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醉客執羅衫(취객집라삼) 취하신 손님이 명주 저고리 옷자락을 잡으니 羅衫隨手裂(나삼수수열) 손길을 따라 명주 저고리 소리를 내며 찢어졌군요. 不惜一羅衫(불석일라삼) 명주 저고리 하나쯤이야 아깝지 않지만, 但恐恩情絶(단공은정절) 임이 주신 은정까지도 찢어졌을까 그게 두려워요. 이는 황진이ㆍ허난설헌과 함께 조선 3대 여류시인의 하나로 불리는 매창(李梅窓, 1573-1610)이 지은 <취하신 님께[贈醉客]>라는 제목의 한시다. 취한 손님은 매창의 비단 적삼을 잡아당기고 매창이 살짝 몸을 틀자 고운 적삼이 쭉 찢어져 버렸다. 적삼이 찢겼으니, 매창이 이만저만 속상한 게 아니었을 거다. 그러나 “비단 적삼 한 벌이야 아깝지 않으나, 은정도 따라 끊어질까 두렵다.”란 시를 읊을 뿐이다. 참으로 슬기로운 표현을 담아 자신의 속마음을 드러내고 있음이다. 매창은 전북 부안의 명기(名妓)로 한시 70여 수와 시조 1수를 남겼으며 시와 가무에도 능했을 뿐 아니라 정절의 여인으로 부안 지방에서 400여 년 동안 사랑을 받아오고 있다. 매창은 천민 출신으로 뛰어난 시인이었던 유희경과의 가슴 시린 사랑은 물론 유희경의 벗 허균과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옛 마을을 지나며 - 김남주 찬서리 나무 끝을 나는 까치를 위해 홍시 하나 남겨둘 줄 아는 조선의 마음이여 우리 겨레는 ‘더불어 살기’가 삶의 철학이었다. 아이들이 풍물을 치고 다니면 어른들이 쌀이나 보리 같은 곡식을 부대에 담아주고, 그렇게 걷은 곡식은 노인들만 있거나 환자가 있는 것은 물론 가난하여 명절이 돼도 떡을 해 먹을 수 없는 집을 골라 담 너머로 몰래 던져주었다. 이 ‘담치기’는 이웃에게 좋은 일을 많이 해야 그해 액운이 끼지 않는다고 생각했던 풍습이다. 그뿐만이 아니다. 아무도 몰래 이웃에게 좋은 일을 해야 그해 액이 끼지 않고 잘 살 수 있다고 생각한 입춘의 ‘적선공덕행’, 밭뙈기 하나도 없는 가난한 집에서 십시일반으로 곡식을 내어 마을 어른들을 위한 잔치를 했던 입동의 ‘치계미’, 겨울철 먹을 것이 없어 고생할 짐승들에게 나눠 주려고 ‘고수레’를 외치며 팥죽을 뿌렸던 것들은 함께 우리 겨레에게 이어져 오던 아름다운 풍속이었다. 그에 더하여 시골에 가면 감나무에 감을 다 따지 않고 몇 개 남겨둔다. 그것은 까치 같은 날짐승의 겨울나기를 위해 보시하는 것이다. 여기 김남주 시인은 그의 시 <옛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밥 상 - 이정하 세상은 밥심으로 사는 게 아니라 너와 함께 밥을 먹기 위해 사는 것 밥상을 마주하고 앉으면 갓 지은 밥에서 뜨거운 김 피어오르듯 마음 깊은 곳에서부터 솟구쳐 올라오는 게 그것 그래, 세상은 바로 그 힘으로 사는 거야 관가로 출장 다니던 소반이 있다. 바로 공고상(公故床)이 그것인데 옛날 높은 벼슬아치가 궁중이나 관가에서 숙직할 때 집의 노비들이 이 상에 음식을 얹어서 머리에 이고 날랐다. 지금처럼 구내식당이나 외식할 수 있는 곳이 없었기 때문이다. 기번(番) 곧 숙직이나 당직을 할 때 자기 집에서 차려 내오던 밥상이라 하여 “번상(番床)”, 바람구멍을 냈다고 하여 “풍혈상(風穴床)”이라고도 한다. 이렇게 밥상이 출장 가기도 했지만, 예전엔 온 식구가 같이 앉아 밥을 먹었다. 물론 양반들이야 내외가 안방과 사랑방에서 따로 밥을 먹었지만, 평민들은 같은 방 한 밥상에서 밥을 같이 먹는 게 예삿일이었다. 그러면서 함께 그날 있었던 일을 얘기하고 그로써 한 식구임을 확인하는 시간을 가졌다. 그러면서 서로 정을 쌓고 힘을 보태주는 밥상이 된 것이다. 여기 이정하 시인은 그의 시 <밥상>에서 “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구 름 - 홍정숙 어머니는 오늘도 하늘 가득 솜을 펴신다 고루고루 넉넉히 솜을 다지신다 딸 다섯 시집보내며 포근한 목화 솜이불 욕심껏 해주지 못해서 이 무더운 여름 한낮 어머니 사랑 한 켜 또 마음 한 켜 얹어서 색동이불 만드신다 이제 한 쪽 끝을 말아 쥐고 뒤집기 하시나보다 서쪽 하늘로 흰 속통 넘어가고 있다 여자 한복 가운데 ‘고쟁이’라는 속옷은 남자바지와 비슷하지만, 밑이 터져있고, 가랑이 통이 넓다. 이 고쟁이 종류 가운데는 ‘살창고쟁이’라는 것이 있는데 경북지역에서 많이 입던 여름용 고쟁이다. 살창고쟁이는 허리둘레를 따라 약 6㎝ 폭에 15~20㎝ 길이의 직사각형 구멍을 10개 이상 낸 다음 구멍의 테두리를 감침질로 정리하고 허리말기(치마나 바지의 허리에 둘러서 댄 부분)를 단 속바지다. 또 시집살이도 그렇게 구멍을 송송 낸 옷처럼 시원하게 살라는 바람이 있었으며, 시집가는 딸의 행복을 비는 친정어머니의 지극한 사랑이 담겨있었다. 또 살창고쟁이의 뚫린 구멍으로 신부의 흉이 새어나가 시집살이가 수월하기를 기대하는 마음도 담겨있다고 한다. 이 살창고쟁이는 1930년대까지 입다가 이후부터는 앞이 막히고 뒤만 트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암자에서 종이 운다 - 함민복 종소리가 멀리 울려 퍼지는 것은 종이 속으로 울기 때문이라네 외부의 충격에 겉으로 맞서는 소리라면 그것은 종소리가 아닌 쇳소리일 뿐 종은 문득 가슴으로 깨어나 내부로 향하는 소리로 가슴 소리를 내고 그 소리로 다시 가슴을 쳐 울음을 낸다네 그렇게 종이 울면 큰 산도 따라 울어 큰 산도 종이 되어주어 종소리는 멀리 퍼져 나간다네 오래전 ‘한국의 범종’이라는 이름의 녹음테이프 선물 받은 적이 있었는데 그 안에는 여러 종소리가 녹음돼 있었지만, 그 가운데 “성덕대왕신종”의 울림을 듣고는 다른 종소리는 들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지 않았다. 그도 그럴 것이 ‘성덕대왕신종’ 종소리는 장중하면서도 맑은소리와 유난히 길면서도 신비스러운 소리를 들려주어 듣는 사람을 꼼짝 못 하게 하는 매력이 있었다. 독일 고고학자 켄멜은 이 종을 일컬어 “한국 제일의 종이 아니라 세계 으뜸 종”이라고 평했다. 오직 우리나라 종에만 있는 독창적인 것이 바로 종 윗부분에 있는 음관(音管)과 종구(鐘口) 바로 밑에 파인 명동(鳴洞)이라고 한다. 음통(音筒) 또는 용통(甬筒)이라고도 하는 음관은 종의 음질(音質)과 음색(音色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가을날 맑아 - 나태주 잊었던 음악을 듣는다 잊었던 골목을 찾고 잊었던 구름을 찾고 잊었던 너를 찾는다 아, 너 거기 그렇게 있어 줘서 얼마나 고마운가 좋은가 나도 여기 그대로 있단다 안심해라 손을 흔든다. 지난 9월 말 우리 겨레의 가장 큰 명절 한가위를 맞았다. 그런데 온갖 펼침막이나 광고판에는 ‘한가위’보다는 ‘추석’이란 말이 많이 보였다. 심지어는 ‘秋夕’이라고 한자로 써 놓기도 했다. 그 유래가 어디서 왔건 버릇처럼 ‘추석을 되뇐다. 늘 하는 말이지만, ‘추석’이라는 말은 5세기 송나라 학자 배인의 《사기집해(史記集解)》에 나온 “추석월(秋夕月)”이란 말에서 유래한다. 여기서 “추석월”은 천자가 가을 저녁에 달에 제사를 지낸다는 뜻이었다. 그렇다면 우리 명절과 잘 맞지 않는 말이 아니던가? 그에 견주면 ‘한가위’는 ‘크다’라는 뜻의 '한'과 '가운데'라는 뜻의 '가위'라는 말이 합쳐진 것으로 8월 한가운데에 있는 큰 날이라는 뜻이다. 또 '가위'라는 말은 신라에서 유래한 것인데 《삼국사기》의 기록에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있다. “나라 안 부녀자들을 두 편으로 갈라 음력 7월 열엿새 날부터 8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실없이 가을을 - 나해철 밥집 마당까지 내려온 가을을 갑자기 맞닥뜨리고 빌딩으로 돌아와서 일하다가 먼 친구에게 큰 숨 한 번 내쉬듯 전화한다 참으로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를 나눈다 아무것도 아닌 이야기도 나눌 수 있다니 좋다고 불현듯 생각한다 가을은 아무것도 아닌 것에도 와 있어서 그를 그렇게라도 보내게 한다 갑자기 날씨가 싸늘해진 날 한 스님이 운문(雲門, 864~949) 선사에게 “나뭇잎이 시들어 바람에 떨어지면 어떻게 됩니까?”고 물었다. 그러자 운문 선사는 “체로금풍(體露金風)이니라. 나무는 있는 모습을 그대로 드러낼 것이고(體露), 천지엔 가을바람(金風)만 가득하겠지.”라고 답했다. 지난 10월 24일이 상강(霜降)이었다. 상강이 지나면 추위에 약한 푸나무(풀과 나무)들은 자람을 멈춘다. 천지는 으스스하고 쓸쓸한데 들판과 뫼(산)는 깊어진 가을을 실감케 하는 정경을 보여준다. 그러기에 운문선사는 ‘체로금풍(體露金風)’을 얘기했나 보다. 이제 상강도 지나고 바야흐로 가을이 깊었다. 엊그제 한낮의 기온이 20도를 웃돌 듯하더니 이제 겨우 10여 도를 넘길 만큼 쌀쌀해졌다. 농촌 들녘도 가을걷이가 끝나고 휑한 바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민초 꽃 - 이서정 얕보지 마라 태풍에도 살아남는 것이 풀뿌리다 하늘 무서운 줄 모르는 이들아 봄을 빼앗긴 민초는 밟으면 밟을수록 더 질기게 더 깊게 뿌리내린다는 것을 아는가 귀 막고 눈 가리고 진실을 외면해도 하늘을 가릴 수 없듯 음지에도 태양은 뜨고 꽃은 핀다 지난 5월 18일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제216차 유네스코 집행이사회는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UNESCO Memory of the World)으로 올렸다. 〈동학농민혁명기록물〉은 1894년~1895년 조선에서 일어난 동학농민혁명과 관련된 기록물로 썩은 지도층과 외세의 침략에 저항하며 평등하고 공정한 사회를 건설하기 위해 민중이 봉기한 사건이다. 한국이 번영된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발판을 놓았으며, 유사한 나라 밖의 반제국주의, 민족주의, 근대주의 운동에 영향을 주었다는 평가다. 동학농민혁명 기록물을 보면 농민지도자 20여 명이 방 가운데 백지를 펼치고 백지 가운데에 큰 사발을 엎어 놓고 사발을 중심으로 각자의 이름을 쓴 ‘사발통문’이 있는데 이는 동시에 참여자 모두가 주모자가 되어 똑같이 책임을 나누어지겠다는 뜻이 담겼다. 더 나아가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부 부 - 정낙추 온종일 별말 없이 풀 뽑는 손만 바쁘다 싸운 사람들 같아도 쉴 참엔 나란히 밭둑에 앉아 막걸릿잔을 건네는 수줍은 아내에게 남편은 멋쩍게 안주를 집어준다 평생 사랑한다는 말 하지 않고도 자식 낳고 곡식을 키웠다 사랑하지 않고 어찌 농사를 지으며 사랑받지 않고 크는 생명 어디 있으랴 한세월을 살고도 부끄러움 묻어나는 얼굴들 노을보다 붉다 우리 겨레가 아내와 남편 사이에 쓰는 부름말은 ‘임자’였다. 요즘에는 ‘주인’이라는 한자말에 밀려서 자리를 많이 빼앗겼지만 말이다. 알다시피 ‘임자’는 본디 ‘물건이나 짐승 따위를 제 것으로 차지하고 있는 사람’을 뜻하는 여느 이름씨 낱말이다. 아내는 남편을 “임자!” 이렇게 부르고, 남편도 아내를 “임자!” 이렇게 불렀다. 서로가 상대를 자기의 ‘임자’라고 부르는 것이다. 서로가 상대에게 매인 사람으로 여기고 상대를 자기의 주인이라고 불렀던 것이고, 아내와 남편 사이에 조금도 높낮이를 서로 달리하는 부름말을 쓰지는 않았다. 토박이말 연구에 평생을 바친 고 김수업 선생은 “아내와 남편 사이에 높낮이가 없다는 사실은 가리킴말(지칭어)로도 알 수 있다. 우리 겨레가 아내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기 러 기 - 김수열 아비는 저렇게 가야 하는 것이다 두 눈에 진물이 흐르고 기억 저편이 흐릿해져도 두 어깨 나란히 어린 식솔들 거느리고 앞장서서 먼길 가야 하는 것이다 힘겨워도 내색하지 않고 지나온 길 애써 지우며 차갑고 먼길 가야 하는 것이다 내일 10월 8일은 24절기 열일곱째로 찬 이슬이 내린다는 ‘한로(寒露)’다. 본격적으로 가을이 온 것이다. 《고려사(高麗史)》 권50 「지(志)」4 역(曆)을 보면 “한로는 9월의 절기이다. 초후에 기러기가 와서 머물고”라는 대목이 보인다. 이제 바야흐로 기러기가 오는 계절이다. 기러기가 습성상 짝짓기를 처음으로 한 암수는 한쪽이 죽어도 다른 기러기와 짝짓기를 하지 않는 습성이 있다고 알려졌기 때문에 사람들은 금실이 좋은 새로 생각한다. 그래서 우리나라 전통혼례에서는 목기러기가 등장한다. “가을엔 편지를 하겠어요. 누구라도 그대가 되어 받아 주세요” 가수 최양숙은 1971년 김민기가 작곡한 ‘가을 편지’ 음반을 청초한 목소리로 발표한다. 그리고 작곡가인 김민기가 이를 새로 녹음하여 1993년 자신의 음반에 싣는다. 가을의 쓸쓸함과 외로움을 잘 표현한 명곡이다. 최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