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이레끝(주말) 잘 쉬셨습니까? 아침에 일터로 오면서 밝은 해를 보니 제 마음도 환해지는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햇볕이 모인 낮에는 더워질 수도 있겠지만 말이죠. 저는 쉰다고 쉬었는데 이레끝 앞에 이틀 동안 아이들을 데리고 닦음나들이(수학여행)를 다녀오느라 힘이 들었는지 입술에 물집이 잡혔네요. 이레끝이라고 그저 쉴 수만은 없습니다. 해야 할 일들이 있기 때문이죠. 해야 할 것 가운데에는 쉬는 것도 하지만 이레동안 먹을 것, 쓸 것을 사는 일을 빼 놓을 수가 없습니다. 이것저것 사서 집에 오면 또 해야 할 게 있지요. 짐을 풀어서 바로 넣을 것은 바로 넣고 또 나눠 담을 것은 나눠 담아야 합니다. 나누어 담은 것들은 풀매듭을 해서 넣어 둡니다. 그래야 다음에 꺼내 먹을 때 풀기가 쉽기 때문입니다. '풀매듭'은 '풀기 쉽게 맨 매듭'을 가리키는 토박이말입니다. 맬 줄 아는 사람들한테는 쉬운 거지만 모르는 사람한테는 어려운 것이기도 합니다. 풀매듭을 할 때는 고를 내어 매어야 하는데 고를 내지 않고 마구 옳아 맨 매듭은 '옭매듭'이라고 한답니다. 흔히 신발끈을 맬 때 풀매듭으로 묶는데 자꾸 풀리는 게 싫어서 옭매듭을 하는 사람도 있습니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풀돌다: 어떤 둘레를 돌던 쪽과 거스르는 쪽으로 빙빙 돌다 보기월) 꼬인 줄을 풀돌리면 풀린다는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날이 오늘도 흐립니다. 어제는 덥기까지 해서 찬바람틀(에어컨)을 켜기도 했는데 오늘은 좀 낫다고 합니다. 제 가까이에 여느 사람들과는 많이 다르게 사는 아이가 있습니다. 언제부터인지 무엇 때문인지 알 수 없지만 단단히 꼬인 줄처럼 꼬여 있답니다. 꼬인 줄을 풀돌리면 풀린다는 것을 잘 아실 것입니다. 그래서 풀 수만 있다면 풀어 주고 싶은데 제 마음처럼 쉽게 되지 않아 안타깝습니다. 이런 제 마음도 모르고 오늘도 아침부터 저를 어렵게 합니다. '풀돌다'라는 말을 들어보셨는지요? '풀돌다'는 '어떤 둘레를 돌던 쪽과 거스르는 쪽으로 빙빙 돌다'는 뜻입니다. 많이 쓰시는 말로 하면 '돌던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빙빙 돌다'는 뜻이지요. '풀돌다'는 말을 처음 보시는 분은 조금 낯설게 느껴지실 겁니다. 강강술래를 할 때나 여러 사람이 손을 잡고 도는 춤을 출 때 한 쪽으로 돌다 돌던 쪽과 거꾸로 도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그렇게 도는 것을 가리킬 때 '풀돌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흔히 쓰는 '역회전'을 '풀돌기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오늘은 들여름달 스무하루, 5월 21일이자 '부부의 날'입니다. 어린이날도 있고 어버이날도 있는 들여름달, 5월을 흔히 '가정의 달'이라고 합니다. '가정의 달'을 '집'이라는 토박이말을 살려 '집의 달' 또는 '집달'이라고 하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 봅니다. 이렇게 집과 아랑곳한 기림날(기념일)이 많은 달에 두 사람이 만나 하나가 된다는 뜻을 담아 '2'와 '1'이 함께 있는 스무하루 21일을 '부부의 날'로 삼았다고 하죠. '부부'를 토박이말로는 뭐라고 하는지 아시는지요? '부부'라는 말이 널리 쓰이다보니 '부부'를 가리키는 토박이말이 있는지 궁금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부부'를 토박이말로는 '가시버시'라고 하는데 쓰는 사람이 거의 없다보니, 이런 토박이말이 있는 줄도 모르고 사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말집(사전)에 '부부'를 찾으면 비슷한 말로 '가시버시'가 나오지 않습니다. 이러니 '가시버시'라는 말을 알려주지 않으면 알 길이 없기도 합니다. 하지만 '부부'도 알고 '가시버시'도 알고 있으면 때에 따라 곳에 따라 알맞게 골라 쓸 수 있어 좋을 것입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는 '가시버시'를 '부부를 낮잡아 이르는 말'이라고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풀각시: 막대기나 수수깡의 한쪽 끝에 풀로 색시 머리를 땋듯이 곱게 땋아서 만든 인형 보기월) 아이들과 밖에 가서 풀각시를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잔뜩 흐린 하늘에서 빗방울이 떨어질 것 같은 날씨입니다. 오래 가물었는데 비가 잦아서 푸나무는 좋겠다 싶은 생각도 듭니다. 아이들과 함께 지내다 보면 가끔 풀이름, 나무이름을 묻곤 합니다. 아는 것은 알려주지만 저도 알지 못할 때는 찾아보아야 할 때가 있지요. 풀 가운데 '각시풀'이라는 이름을 가진 풀이 있습니다. 마치 사람 머리카락처럼 수북하게 자라는 풀인데 그 풀을 가지고 머리를 땋듯이 땋을 수가 있지요. 그처럼 풀로 머리카락처럼 땋은 것을 막대기에 달아서 만든 인형을 '풀각시'라고 한답니다. 각시풀로 만든 풀각시라고 생각하시면 잘 잊히지 않으실 겁니다. 풀로 만든 인형을 '풀각시'라고 하면 되지 않을까요? 아이들과 밖에 가서 풀각시를 만들어 봐야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지다: 매우 많아서 넉넉하다=가득하다, 넉넉하다 보기월) 푸지게 먹고 나면 바로 몸무게가 늘곤 합니다. 이레끝(주말) 잘 쉬셨습니까? 이레끝에는 아무래도 마음을 놓고 지내게 됩니다. 잠도 좀 늦게까지 자기도 하고 맛있는 것을 찾아 가서 먹기도 하죠. 잘 차려 놓은 것들을 조금씩 먹는다고 먹어도 먹다 보면 많이 먹게 될 때가 있습니다. 그렇게 푸지게 먹고 나면 바로 몸무게가 늘곤 합니다. 오늘 아침에도 늘어난 몸무게를 보며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조금 모자라다 싶을 만큼만 먹어야 한다고 하지만 그게 말처럼 쉽지 않습니다. '푸지다'는 말을 어르신들이 많이 쓰시다 보니 '사투리'로 잘못 알고 계신 분들이 더러 있더라구요. '매우 많아서 넉넉하다'는 뜻을 가진 토박이말이니까 자주 많이 쓰면 좋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접: 남에게 너그럽고 따뜻이 대하는 됨됨(태도, 성질) 보기월) 그 아이는 푸접이 있게 굴어서 어른스러워 보였습니다. '푸접'이란 말을 들어 보셨을까요? 이 말은 처음 본 사람 가운데 "'푸대접'의 준말 아니야?"라고 되묻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오늘은 '푸접' 이야기를 해 드립니다. 아이가 아이답게 말하고 움직이는 것을 두고 뭐라고 할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그런데 아이가 아이답지 않게 다른 사람을 너그럽고 따뜻하게 마주하는 것을 보면 놀랍기도 합니다. 어제 그런 아이를 보았습니다. 할머니와 함께 어디를 가는 것 같았는데 할머니를 보는 눈빛과 하는 말이 참 따뜻하게 느껴졌답니다. 그런 아이를 보고 쓸 수 있는 말이 '푸접'입니다. "그 아이는 푸접이 있게 굴어서 어른스러워 보였습니다."와 같이 쓸 수 있습니다. 여느 할아버지, 할머니께서 손자, 손녀한테 푸접을 하고 사시고, 개나 고양이를 기르시는 분들도 개와 고양이를 푸접으로 데리고 논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푸접이 들어간 '푸접없다'는 '남을 대하는 데 붙임성이나 정이 없고 쌀쌀하다'는 뜻이랍니다. '푸접스럽다'는 말도 있는데 '보기에 붙임성이 없이 쌀쌀한 데가 있다'는 뜻이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섶길: 풀과 섶이 우거진 길 보기월) 요즘도 푸섶길을 좋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곧 빗방울이 떨어질 것 하늘을 보고 들어왔는데 밖을 보니 비가 내리는가 봅니다. 곳에 따라 많은 비가 내리는 곳도 있을 거라고 하네요. 살면서 보거나 듣지 못한 말을 만났을 때 아주 반가워하는 분을 만나곤 합니다. 앞서 알려드린 '남새'를 보시고 어렸을 때가 생각나 좋았다는 분도 계셨습니다. 오늘 알려드리는 말을 보시고 반가워하는 분도 계실지 모르겠습니다. '푸'는 '풀'이라는 것을 아실 것이고 '섶'은 '잎나무, 풋나무, 물거리 따위의 땔나무를 통틀어 이르는 말'이랍니다. "섶을 지고 불로 들어가려 한다"는 옛말에 들어 있는 말이죠. 이처럼 풀과 나무가 우거진 길을 '푸섶길'이라고 합니다. '푸섶길'이 무서워서 가고 싶지 않은 분도 계실 거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요즘도 푸섶길을 좋아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푸나무를 스치며 지나갈 때 나는 푸나무 내음이 좋다며 말이죠.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성귀: 사람이 가꾼 남새와 저절로 난 나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보기월) 몸에 좋은 푸성귀를 많이 먹어야겠습니다. 제가 토박이말을 알려드리다 보니 졸가리가 서지 않는 말을 갈무리해 주면 좋겠다고 하시더라구요. 풀과 푸새, 나물, 남새, 푸성귀를 좀 가려 달라고 말이죠. '풀'과 '푸새'는 같은 말입니다. '푸새'의 '새'는 '억새'의 '새'와 같은 걸로 보시면 됩니다. 뫼와 들에 저절로 난 것이 '풀', '푸새'라면 '풀', '푸새' 가운데 우리가 먹을 수 있는 것은 '나물'이라고 합니다. '나물'에는 뫼와 들에서 저절로 난 것도 있지만 사람이 심어 가꾼 '남새'도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남새와 나물을 싸잡아 '푸성귀'라고 한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야채'는 '나물'로 '채소'는 '남새'로 갈음해 쓰면 좋겠습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푸새: 밭에 심어 기르는 무, 배추, 오이 따위를 이르는 말 보기월) '남새'를 심은 밭은 '남새밭'이라고 합니다. 배곳 텃밭에 심은 씨앗이 제대로 싹이 트지 않아서 새로 모를 사서 심기로 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밭에 남새를 심어 가꾸는 것을 즐기곤 합니다. 밭에 심어 기르는 무, 배추, 오이 따위를 이르는 말이 '남새'입니다. 그리고 '남새'를 심은 밭은 '남새밭'이라고 합니다. 앞서 알게 된 '푸새'가 저절로 난 것이고 '남새'는 사람이 일부러 심어 기르는 것이 다름을 잘 알 수 있습니다. 남새를 가꾸는 사람들에게 푸새를 뽑는 일은 작은 일이 아니랍니다.
[우리문화신문=이창수 기자] [하루 하나 오늘 토박이말] 푸새 푸새: 뫼(산)와 들에 저절로 나서 자라는 풀을 통틀어 이르는 말 보기월) '푸새'는 '잡초'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비가 내린 뒤라 그런지 오늘 아침 하늘도 숨씨(공기)가 참 맑습니다. 깊게 숨을 들이 쉬었더니 힘이 나는 것 같았습니다. 빗물을 먹어서 그런지 뫼와 들에 난 푸새들도 훌쩍 자라 보였습니다. 우리 아이들도 그렇게 시나브로 자라고 있겠지요? '푸새'는 '잡초(雜草)'를 갈음해 쓸 수 있는 토박이말입니다. 흔히 '풀'이라고도 하지만 '푸새'라는 말도 알맞게 써 보시면 말맛과 글맛을 새롭게 하실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