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도회지의 거리를 걷다보면 행인들의 매무새가 참으로 다양해졌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옷의 모양이나 빛깔도 그러하거니와 머리모양이나 색깔도 옷의 그것에 뒤지지 않을 만큼 각양각색이다. 다양, 다변화된 세상을 살아가는 요즘 청년들은 어떤 형의 여성을 선망하는지 잘 모르겠으나, 소위 70, 80세대들은 갸름한 얼굴에 긴 머리가 찰랑대는 여성을 선망의 대상으로 삼았다. 당시 남성들은 관능미보다 청순미를 선호했다. 일단 머리카락이 길면 겉보기에는 청순해 보인다. 사실 인류역사에서, 특히 우리 민족에 있어서 단발의 역사는 매우 일천하다. 남성의 경우에는 고종 32년인 1895년에 일제의 강압에 의한 단발령으로 그 역사가 시작되었지만, 여성들에게는 강제성이 없었기에 1922년에 가서야 모발 현대화가 이루어진다. 한남권번 기생이었던 강향란이 그 효시이다. 하지만 강향란의 단발은 굳은 의지의 표현일 뿐 미용 목적은 아니었다. 강향란의 단발에는 다음과 같은 사연이 전해져 온다. 그녀는 1900년 대구에서 강석자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열네 살에 기적에 이름을 올리고 기생수업을 하였는데 예술적 재능이 탁월하여 뭇 한량들이 군침깨나 흘렸던 모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군문을 나선지 얼마 지나지 않은 어느 가을날이었다. 그날도 나는 일자리를 찾아 헤매다 코끝이 새까매져서야 집으로 향하는 버스에 올랐다. 주위에선 군대생활 하느라 삼년동안 수고했으니 좀 쉬라고들 했지만 내 마음은 이미 음악실에 가 있었다. 그동안 얼마나 음악에 목말랐던가? 마이크가 잡고 싶어서 안달은 또 얼마나 났던가? 차창 밖을 내다보며 내일은 어느 쪽을 훑을까 생각에 잠겨있는데 갑자기 귀가 번쩍 뜨였다. 우리나라에선 한 번도 들어보지 못한 장르의 음악이 라디오에서 흘러나오는 게 아닌가? 나는 자리를 박차고 일어나 다음 정류장에서 내려 다시 시내로 향했다. 그리고 군 입대 전부터 자주 드나들던 레코드점 문을 열어젖히곤 이런 음악이 있느냐고 물었다. 주인아저씨는 마침 그 음반이 오늘 들어왔다며 미소 띤 얼굴로 나에게 건넸다. 나는 그 자리에서 한동안 뜸 했었지를 듣고 또 들으며 회상에 잠겼다. 미군 클럽을 떠돌던 시절, 소울클럽에서 근무할 때 사귀었던 흑인병사들의 얼굴이 떠올랐다. 그들은 유난히 펑키리듬을 좋아해서 음악에 맞추어 춤을 출 때면 흡사 몸과 팔다리가 따로 노는 것처럼 유연했다. 나는 그 음반을 사들고 다음날 한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요즘은 지방 소도시에서도 배낭을 둘러매고 열심히 카메라 셔터를 눌러대는 외국인을 흔히 볼 수 있다. 세계화의 물결을 타고 외국에서도 여행을 많이 오고 우리도 나라 밖으로 많이 떠난다. 이제는 촌로들도 중국이나 동남아 몇 개국 정도는 다녀오는 세상이 되었다. 해외라고는 강화도밖엔 가본 적이 없다며 농반진반으로 너스레를 떨던 필자도 단 한번 해외여행을 경험하였다. 첫 여행지 치고는 제법 먼 나라인 스페인을 다녀왔는데, 다행히 패키지관광이 아니라서 많은 사람을 만나고 뒷골목 구석구석까지 뒤질 수 있어 좋았다. 라틴문화와 아라비아문화가 혼재된 독특한 문화를 경험하는 것까지는 좋았는데 먹거리가 문제였다. 음식이 얼마나 짠지 도무지 먹을 수가 없었다. 그나마 대도시에는 한국인이 운영하는 민박집이 있어 라면이나 김치 맛을 볼 수 있지만 길을 나서면 늘 파스타로 때워야했다. 스페인 전 지역의 음식이 대부분 짜지만 안달루시아 지방이 유독 짜다. 바다를 끼고 있지만 염전이 없어 소금이 귀하기 때문에 반가운 손님에게는 소금 한 줌을 더 쳐주는 풍습이 있었다고 한다. 그 영향으로 음식이 그렇게 짜졌다는 민박집 주인의 설명을 떠올리며 외국에 나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새해 첫 날 한섬 해변에서 해맞이를 하고 돌아와 슬기전화(스마트폰)로 찍은 해돋이 장면들을 넘겨보는데 카톡하는 소리가 들린다. DJ선배가 보낸 동영상이었다. 어느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일부를 발췌하여 보낸 것인데 호수의 파문처럼 잔잔한 감동을 주는 내용이었다. 어미 판다는 먹이를 구하러 나왔을 때 눈이 내리면 나무위에 올라가 며칠이고 내려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행동을 다른 동물들은 전혀 이해하지 못 하지만 어미 판다에겐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고 한다. 눈 위에 발자국을 남기며 새끼들이 기다리는 동굴로 갔을 때 사냥꾼에게 노출될 것을 염려하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면서 그 이야기를 소개하는 출연자는 덧붙인다. 세상 모든 것을 눈으로만 바라보지 말고 마음으로 보라는 것이다. 눈으로 보았을 때 이해되지 않던 것들이 마음으로 보면 이해가 된다는 얘기다. 대인관계도 마찬가지여서 저 사람은 도저히 이해가 안 돼.하지 말고 그럴 수도 있지. 하면서 역지사지(易地思之)하라는 것이다. 그 동영상을 저장하며 교주고슬(膠柱鼓瑟)이라는 사자성어 하나를 떠올려본다. 교주고슬은 거문고줄 받침대는 이동을 해야만 다양한 음을 내는데 그걸 아교로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 현경과 영애의 참 예쁘네요 음반 간밤에 흰눈이 왔어요 가지엔 눈꽃이 폈네요 참 예쁘네요 간밤에 흰눈이 왔어요 가지엔 눈꽃이 폈네요 참 예쁘네요 다같이 노래를 불러요 힘차게 손뼉을 치면서 다같이 노래를 불러요 참 예쁘네요 다같이 노래를 불러요 힘차게 손뼉을 치면서 다같이 노래를 불러요 참 예쁘네요 다같이 노래를 불러요 모두 다 즐거운 노래를 다같이 노래를 불러요 참 예쁘네요 참 예쁘네요 가운데서 강원도 산골의 겨울은 유난히 길다. 예전에는 더욱 그랬다. 동짓달이면 벌써 외부세계와 왕래가 단절되는 마을이 수두룩했다. 강원도의 눈은 내렸다하면 한 길이 넘기가 일쑤였다. 이듬해 봄까지 꼼짝없이 마을 안에 갇혀 겨울을 나야 했다. 남정네들은 새끼를 꼬거나 돗자리 짜기, 소쿠리 만들기로 하루를 보냈다. 어쩌다 무리지어 나가는 사냥은 비길 데 없이 재미있는 놀이였다. 아낙네들은 엿을 고거나 콩나물을 기르며 명절준비를 하였다. 그렇게 단조로운 산골마을에 어쩌다 이야기꾼이라도 찾아들면 마을사람들은 반색으로 모셨다. 텔레비전이 귀하던 시절, 전깃불도 들어오지 않는 산골에서 이야기꾼의 존재는 오늘날로 치면 저널리스트요, 만능 엔터테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 하성관 노래가 들어있는 대학가요제 음반 표지 추운 줄도 잊어버리고 팽이놀이 하는 동네의 골목에서 노니는 아이들 소리 채찍 맞으며 아픔을 참으며 눈물도 흘리지 않고 그냥 빙빙 말없이 돌아가는 동그란 팽이 돌고 돌아가는 세상 우리 모두 함께 모여 팽이놀이 해 볼까 빙빙빙 돌아라 내 팽이야 빨강 노랑 파랑 줄무늬의 오색의 내 팽이야 빙빙빙 돌아라 세상이 어지럽게 빙빙빙 돌아서 네 자릴 잡아라 돌고 도는 세상처럼 팽이는 돌아간다 얘들아 쉬지 말고 그 팽이를 쳐봐라 하성관 빙 빙 빙 가운데 강에서 번개가 쳤다. 하늘을 찢듯 한 파열음이 들리고 도끼로 언 나무 찍듯 쩡쩡 울리는 소리도 들렸다. 고요할 것 같은 겨울밤은 얼음 조여지는 소리로 여름밤보다 시끄러웠다. 이렇게 바람 한 자락 불지 않으면 얼음이 아주 매끄럽다는 것쯤은 어린 나도 알고 있었다. 날이 밝아오자 내 마음은 이미 얼음판에 가있었다. 지난밤 강물은 군용 쓰리꼬다 (three-quarter, 3/4톤 화물트럭, 편집자말)가 건너갈 만큼 두껍게 얼어붙었다. 할머이는 우투케 이래 팽이를 잘 깎어? 이 핼미가 처녀 적에 팽이치기대회에 나가서 1등을 했지. 그래서 영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 아프로디테 아들(Aphrodites child) 음반 표지 봄 여름 겨울 그리고 가을은 때 맞춰 찾아와요 공처럼 끊임없이 돌지만 거꾸로 돌지는 않아요 세상 어느 것에나 봄 여름 겨울 가을이 있죠 우리의 사랑 속에도 있고요 이제 우리의 사랑이 가네요 마지막 계절 가을이 가고 있어요 사계(Spring, Summer, Winter&Fall)가운데 현재 지구상의 인구수는 약 70억 명 이라한다. 그 많은 사람들 대부분이 종교를 가지고 있으며, 그 종교의 수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 할 수 있다. 우선 기독교(구교, 신교 포함)가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넓은 분포도를 그리고 있고, 아시아인들이 주로 믿는 불교, 중근동 지역과 아프리카 쪽으로 퍼져나간 이슬람교, 인도의 힌두교 등이 현대의 대표적 종교들이다. 역사 이래 종교의 세력판도는 전쟁이나 각종 교류에 의해 재편과 변천을 거듭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오늘날에는 인류가 섬기는 신들의 숫자가 그리 많지 않지만 역사를 거슬러 올라갈수록 그 숫자는 점점 늘어난다. 고대 로마인들은 3만 명이 넘는 신들을 섬겼고, 유럽문명의 본고장인 그리스인들도 그 못지않았다. 그리스인들의 풍부한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 행크 윌리엄스 음반 표지 잘 있게 Joe 나는 가네 강어귀로 통나무배를 저어서 사랑스러운 나의 Yvonne와 강어귀에서 신나게 놀거야 티보도, 판테노에 수십 명의 친척들이 Yvonne를 보러 왁자지껄 몰려오고 그녀는 근사한 옷을 입고 우린 강어귀에서 신나게 놀거야 잠발라야와 가제파이와 감보스프 오늘밤이 새도록 나의 연인과 기타치고 과일주스 마시며 강어귀에서 신나게 놀거야 필자는 10여 년 전 서울에서 음악카페를 운영한 적이 있다. 학원들이 밀집한 곳인지라 외국인 강사들이 많았다. 처음에는 한두 명씩 눈에 띄더니 머잖아 소문을 타고 필자의 카페에 외국인들이 몰려들기 시작하였다. 금요일 밤이면 내국인보다 외국인이 더 많을 지경이었다. 벽면을 빼곡히 채운 LP음반을 보고 눈이 휘둥그레져 Amazing!을 연발하거나 Top of the world라며 엄지를 치켜세웠다. 흥이 많은 그들은 음악이 나오면 다소곳이 듣는 법이 없었다. 큰 소리로 합창하거나 엉덩이를 흔들며 남녀가 어우러져 춤을 추었다. 그들 가운데는 중년들도 간혹 섞여 있었으나 대부분이 이삼십 대 젊은이들이었다. 디지털세대인 그들이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설악산 대청봉으로부터 시작된 단풍소식이 이제는 필자가 살고 있는 동해시 인근의 두타산에서도 들려온다. 우리나라 어디를 가더라도 단풍 곱지 않은 곳이 어디 있으랴만 그 가운데서도 우리 강원도 단풍이 으뜸임에는 그 누구도 이의를 달지 못하리라. 꽃은 피는 건 힘들어도 지는 건 잠깐 이더군 이란 시구처럼 나뭇잎도 그렇게 우리들 애를 태우며 돋더니만 짧은 작별인사를 하고 떠나가 버린다. 전천강가를 거닐다 맞은 편 산을 바라보니 아직 만산홍엽(滿山紅葉)이 이른데도 성질 급한 낙엽은 벌써 소슬바람에 표표히 산책로를 나뒹군다. 갑년(甲年)이 가까우면 가을이 더 쓸쓸하게 다가서는 것인가? 저녁노을 비끼는 강물을 바라보니 마음이 바람 든 무처럼 성글어진다. 오늘은 장현이 부른 마른 잎을 들으며 가을정취를 만끽해본다. 마른 잎은 신중현 사단 가수들이 무대에서 즐겨 부르는 단골 메뉴였다. 그 가운데서 임아영 장현 박광수가 음반에 실었는데 장현의 노래가 가장 많은 사랑을 받았다. 신중현 사단이 언급된 김에 우리 가요 사에 커다란 획을 그은 음악 집단이기에 그 실체를 한번 들여다보기로 한다. ▲ 장현 마른 잎 수록 음반 표지 마른 잎 떨어져
[우리문화신문=김상아 음악칼럼니스트] ▲ 박일남 갈대의 순정 음반 표지 사나이 우는 마음을 그 누가 아랴 바람에 흔들리는 갈대의 순정 사랑엔 약한 것이 사나이 마음 울지는 말아라 아 아아아아 아아아아 아아아 갈대의 순정 말없이 보낸 여인이 눈물을 아랴 가슴을 파고드는 갈대의 순정 못 잊어 우는 것은 사나이 마음 울지는 말아라 아 아아아아 아아아아 아아아 갈대의 순정 이태 전 가을은 유난히 비가 잦았다. 전국이 물난리로 고통을 받던 그해 여름 동해안 지방은 비가 내리지 않아 그렇게도 애를 태우더니, 뒤 늦게나마 상수원 댐에 물이 차고 마른 내에 물 흐르는 소리가 들려와 한시름 덜었었다. 그런데 올해도 역시 가뭄은 사람들의 애를 태우고 있다. 우리는 살아가면서 많은 것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끼지만 비 온 뒤의 하늘을 바라보는 것도 대단한 순화작용을 한다. 눈은 내릴 때는 아름답지만 녹을 때의 질척거림이 불편하고, 비는 내릴 때는 불편하지만 내린 뒤엔 마음을 상쾌하게 해준다. 세상은 어쩌면 이렇게도 조화를 이룰까? 그래서 세상은 공평하다는 말이 나왔나보다 생각하며 갈대 우거진 냇가에서 옛 생각에 잠겨본다. 주홍빛 가을 햇살이 싸리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