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군도 민란의 시대'라는 영화가 있습니다. 하정우ㆍ강동원 주연으로 양반과 탐관오리들의 착취가 극에 달했던 조선 철종 때를 배경으로 힘없는 백성의 편이 되어 세상을 바로잡고자 하는 의적 떼를 소재로 한 영화지요. 악당을 맡았던 조윤 역의 강동원은 이런 말을 남깁니다. "너희들 중 타고난 운명을 바꾸기 위해 생을 걸어본 자가 있거든 나서거라." 악역이 멋있어 보이는 경우는 드믄데…. 그 말의 울림이 오래 남습니다. 홍길동전의 저자인 허균은 호민론(豪民論)이란 글을 씁니다. 그 글의 첫 문장은 이렇게 시작하지요. “천하에 두려워할 존재는 오직 백성뿐이다." 그는 백성을 세 가지로 분류합니다. 첫째는 항민(恒民)으로 고분고분 법을 따르는 백성이고 둘째는 원민(怨民)으로 한탄하고 불평하는 백성이며 셋째가 호민(豪民)으로 자기가 받는 부당한 대우와 사회의 부조리에 도전하는 사람을 의미합니다. 선거를 통한 대표를 만들어 준 것은 백성을 잘 보필하기 위함이지 윗자리에서 방자하게 행동하며 메워지지 않을 끝없는 욕심을 채워주려 함이 아닙니다. 우리나라 역사를 되돌아보면 왕조 중심의 역사는 있었으되 서민 중심의 역사는 없었습니다. 왕조실록을 만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오늘 4월 5일이 청명이구나 사전에 보니 청명(淸明)이란 말의 뜻으로 1. 날씨(혹은 하늘)가 맑고 밝다. 2. 소리가 맑고 밝다. 3. 형상이 깨끗하고 선명하다.... 이렇게 풀이한다. 이 가운데 오늘 청명의 뜻은 1. 날씨가 맑고 밝아서 일 것이고, 그러기에 이때쯤 이런 이름의 절기가 만들어진 것으로 생각된다. 청명이 음력으로는 3월에, 양력으로는 4월 5~6일 무렵에 든다고 하고 해의 황경(黃經)이 15도에 있을 때라고 한다는 천문학상의 설명은 이제 좀 지겨울 때이다. 그저 날이 맑고 좋은 철인데 우주 공간을 망원경으로 잘라서 연구하는 천문학이 어쩌고저쩌고하면 이 청명한 날의 기분이 복잡해지고 골치가 아플 것이다. 그러니 글 쓰는 분들도 그렇게 어려운 이야기로 유식한 척하지 말자. 다들 유식한 글에 질리고 있지 않은가? 그런데 달력을 보니 오늘이 청명일 뿐 아니라 식목일이란다. 아 그렇구나. 4월 5일이 식목일이지. 아니 아직도 식목일이 의미가 있는가? 예전에 나무 한참 심자고 강조할 때 일이지, 지금은 우리 주위에 온통 나무가 우거져 있고, 산에는 나무들이 너무 빽빽하게 자라고 있어 올라가지도 못할 지경인데 아직 식목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그만한 사람은 어디에도 없소!” 내가 장애인이라 중요한 업무에서 차별을 받을 때, 누군가 이렇게 외쳐준다면 얼마나 고마울까. 장애를 가졌다 하여 무조건 업무에서 배제하지 않고, 능력을 먼저 보아주는 사람이 있다면 얼마나 든든할까. 이는 조선 건국 초기의 명재상 허조에게 일어났던 일이다. 그는 어깨와 등이 많이 굽고 키도 작아 ‘말라빠진 매’라는 뜻의 ‘수응(瘦鷹)’ 재상으로 불렸다. 하지만 그의 강직한 성품과 훌륭한 능력을 높이 산 태종은 아들 세종에게 그를 ‘주석지신(柱石之臣)’, 곧 주춧돌 같은 신하라 소개했다. 예나 지금이나, 장애를 안고 살아가는 삶은 쉽지 않다. 마음대로 따라주지 않는 몸, 예전보다는 나아졌다지만 여전히 차가운 사람들의 시선, 드러내지만 않을 뿐 언제 어디서나 느껴지는 은근한 차별 … 모두가 장애인을 차별하면 안 된다고 교육을 받는 요즘에도 상황이 그러한데, 하물며 몇백 년 전 조선시대에는 오죽했겠는가. 그러나 뜻밖에 조선은 장애인을 그다지 차별하지 않았다. 능력이 있으면 높은 관직까지 올라갈 수 있었고, 앞이 보이지 않는 사람도 궁중 악공으로 직업을 가지고 능력껏 살아갈 수 있었다. 물론 조선에서도 멸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요즘 같은 검색의 시대에 누구나 한 번쯤은 자기 이름으로 검색해본 적이 있으시겠지요? 저는 제 이름으로 검색을 하면 제일 많이 나오는 사람이 세 사람입니다. 양승국 서울대 국문과 교수, 양승국 스테파노 신부 그리고 저입니다. 아무래도 자기와 이름이 같은 사람이면 좀 더 친근감이 가겠지요? 그래서 예전에 이분들에게 연락하여 ‘식사 한번 하자고 할까?’ 하는 생각을 한 적도 있었지만, 실행에 옮기지는 않았습니다. 이분들 중에 양 신부님 글은 종종 봅니다. 독실한 가톨릭 신자인 제 이모가 양 신부님 강론하신 말씀을 카톡으로 가끔 보내주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이모님 덕분에 가끔 양 신부님 강론을 보다가, 문득 양 신부님 책을 사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구입한 책이 《축복의 달인》이라는 강론집입니다. 축복의 달인이 누군가 했더니, 바로 하느님을 말하는 것이네요. 책 머리에서 양 신부님은 이렇게 말합니다. 한 인간이 다른 한 인간에게 꿈을 주고, 희망을 주고, 어려움 한가운데서도 힘차게 살아가게 만듭니다. 따지고 보니 결핍투성이라고 여겨 왔던 이웃들의 얼굴은 또 다른 구원자 예수 그리스도의 얼굴이었습니다. 내 깊은 상처의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길 떠나기야 봄날이 좋지 세포마다 꽃눈이 피어 온몸이 근질근질할 때 경산 지나 청도 운문사쯤으로 길 떠나 보라 ... 변준석 '봄길1' 복잡한 서울을 떠날 수 있다면 운문사 가는 길이 좋겠지만 우리네 서울에 매인 사람들은 거기까지 내려가기가 쉽지 않다. 그러니 시인들이 입을 모아 말하는 이 걷기 좋은 봄날에 어디 가까운 데가 없을까? 그렇구나! 봄바람이 잘 부는 강변으로 가보자. 한강 변 꽃바람이 가장 좋은 곳이 어디랴? 약간의 산이 있어야 바람을 느끼기 쉬울 것이다. 너무 낮은 바람은 일상에 피곤한 우리를 스르르 잠재우기는 하지만, 그래도 어디 그런가? 바람은 머리를 식히고 가슴을 열어주어야 제격이지... 그런 만큼, 가슴으로 불어와야 할 것이다. 그런 생각이 내 발길을 한 강변으로 끌고 왔을 것이다. 찻길 옆이라 자동차가 달리고 매연이 안 나오는 것은 아니지만, 마음은 찻길 넘어 푸른 물에 가 있고 꽃바람을 맞으니 마침내 우리 가슴에 봄날이 왔음을 알겠다. 드디어 마음속에 잠자고 있던 목소리도 깨어난다. "야! 봄이구나." "야! 너희들 다시 왔구나!" "다들 어디 갔다 왔는가? 다들 잘 계셨는가?" 길옆에 돌
[우리문화신문=정운복 칼럼니스트] 인간이 동물과 다른 것은 말과 글을 쓴다는 것입니다. 사고(思考) 또한 말 곧 언어를 통해서 이루어집니다. 언어의 틀 안에서 생각하고 말하는 것이지요. 그래서 정확한 언어의 사용은 참으로 중요합니다. 우리는 가끔 글을 씁니다. 생각이 문장으로 정리되는 것이지요. 문장은 사회적 약속입니다. 약속이 틀어지면 뜻도 어긋나기 때문에 정확한 표현을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우린 아침에 인사할 때 "행복한 하루 되세요."라는 표현을 자주 합니다. 하루는 될 수 있는 주체가 아닙니다. 따라서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가 맞는 표현이겠지요. 사람이 세상을 떠났을 때 우린 ‘운명(運命)을 달리했다.’라는 표현을 쓰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유명(幽明)을 달리했다’라고 해야 옳습니다. '유(幽)’와 ‘명(明)’을 달리했다.”라는 말은 생(生)과 사(死)를 달리했다는 말로서 ‘幽’는 어둠ㆍ밤ㆍ죽음ㆍ저승ㆍ악ㆍ무형ㆍ어리석음 등을 의미하고 ‘明’은 밝음ㆍ낮ㆍ삶ㆍ이승ㆍ선ㆍ유형ㆍ지혜로움 등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칠전팔기(七顚八起)라는 말은 일곱 번 넘어지면 여덟 번 일어난다는 의미의 좋은 사자성어지만 물리적으로 일곱 번 넘어지면 일곱 번밖에는 일어날
[우리문화신문=양승국 변호사] 사공의 뱃노래 가물거리며 삼학도 파도 깊이 스며드는데 부두의 새악시 아롱젖은 옷자락 이별의 눈물이냐 목포의 설음 삼백 년 원한 품은 노적봉 밑에 님 자취 완연하다 애달픈 정조 유달산 바람도 영산강을 안으니 님 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노래 깊은 밤 조각달은 흘러가는데 어찌타 옛 상처가 새로워진다 못 오는 님이면 이 마음도 보낼 것을 항구에 맺은 절개 목포의 사랑 1935년에 나온 노래 ‘목포의 눈물(문일석 작사, 손목인 작곡, 이난영 노래)’입니다. 이희철 어르신의 회고록 《못다 이룬 귀향의 꿈》에 나온 노래들을 음미하다가, ‘목포의 눈물’ 노래가 생각났습니다. 제가 1999년과 2000년에 목포지원에서 근무할 때 이 노래를 많이 들었거든요. 목포를 대표하는 노래인지라, 유달산에 오르다 보면 이난영 노래비가 있고, 그 노래비에서는 ‘목포의 눈물’이 흘러나왔지요. 그 당시 저는 아침 운동으로 노적봉 앞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유달산 일등바위까지 뛰어오르곤 했습니다. 처음에는 힘이 들어 뛰다 서다 하였는데, 나중에는 한 번도 안 쉬고 일등바위까지 오를 수 있더군요. 그때마다 이난영 노래비 앞을 지나쳤고, 오래되어 기억이 확실치 않으나
[우리문화신문=이진경 문화평론가] 국가무형문화재 거문고 산조 예능 보유자 이재화 선생님을 처음 뵈러 갔던 날이 생생하다. 온화한 미소와 꿰뚫어 보시는 듯한 눈빛, 단호하나 정 있는 말씀 속에서 거문고와 그 제자들에 대한 사랑과 연민이 가득함을 느낄 수 있었다. 일찍이 여러 사정으로 거문고 실기 전공에서 이론 전공으로 노선을 바꾼 나였지만 지금까지도 나의 첫사랑, 거문고를 손에 놓고 있지 않은 까닭은 거문고가 주는 깊은 울림과 멋에 대한 끊임없는 호기심 때문이었다. 그 호기심은 석ㆍ박사 학위논문에 그대로 남아 있다. 거문고를 미취학 아동에게 가르쳐 볼 수 있지 않을까 궁금하여 어린이용 거문고를 제작하고 아동들에게 적용을 해보면서 개량 거문고에 대한 나의 호기심이 더욱 깊어져 갔었다. 그러나, 아무 지식 없이 악기의 길이만 줄여서 어린이용 거문고를 제작했기에 많은 아쉬움이 남아 있었다. 이후 이러한 아쉬움을 박사논문에서 개량 거문고 “화현금(6현 거문고에서 줄을 늘린 것)”에 대한 연구를 해보고 싶다는 의지로 현재 거문고 앙상블 더 거문고의 대표이자 국립국악원 창작악단에 계시는 이선희 선생님의 소개로 이재화 선생님을 처음 찾아뵙게 되었다. 거문고 개량에 대한 역
[우리문화신문=우지원 기자] (p.25) 수건에서 아름다운 여인의 향기가 풍기니 하늘이 나에게 정다운 사람을 짝지어 줌이라. 은근한 마음으로 사랑의 노래를 보내니 신랑 각시가 되어 신방에 들기를 바라노라. 만생 장필성 근정 (p.26) 그대에게 권하노니 선녀를 만나는 꿈은 생각지 말고 힘써 글을 읽어 과거에 급제하소서. 채봉 이런 ‘단호박 거절’을 당한 선비의 운명은? 결론을 말하자면, 잘 풀렸다. 둘은 ‘오래오래 행복하게 잘 살았다’. 단, 가문이 풍비박산 나고 채봉이 기생이 될 정도의 엄청난 시련을 극복하고 말이다. 우연한 만남, 운명 같은 사랑, 갑작스러운 시련, 재회 …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이런 사랑 이야기는 무수한 이들이 밤을 새워 읽는 마르지 않는 샘물이었다. 요즘같이 로맨스 소설이 넘치는 시대에, 그래봤자 옛날 사랑 이야기가 얼마나 재밌을까 싶지만 《채봉감별곡》은 그런 예상을 뛰어넘는다. 박진감 넘치고, 반전도 있으며, 생각보다 재밌다. 이 재미의 상당 부분은 여주인공의 당찬 성격에서 나온다. 운명에 순응하는 지고지순한 양갓집 규수가 아닌, 기생 되기를 마다하지 않으며 옛 정인을 찾는 적극적인 여성이기 때문이다. 당초 채봉은 평양성에 사는 김 진
[우리문화신문=이상훈 전 수원대 교수] 세계 제1의 갑부는 누구일까? 전기자동차 회사인 테슬라의 창업자 일론 머스크(1971년 생)는 마이크로 소프트를 창업한 빌 게이츠와 아마존을 창업한 제프 베조스를 제치고 2022년에 세계 1위의 갑부가 되었다. 2022년 8월 기준으로 그의 재산은 2,600억 달러에 달했다. 머스크는 1971년에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태어났지만, 미국에서 교육받고 성공한 기업인이다. 일론 머스크는 2016년 멕시코 국제 우주 회의에서 깜짝 놀랄만한 계획을 발표했다. 2026년까지 화성에 사람을 보내고 (이 목표는 2029년으로 연기되었다) 이어서 2050년까지 화성에 100만 명을 이주시켜 인류가 거주할 수 있는 공간을 화성에 만들겠다고 호언장담하였다. 머스크의 이러한 화성 이주 계획은 그저 무모하다고 웃어넘길 수는 없을 것 같다. 화성에 인류의 새로운 거주지를 건설하겠다는 머스크의 꿈은 오래전부터 계획된 것이다. 2002년 6월, 머스크는 민간 우주항공 기업인 스페이스X를 설립하였다. 머스크가 스페이스X를 설립하면서 세운 목표 가운데 하나는 우주선 발사 비용을 10분의 1로 줄이는 것이었다. 우주 산업 개발에는 수많은 난관이 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