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 얼레빗 = 이윤옥 기자]재호주 한국인과 중국인 그리고 현지 호주인들이 손을 잡고 아베정권을 꾸짖는 궐기대회를 열었다. 현지시각 10일(월) 저녁 시드니 한인회관에서 재호 한-중 동포연대 일본 전쟁범죄 규탄 및 신군국주의 부활 반대 총궐기대회를 연 것이다. 최근 아베정권의 신사참배 당연시와 군국주의 부활의 행동 조짐이 극으로 치닫는 가운데 해외 동포들이 이를 좌시하지 않고 궐기대회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날 궐기대회는 한인커뮤니티에서 시드니한인회, 광복회 호주지회, 재향군인회 호주지회, 자유총연맹(호주지부), 대양주한인회 총연합회, 옥상두 스트라스필드시 부시장, 양상수 오번 시의원, 조국사랑독도사랑 호주연합회, 코윈(호주지회) 등 총 16개 단체 및 개인이 공동 주최로 참여하여 행사 내내 뜨거운 열기를 보였다. 또한 중국 커뮤니티에서도 크리스티나 우 허스트빌 시의원을 비롯한 다수의 단체가 한-중 동포연대를 결성에 참여했다. 이 날 궐기대회에는 약 2백여 명의 한국과 중국 동포가 참석하여 극우화해 가는 일본의 아베정권을 꾸짖었다. 궐기대회는 한국, 호주, 중국 3개국 국기에 대한 경례와 애국가를 한국, 호주, 중국 순으로 불렀다. 이어 송석
[그린경제/얼레빗 = 윤지영 기자] 백범 김구 선생을 모르는 한국인들은 많지 않지만 백산 (白山) 안희제(安熙濟, 1885. 8. 41943. 8. 3) 선생을 모르는 사람들은 많다. 올해는 백산 선생이 부산 중구 동광동에 백산상회를 설립한지 100돌을 맞는 해다. 백산 선생은 조국독립을 위한 자금을 지원하기 위해 일제의 눈을 피해 무역회산인 백산상회를 설립하고 임시정부에 돈줄을 대준 분이다. 임시정부가 등불이라면 백산상회는 등불의 심지가 꺼지지 않도록 기름이 되어준 것으로 독립운동을 이야기 할 때 절대 잊어서는 안 되는 분이다. ▲ 백산 안희제 기념관 앞에서 종손 안경하 (부산광복회 지부장) 씨 뒤에 보이는 건물 지하에 전시관이 있고 지상 부분은 입구다. 삼각형 뒤 건물은 백산 기념관 건물이 아니다 백산 선생은 자금만 지원한 게 아니다. 선생이 중외일보를 발행할 때 백산 선생은 총독부의 눈엣가시였다. 총독부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일반적으로 백산의 논조는 총독부의 시정을 비난, 공격하고 세계 약소민족의 독립운동을 빙자하여 조선이 독립을 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을 풍자하고, 매사를 편견과 중상을 바탕으로 한 집필을 강행함으로써 멋모르는 민중으로 하여금 총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진룡, 이하 문체부)가 주최하고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최정철, 이하 진흥원)이 주관하는 2014년 첫 기획전 공예페스티벌 : 온기가 2014년 2월 11일(화)부터 3월 2일(일)까지 문화역서울284(구 서울역사)에서 개최된다.(가운데 줄임) 전시장 2층은 조각, 미술, 디자인 등 장르의 경계를 넘나들며 융․복합되어가는 동 시대 예술의 현재로서 전통-현대/공예-디자인의 협업(콜라보레이션)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구성된다. 또한 공예의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의미를 조명하면서 장르 간의 관계와 예술적 결합과 소통이 무엇인가를 살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위는 2014년 2월 11일 치 문화체육관광부의 손으로부터 만들어지는 그 모든 것 공예 페스티벌 보도의 일부다. 이오덕 선생은 《우리말 살려쓰기》에서 ~적이라는 말에 대해 단호히 나쁜 버릇임을 지적하고 있다. 무슨 ~적이라고 하는 말은 이제 입으로도 예사로 하게 되었지만 이것이 일본말이고 우리 말을 거칠게 하고 때로는 뜻을 흐리멍덩하게 할 뿐이니 쓰지 않는 것이 좋다. 고 했다. 그러고 보면 보도자료 처럼 사회적, 문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오구라다케노스케(小倉武之助, 1870-1964)가 게걸스럽게 긁어모은 한국의 값나가는 유물들은 그의 사후 <보존회>에 의해 보존되다가 1982년 동경국립박물관에 기증되었다. 유물은 일본의 중요문화재 8점, 중요미술품 31점을 포함한 1,110점이다. 세목을 살펴보면 조각 49점, 금속공예 128점, 도자기 130점, 칠공예(漆工藝) 44점, 서적 26점, 회화 69점, 염색작품 25점, 토속품 2점, 고고시대 유물 557점이다.시대별로는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부터 삼국시대를 거쳐 통일신라시대, 고려, 조선에 이르는 전 시대를 망라하고 있다. 특히 고고유물(考古遺物)은 낙랑시대와 삼국시대의 고분출토품인 기와류와 통일신라시대의 귀중한 금속공예와 토기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주목해야 하는 것은 ‘고분출토품’이라는 말인데 고분이란 주로 왕릉이나 고대 통치자의 무덤을 말한다. 국보급 문화재를 싹쓸이해간 것도 용납할 수 없거늘 신성한 왕릉을 파헤쳐서 문화재를 약탈해갔으니 그 패륜적 행위를 어찌 말로 다하랴!《잃어버린 조선문화유산, 동경 고려박물관 발행》18쪽에 보면 “오구라 콜렉션은 도굴과 무관하지 않다.”라고 써 놓았
100년 편지에 대하여..... 100년 편지는 대한민국임시정부 100년(2019년)을 맞아 쓰는 편지입니다. 내가 안중근의사에게 편지를 쓰거나 내가 김구가 되어 편지를 쓸 수 있습니다. 100년이라는 시간과 공간을 넘나드는 역사와 상상이 조우하고 회동하는 100년 편지는 편지이자 편지로 쓰는 칼럼입니다. 100년 편지는 2010년 4월 13일에 시작해서 2019년 4월 13일까지 계속됩니다. 독자 여러분도 100년 편지에 동참해보시지 않겠습니까? 앞으로 매주 화요일 100년 편지를 소개합니다. -편집자- 문의: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02-3210-0411 [그린경제/얼레빗 = 이한꽃 기자] 2년여 전 11월 초, 초겨울 찬바람이 서울 하늘에서 조금씩 느껴질 때, 친구의 제안으로 블라디보스톡을 가게됐다. 사실 그 땅, 역사적으로 간도라 불리었다는 것 외에, 소련의 극동 함대 사령부가 있었던 부동항이라는 것. 고작 그 정도 밖에는 아는게 없었다. 한국 근대화의 이정표가 말없이 서 있는 곳, 과연 이 땅은 우리에게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지도를 펴고 북서쪽으로 올라가다보면 만나는 곳이 길림, 하얼빈, 글라스키노, 자루비노, 블라디보스톡 같은 동간도 땅이 보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무슨 소리를 해보았자 그들이 지른 제암리의 불은 이제 와서 끌 수 없고 교회 안에 모였던 스물 여덟 명의 형제를 살려 낼 수 없다 왜병 중위가 이끄는 악마의 한 떼거리가 어진 백성을 교회당 안에 몰아넣고 난사했다 살해했다 -박목월 제암리 참살 가운데서- 해방 직후 친일재산을 환수했더라면 아무 문제가 없었을 것을 그냥 놔두는 바람에 친일파나 그 후손들이 백 년 동안 이미 재산을 불리고 또 불렸다. 이번 환수되는 것도 이미 그들이 팔아먹고 남은 일부일 뿐이다. 이제라도 철저한 조사를 거쳐 모든 친일재산을 환수해야만 한다. 위는 7일 친일파 이해승의 손자가 낸 재산환수 반환소송 사건의 국가 일부 승소 판결에 대한 이항증 광복회 경북지부장(대한민국임시정부 초대국무령 이상룡 선생의 후손)의 말이다. 100년간 나라 팔아먹은 돈으로 부를 누린 사람들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재산환수 를 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어찌 이항증 선생 혼자만의 외침이랴! 국난의 시기에 재산을 다 털고 목숨까지 바쳐 나라를 지켜낸 사람들이 있는 가하면 이번 재판에서처럼 조상이 나라 팔아먹은 돈으로 수백, 수천억 원을 주무르며 아무런 죄의식 없이 평생을 호화호식 한
[그린경제/얼레빗 =이한영 기자]법원이 1910년 일제로부터 '후작'의 작위를 받은 고(故) 이해승의 후손에게 친일재산을 팔아 얻은 수백억 원을 나라에 되돌려주라고 판결했다. 서울중앙지법 민사합의34부(부장판사 박대준)는 7일 나라가 이해승의 손자 이아무개(75)씨를 상대로 낸 부당이득금 반환 소송에서 이 씨는 국가에 228억2400여만 원을 반환하라.며 원고 일부승소 판결했다. 재판부는 개정 특별법에서 정한 친일반민족행위자에 해당하는 이해승이 취득한 이 사건 토지는 친일재산으로 추정돼 국가의 소유로 귀속된다. 그럼에도 이 씨는 토지를 팔아 상당한 이득을 얻었고 이로 인해 국가는 손해를 입었으므로 토지 매매대금을 국가에 반환할 의무가 있다.고 판시했다.그러면서 '친일반민족행위자 재산의 국가귀속에 관한 특별법 개정(개정 특별법) 전에 제3자에게 양도된 이 사건 토지는 개정 특별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이 씨의 주장에 대해 개정 전후의 특별법 규정에 모두 비춰볼 때 법 시행 전에 친일재산이 처분됐는지의 여부에 따라 친일재산이 정해진다고 볼 수 없다.며 받아들이지 않았다.재판부는 또 '이 사건 토지는 명의신탁 받은 것일 뿐 소유권을 모두 취득한 친일재산이 아
[그린경제/얼레빗 = 이한꽃 기자] “조선청년독립단(朝鮮靑年獨立團)은 우리 이천만 겨레를 대표하여 정의와 자유와 승리를 얻은 세계 여러 나라 앞에 우리가 독립할 것임을 선언하노라.” 오늘은 1919년 2월 8일 일본 동경에서 독립선언서를 전 세계에 당당히 알린 날이다. 그날의 함성으로부터 어느새 95주년의 세월이 흘렀다. 해마다 이곳에서는 재일본 한국YMCA와 대한민국 국가보훈처의 공동주최로 ‘2.8 독립기념식’을 열고 있는데 올해도 오전 11시 한국YMCA 지하홀(재일 한국문화관)에서 열린다. ▲ 도쿄 2.8독립선언 기념식 (재일본한국 YMCA 자료사진) 기념식이 열리는 재일본 한국YMCA 건물 입구에는 2.8 독립선언 돌 기념비가 서있다. 2·8 독립선언(二八獨立宣言) 기념비는 1919년 2월 8일 일본 도쿄 재일 유학생이 중심이 되어 적지나 다름없는 땅에서 불굴의 의지를 만천하에 선포한 장한 행동을 기리고자 1982년 세웠다. 동경 유학생들이 주축으로 일어난 2.8 독립선언 선포식은 삽시간에 절망에 빠져있는 고국에 전해졌고 급기야 3.1운동의 활화산을 뿜어내게 한 원동력이 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 2.8 독립선언서 전문 ⓒ 재일본 한
[그린경제/얼레빗 = 한성훈 기자] 문화재청 현충사관리소(소장 나명하)는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원장 이재호)의 후원을 받아 3일부터 다음달 31일까지 전 국민을 대상으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난중일기」 독후감 공모전을 연다. 올해로 두 번째인 이 공모전은 지난해 세계기록유산 등재를 통해 세계인에게 알려진 《난중일기》를 많은 국민이 읽게 하고, 충무공 이순신장군의 정신과 위업을 널리 드높이기 위하여 추진되었다. ▲ 현충사 본관 참가신청은 초등부와 중등부, 고등부, 일반부(대학생 포함)로 나누어 접수하며, 접수기간은 3일부터 3월 31일까지이다. 전문가들의 심사를 거쳐 수상자를 선정하고, 수상자는 4월 중순 현충사관리소와 문화재청 누리집,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누리집을 통해 발표될 예정이다. 부문별 최우수상(문화재청장상) 수상자에게 부상으로 일반부 100만원, 중고등부 각 50만원, 초등부 30만원 상당의 문화상품권을 지급하는 등 총 39명에게 합계 765만원의 문화상품권을 지급한다. 특히 이번 공모전에서는 최우수상 당선자들을 4월 28일 충무공이순신장군 탄신기념행사에 초청하며, 이들 중에서 다례행사의 제관을 선발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항은 현충사관리소
▲ 고구려 금동미륵반가상 국보 제 118호 (한국 호암미술관 소장) [그린경제/얼레빗 = 이윤옥 기자] 일본인 가운데 일제의 조선침략으로 큰 덕을 본 사람은 누구일까? 한마디로 잘라 말하기 어렵지만 조선문화재를 싹쓸이한 부류도 그 속에 속할 것이다. 조선땅에 일찌감치 건너와 조선인이 누려야할 온갖 이권을 손아귀에 움켜쥐고 취득한 돈으로 국보급 문화재를 싹쓸이해 가지고 간 사람들! 그 가운데 한사람이 오구라타케노스케(小倉武之助 1870-1964)다. 동경국립박물관 안에는 그의 이름을 딴 오구라콜렉션이 있을 정도다. 일본 최고, 최대의 박물관인 동경국립박물관의 오구라콜렉션에는 오구라가 조선에서 갈취한 국보급 문화재를 포함한 조선유물이 총 1,110점에 이른다. 오구라는 동경제대를 나와 1903년에 대구로 건너오게 되는데 그는 조선에서 전기사업, 금융업에 손을 대 막대한 부를 움켜쥐게 된다. 그 돈을 가지고 그는 9세기 통일신라시대의 금동비로자나불입상을 비롯한 수많은 국보급 문화재를 수집하는데 질과 양적으로 타의 추종을 불허 할 만큼의 수량이다. ▲ 9세기 통일신라시대 금동비로자나불입상 (현재 동경박물관 오구라콜렉션 소장) 처음에는 정당하게 미술상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