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지난 18일,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조직위원회가 2024년 제9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KIADA2024) 딸림 프로그램의 하나로 진행하는 사진전 개막식을 마포구청 1층 로비에서 성황리에 열었다. 올해로 9회를 맞이하는 KIADA는 2016년 세계 처음으로 펼쳐진 장애인국제무용제로 무용 작품 창ㆍ제작 말고도 다양한 나라와 교류ㆍ협업, 교육, 연구 등 나라 안팎 장애무용계 선순환적 체계 구축 및 확장을 위한 잔치로 자리 잡았다. 이번 사진전은 제9회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KIADA2024)에서 선보인 작품으로, 모두 9나라에서 참여한 18개 작품, 모두 36점의 사진을 선보이며, 22일까지 관람할 수 있다. 대한민국을 비롯한 남아프리카공화국, 독일, 대만, 미국, 스페인, 일본, 폴란드 등 다양한 나라가 펼친 장애무용의 아름다움과 예술적 값어치를 탐구할 수 있다. 개막식에는 대한민국장애인국제무용제 손봉호 대회장, 박강수 마포구청장, 백남환 마포구의회 의장, 양광중 주한타이페이 대표부 공관장, 김삼진 예술감독 등을 비롯한 많은 내빈이 참석하여 자리를 빛냈다. 축하공연으로는 KIADA2024에서 큰 울림을 준 온몸 컴퍼니 강성국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푸른솔겨레문화연구소장] 2024년 갑진년(甲辰年)은 청룡의 해다. 용은 십이지신 가운데 유일한 상상의 동물로, 낙타 머리에 사슴뿔, 토끼 눈, 소의 귀, 뱀의 목, 개구리 배, 잉어 비늘, 매 발톱, 호랑이 발을 가졌다고 한다. 이처럼 초현실적 존재인 용은 강력한 힘을 갖고 있다고 믿어져 삼국시대 무덤 벽화부터 절터의 벽돌, 그림, 왕실용 항아리, 대한제국 황제의 도장까지 다양한 미술품에 등장했다. 각 작품에 표현된 용은 눈을 부릅뜨고 용맹하게 보이거나 사람을 닮은 친근한 표정을 하기도 하며 위엄있고 당당한 모습으로 나타난다. 그 청룡의 해를 맞이하여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등 전국의 박물관들은 ‘용을 찾는 갖가지 전시와 행사를 열었다. 그뿐만 아니라 여기 (사)한국불교사진협회도 절의 불교문화 속 부처님을 수호하고 전각을 지키는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는 용을 소재로 한 사진을 찍어 회원전을 연다. 서울 전시는 경복궁 옆 법련사 '불일미술관'서 어제(5.8)부터 오는 5월 16(목)일까지 열리고 있으며, 광주는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에서 5월 23일(목)부터 5월 30일(목), 대구는 '대구문화예술회관' 제1전시실에서 6월 4일(화
[우리문화신문=이동식 인문탐험가] 김 삿갓이 아름다운 금강산을 보고 지은 시가 사람들의 칭송을 받는다; 一步二步三步立 한 걸음 두 걸음 세 걸음 가다 멈추고 보니 山靑石白間間花 푸른 산, 하얀 돌 사이에 곳곳에 꽃이 천지구나 若使畵工模此景 만약 화공을 불러 이 경치를 그리게 한다면 其於林下鳥聲何 나무 사이에 들리는 새소리는 어떻게 할 것인가 조선 후기 최고의 화가인 단원(檀園) 김홍도(金弘道·1745~?)가 이 물음에 답을 그림으로 내었다. '말 위에서 꾀꼬리 소리를 듣다'라는 그림이다. 금방 꾀꼬리 소리를 듣고는 고삐를 당기고 꾀꼬리 소리를 확인하러 고개를 돌려 쳐다본다. 아 그 나뭇가지에 자그만 꾀꼬리가 있구나. 이렇게 꾀꼬리 소리가 그림 속에 영구히 잡혀 있다. 가야금의 명인이신 황병기(1936~2018) 님은 젊을 때 인사동 고미술 전시회에서 한 선비가 집 뒤 수풀 속에서 들리는 새소리를 듣고는 확인하려 고개를 돌리고 있는 그림을 보고 빠져들었다. 심전 안중식(1861~1919)의 <성재수간(聲在樹間)>이란 그림이었다. 황병기님은 그 그림의 느낌을 가야금 곡으로 작곡해 내고는 '밤의 소리'라는 이름으로 발표해 가야금 음악의 전설이 되고 있다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오는 5월 8일 부천 아리솔갤러리에서 불교예술의 아름다움을 사진으로 구현하는 '사진 동우회 심상' 주최, 제35회 수미단(불단)을 주제로 한 전시회가 마련되어 있어 세간의 주목을 받고 있다. 한국문화를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 가운데 불교문화를 빼놓고는 말 할 수 없을 것이다. 불교는 본래 인도에서 출발하여 아시아 전지역으로 퍼져 나갔고, 그 과정에 우리나라에도 전해져 한국 고유의 문화와 어우러져 찬란하게 꽃피웠다. 불교 예술하면 건축, 조각, 회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그 가운데 '사진 동우회 심상' 에서는 이번에 수미단만을 주제로 뜻깊은 전시회를 연다. 수미단이란 불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는 생소한 낱말로 이는 불전(佛殿)에서 부처님을 모신 바로 아래 평평한 탁자 같은 단을 말한다. 불교용어인 이 말의 유래를 보면, 세계의 중심에는 높이를 헤아릴 수 없이 높은 산이 있는데 이를 수미산이라고 부르며, 부처님은 그 수미산의 위에 펼쳐진 극락세계에 계신다는 뜻에서 생겼다. 상식적으로 수미산이라면 뾰족할 것 같지만, 사실 불전에서는 목조로 만든 납작한 수미단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무한한 상상력을 발휘하여 세상의 모든 귀한 것들로 가득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전시 제목 <비:주류>는 가운데 쌍점(콜론)이 있지만, 비주류(非主流)로 읽힌다. 그런데 사진 속에 첩첩이 술 운반상자들이 등장하면서 주류가 ‘술의 종류를 뜻하는 주류(酒類)가 아닌가?’라고 고개가 갸웃해진다. 주류 앞에 비(非)가 서니, 이제는 다시 주류가 아니라는 의미로 바뀌다가 쌍점을 의식하는 순간 비(非)는 주류와 등가를 이루는 알 수 없는 무엇으로 바뀐다. 프랑스의 예술학교(Haute école des arts du rhin)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하고, 마르세유와 대전에서 3번의 개인전을 열었으나 아직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작가 자신도 ‘비주류’다. 작업노트에는, 제일 먼저 ‘술 짝’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술을 운반하기 쉽게 담아 둔 주류상자를 일컫는 주류 운반업계 현장의 말이다. 술 짝은, 마치 관용어로 쓰일 때의 짐짝을 연상시킨다. 방해되어서 덜어버리고 싶은 대상이다. 그러나 그럴 수 없다. 작가에게 술 짝을 나르는 일은, 예술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 병행해야만 하는 생업활동이기 때문이다. 김기훈의 <비:주류>는 ‘예술적 노동과 경제적 노동 사이의 균형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서 시작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세계 여러 지역을 하나의 ‘현장’으로 넘나들며 사진기자(포토저널리스트)로 활동하고 있는 신웅재가 지난 4년 동안의 행적을 묶어 사진전 <긍적적(Optimistic)>을 연다. <긍적적(Optimistic)>은 2020년부터 코로나 기간을 지나는 동안 서울의 거리들을 찍은 사진들이다. 장소는 모두 서울이지만, 서울이 주제는 아니다. 물리적으로나 공간적으로만 거리 사진일 뿐, 사진의 분류 범주로 ‘길거리사진(스트리트포토)’에 속하는 것도 아니다. 사진가 스스로 ‘주제도 없고, 파편적인 이미지’라고 말한 대로, 어떤 목적성이나 사진과 사진 사이에 인과적 관계가 보이지 않는다. 그런데도 각각의 사진들은 스크럼을 짜듯이 서로 어깨를 겯고 하나의 분위기를 이룬다. 쓰레기 더미, 무너진 스티로폼 상자 무더기, 건물 틈새에 누워있는 입간판, 보도블록 위의 토사물 얼룩과 꽁초, 버려진 마스크 등 폐기된 것들이 폐기된 채로, 아파트와 행인 같은 평이한 풍경이 평이한 채로, 사진 속에서 새로운 문장을 쓰고 있다. 표현은 거칠고 어둡게 이어지면서, 잘리고 평이하고 쓰러지고 버려진 보잘것없는 것들이 현대사회, 서울, 팬데믹, 정치,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송광사와 사진가 안홍범이 만났다’. 이 짧은 문장은, 우리나라 삼보사찰(三寶寺刹) 가운데 하나인 송광사가 월간 《샘이깊은물》 사진부장을 지내던 때부터 이 땅의 서정과 풍경을 아름답게 담아내는 사진가로 꼽혀온 안홍범에게 자신을 기록할 수 있도록 사문(寺門)을 열었다는 이야기다. 한 사진작가가 송광사의 일상과 사계절을 여러 해에 걸쳐 촬영하는 귀한 작업이 이루어진 것이다. 우리는 그 결과로 <송광사 승경>을 얻었다. 마당을 쓰는 스님들의 싸리 빗자루를 따라서 허공에 비질하는 배롱나무 꽃가지들, 돌계단을 내려오는 노스님의 털신을 가뿐히 받쳐주는 아침볕, 반들반들 닦여 하늘을 거울처럼 파랗게 담아낸 마루에서 좌선 중이거나 흰 꽃이 만개한 복숭아 고목 옆에서 뒷짐을 진 채 언덕 아래를 내려다보는 스님, 문턱을 넘는 스님들의 기척에 놀라 용마루에서 푸드득 날아오르는 새, 꽃과 눈, 안개와 별과 바람이 모두 <송광사 승경>에 담겼다. 승경(勝景)은 경치의 한 표현이다. 절경, 무한경과 마찬가지로 더할 나위 없이 빼어난 경치를 이를 때 쓰인다. ‘송광사’ 뒤에 이어지니, 언뜻 승경(僧景)인가도 싶은데, 맞다. 스님들이 있
[우리문화신문=이한영 기자] 서울 종로구 통의동 ‘라 카페 갤러리’에서는 오는 10월 1일까지 박노해 사진전 <아이들은 놀라워라>가 열리고 있다. 지난 20여 년 동안 좋은 삶이 깃든 '다른 길'을 찾아 세계의 가장 높고 깊은 마을을 유랑해온 박노해 시인. 21번째를 맞은 이번 사진전의 주제는 '아이들'이다. 결여만큼 간절하게, 눈물만큼 강인하게 자라나는 지구마을 아이들의 모습이 37점의 흑백사진과 글로 펼쳐진다. “아이는 부모의 몸을 타고 여기 왔으나 온 우주를 한껏 머금은 장엄한 존재다. 아무도 모른다. 이 아이가 누구이고, 왜 이곳에 왔고, 그 무엇이 되어 어디로 나아갈지. 지금 작고 갓난 해도 아이는 이미 다 가지고 여기 왔으니.”(박노해) 격변하는 미래와 교육, 가정과 학교, 부모와 자녀 등 우리 시대의 간절한 물음 앞에 나직이 희망의 길을 찾는 시간. “우리 모두는 아이였다. 나이가 들고 어른이 되어도 우리 안에는 소년 소녀가 살아있다. 늘 모자라고 서투르고 실수하고 그럼에도 거듭 배우고 다시 깨달아가야 하는 우리 모두는 ‘영원의 아이’다.”(박노해) 세상 모든 아이에게, 그리고 아이였던 우리 모두에게 박노해 시인이 건네는 이야기. 〈아
[우리문화신문=최우성 기자] 부처님을 상징하는 불탑은 불교의 역사와 함께 시작된 조형물이다. 불탑은 처음 인도에서 시작된 것으로 이세상에 살았던 위대한 사람을 오래도록 기억하고자 조형물을 만들고, 당시 가장 위대한 사람으로 숭배되었던 석가모니 부처님의 화장한 유골을 보관한데서 비롯되었다. 불교경전에 따르면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 한 뒤에 화장한 결과 그 사리의 양(量)이 8말이나 되었다고 한다. 살아있을 때 주변의 모든 나라의 임금들로부터 존경의 대상이었던 석가모니였기에, 그가 열반에 들자 장례식에 참석한 강대국 임금들은 화장한 결과 나온 부처님의 많은 사리를 각자 자기들 나라로 더 많이 가져가기 위하여 다툼이 심하였고 전쟁이 일어날 지경이 되었다. 그러나 강대국 임금들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되살려 평화적으로 해결하여 타협한 결과, 부처님의 사리는 8개국의 왕국에 공평하게 나누어 가져가게 되었고, 이를 가지고 돌아가 각각 탑을 만들어 마치 살아있는 석가모니를 모시듯 봉안하였다. 이렇게 시작된 불탑은 이후 세월이 흐르면서 불교가 여러나라로 전파되었고, 부처님의 사리를 모시고자 하는 염원에 따라 많은 양의 사리들이 묻혀있는 불탑을 헐어 부처님의 사리들을 분양하게
[우리문화신문=김영조 기자] 텟미엣(Htet Myat). 미얀마 말로 ‘밝은 사람’라는 뜻의 이 이름은, 미얀마 한 작은 마을의 노인이 한국인 신진호에게 지어 준 이름이다. 십 년여 동안 해마다 수차례 미얀마를 방문해 그곳 사람들의 삶과 사연들을 사진에 담아온 사진가 신진호. KIST에서 뇌과학을 연구한 과학자이자 신학대학에서 성서신학을 전공한 신학도, 외교부 소속 국제구호단체 ‘타이니씨드’(tiny-seed.org)의 활동가 등 그를 가리키는 여러 수식어들에 이국의 이름 하나가 더해진 것이다. 웃을 때면 얼굴이 온전히 환해지는 그의 모습에서거나 혹은 그의 명민함에서, 노인이 영어로는 ‘똑똑한 사람(Bright Person)’이라 번역되는 그 이름 뜻을 빌었으리라. “과학자로서, 그리고 종교인으로서, 저에게 빛은 참 특별합니다. 빛의 이중성을 이해하게 되면서, 그런 빛을 담는 도구로서의 카메라와 결과물로서의 사진이 또한 저에게 큰 의미를 갖게 되었습니다.” 물리학을 공부하던 학생시절, 이른 아침 창밖으로 보이는 태양과 그 빛으로 인해 변하는 하늘의 모습이 너무나 아름다워 처음 카메라를 들었다. 초기에는 컬러 필름으로 하늘, 구름, 빛을 찍다가 자가 현상과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