고 있지만, 그 가락이 슬프다는 느낌만으로는 계면조를 설명하기 어렵다. 잠시, 계면조 음계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어두운 단조(短調)의 음계, 곧 마이너 스케일(minor scale)의 개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한국의 궁중음악으로 조선조 세종임금 때, 작곡된 《종묘제례악》은 황(黃, sol)-태(太, la)-중(仲, Do)-임(林, Re)-남(南,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 이야기는 성창순 명창이 숨을 거두기 전, 마지막 유언으로 “신의(信義)있게 살거라”라는 말이었다는 이야기, 2016년 말, 폐암이라는 진단을 받고 응급적인 조치로 폐에 구멍을 뚫고, 호스를 연결하는 조치를 했는데, 그 상황에서 소리를 한다는 말을 들으며 성창순 명창이야말로 진정으로 판소리를 사랑했고, 제자들 가르치는 일을 중요하게 생각한 사람이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전해준 어연경은 현재 단국대 국악과와 이화여대에서 후진들을 지도해 오고 있는 한편, 박사학위 논문을 준비 중인데, 논문의 방향은 성창순 명창의 소리세계, 다시 말해 선생의 소리에 나타나 있는 특징적인 창법이라는 점에서 기대를 모으고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 주에는 판소리 <심청가> 중에서 들을 만한 대목, 곧 눈 대목들을 소개해 보기로 한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 있거니와 현재 전해오는 소리 가운데 판소리 <심청가>는 순조 때의 김제철이나, 철종 때의 박유전이 잘 불렀다고 하는데, 그 박유전의 소리는 이날치와 정재근 등을 거쳐 오늘에 이어오고 있다. 그 한 축은 이날치를 통해 김채만-박동실-한애순에게 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