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경제=김영조 문화전문기자] 잔 다르크는 15세기 전반 백년전쟁 후기에 프랑스를 위기에서 구한 영웅적인 소녀이다. 그 잔 다르크가 한국에서는 한명이 아니라 수백 명이 있었다. 바로 일제강점기 나라를 구하기 위해 온몸을 던져 독립투쟁을 한 항일여성독립운동가들이 그들이다. 그 한국의 잔 다르크들을 소개한 이윤옥 시집 ≪서간도에 들꽃 피다≫가 드디어 5월 16일 미국에서 번역 출판됐다. ▲ ≪서간도에 들꽃 피다≫ 미국판 ≪41 Heroines: Flowers of the Morning Calm≫ 책 표지 박혜성 홍보대사(미국 보스턴 지역 한국 문화 홍보 프로그램)가 주관하여 미국 교포 고등학생 16명이 지난해 여름부터 이 책의 번역작업에 참여하였는데 드디어 그 열매를 맺은 것이다. ≪41 Heroines: Flowers of the Morning Calm≫이라는 이름의 이 영문판 시집은 CreateSpace(출판사)에서 펴냈다. 이번 책에는 겨레의 큰 스승 백범의 어머니 곽낙원, 이등박문을 저격한 안중근의 어머니 조마리아, 수원의 논개 김향화, 황거를 폭격하려 했던 권기옥, 고양 동막상리 만세운동 주동자 오정화 애국지사 등 41명의 시가 수록되어 있다.
"민족사관으로 통일해야 미래 발전 가능" 잘못된 사관 기초한역사책은 '망국 지름길' 고구려는 '남'이라면서 중국 동북공정은 비난 [그린경제=심순기 기자] 역사문화산책을 떠나기 전, 글쓴이와 읽는 이들 간에 정해야 할 게 있다. 사실상 협의가 아니라 일방 통보여서 읽는 이들이 싫어할 수도 있지만 대개의 칼럼들은 모두 그렇다는 점에서 읽는 이들의 양해를 바랄뿐이다. 첫째로 우리나라 대한민국의 영토 개념이다. 대한민국 헌법 3조에는 ‘대한민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는 매우 짧은 문장으로 우리나라 영토에 대해 다루고 있다. 문제는 바로 ‘한반도’라는 표현이다. 일본은 총독부를 설치한 뒤 ‘조선반도’라는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 조선반도가 한반도가 되었다. 압록강과 두만강을 기점으로 바다로 튀어나온 부분을 ‘조선반도’ ‘한반도’라고 부르는 데에 다른 주장을 하고 싶지는 않다. 단지 우리 영토를 그렇게 비정하는 데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다. 간도는 우리 땅 주장 어려운 이유 ▲ 고구려 시절 우리 민족은 저 너른 요동땅을 누비고 다녔을 것이다. 이 영토조항으로 인해 대한민국 임시정부까지도 우리 영토로 인식하고 있던 간도는 완전하게 중국 땅으로 넘어갔다
[얼레빗=심순기 기자] 종점은 모른다. 단지 시작점만 알뿐이다. 필자의 손끝이 멈추지 않고, 독자들이 유익하다고 판단하면 글은 멈추지 않을 것이다. 시장보다 더 소란스러운 역사문화의 오솔길을 걷는 그 끝이 어디인지 모르지만 그 길 위에 첫 걸음을 뗀다. 역사문화 산책길이 꼭 오솔길이어야 할 필요가 있을까라는 질문이 있을까 봐서 미리 짚어본다. 시작은 오솔길일지 모르지만 가다보면 오솔길이 큰길이 될 수도 있다. 이 오솔길은 한국인이 우리의 역사문화를 바라보는 눈이다. 마음이다. 가짐이다. 함께 역사문화를 바라보는 눈이 커지면 길도 커질 것이다. 마지막에는 독일의 아우토반 같은 큰 길이기를 바라면서 그 광대한 역사문화 산책의 첫걸음을 뗀다. 편집자 주 ▲ 숲 속의 호젓한 오솔길, 이 오솔길은 한국인이 우리의 역사문화를 바라보는 눈이다. 마음이다. 가짐이다. 함께 역사문화를 바라보는 눈이 커지면 길도 커질 것이다. 마지막에는 독일의 아우토반 같은 큰 길이기를 바라면서 그 광대한 역사문화 산책의 첫걸음을 뗀다.(록키스펜션 제공) 대한민국은 작은 나라[小國]인가? 가끔 술잔을 기울이다 보면 논란이 되는 게 바로 이 질문이다. 한국은 작아서, 힘이 없어서, 문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