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송원조 고수(鼓手)의 보비위(補脾胃)정신, 곧 소리꾼의 비위를 잘 맞추어 주는 고수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음식으로 비유한다면 다양한 양념이 들어 있지 않음에도 또 다른 맛의 묘미를 전해주는 경우와 비슷하다는 이야기, 그는 거의 원 박을 반복하다시피 치면서도 강과 약을 분명하게 조절해 주기 때문에 단순, 명료하면서도 다양한 표현법을 구사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그래서일 것이다. 송원조를 성공한 고수라고 평가하는 배경이라든가, 또는 송원조 자신이 지금까지도 절실하게 후진들에게 전해주고 있는 말은 다름 아닌, 소리판의 성공적 비결은 첫째도 둘째도 ‘소리꾼의 기량’이라는 점이다. 그렇기에 그가 주장하는 으뜸 명고수도 소리꾼으로 하여금 그의 기량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옆에서 돕는, 바로 이러한 마음가짐과 자세가 고법(鼓法)의 기본 정신이 되는 것이다. 서울시 고법의 예능보유자, 송원조의 고법에서 느낄 수 있는 단순함이라든가, 명료함, 또는 겸손함과 같은 덕목들은 바로 송원조 자신의 인격이어서 자신만의 특징을 여지없이 들어내고 있는 듯 보인다. 이 분야의 관계 전문가들은 그가 구사하는 단순한 가락들은 강약의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송원조 고수(鼓手)는 10대에 <이리국악원>에 들어와 판소리와 북을 배우기 시작하였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국악원의 총무가 될 정도로 성실한 사람이란 점, 그의 기억에 남는 특이한 경험은 당시, 소리선생으로 활동하던 김연수 명창이 동초제 판소리를 새로 짤 때, 밤새도록 북을 쳐 주면서 도왔다고 이야기하였다. 한때, 북을 접고, 딴 분야에서 활동하다가 되돌아왔다고 이야기하였다. 얼마 전, 그에게 배운 제자들이 발표회를 할 때였다. 그는 명고수의 요건으로 첫째가 북을 잡고 앉아 있는 자세가 당당하여 소리꾼에게 믿음을 주어야 하고, 북가락은 단순하면서도 분명해야 하며 추임새를 적재적소에 넣을 줄 알아야 한다는 이야기를 전해 주는 것이었다. 그의 말이다. “고수의 북가락은 적재적소에 써야 한다. 그럼에도 필요 이상의 많은 가락을 써서 복잡하거나 시끄럽다는 인상을 주는 사람도 있다. 이래서는 안 될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북가락이 전혀 없어야 한다는 말은 절대 아니다. 필요 이상으로 북가락이 많이 들어가도 좋지 않다는 점을 강조하는 말이다.” 그래서일까? 최동현은 송원조의 북가락을 다음과 같이 평가한다. “송원조의 북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판소리 12마당의 이름은 조선조 순조(1800-1834년) 때, 송만재의 《관우희(觀優戱)》에 보이고 있고, 그로부터 100여 년이 지난, 일제 말(末) 정노식이 쓴 《조선창극사》에도 소개되어 있다는 점, 현재까지 전해오고 있는 <수궁가>는 순조 때의 명창인 송흥록에서 송광록-송우룡-유성준의 뒤를 이어 정광수, 박초월 등에 의해 널리 퍼지게 되었고, 송우룡-송만갑-박봉래-박봉술로 이어져 온 수궁가와 경기ㆍ충청의 중고제는 전승 위기를 맞고 있다는 점, 논산 김남수 고법 발표회에서 <수궁가>를 완창해 준 젊은 소리꾼, 박현영 명창에 관해서도 소개하였다. 북을 잘 치고, 못 치는 하는 문제는 별도로 논의한다고 해도, 논산의 김남수가 그의 고향, 논산에서 13번째 고법발표회를 열었다는 열정은 높이 살 만한 일이라고 생각한다. 무엇보다도 발표회 때마다 판소리 명창들을 초대해서 지역의 판소리 음악을 확산해 나가는 공을 세우고 있는 것이다. 김남수는 전라북도 고법 보유였던 주봉신에게 배웠다. 주봉신은 고 박동진의 전속 고수로서 전국을 다니며 박동진과 호흡을 맞추었던 사람이다. 그의 북은 힘이 실려 있는 묵직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고수(鼓手)의 추임새가 소리판을 키우는 요건이라는 점, 고수의 적절한 추임새가 소리판을 성공적으로, 또는 실패로 몰고 갈 수도 있다는 이야기를 하였다. 명고수 김동준은“소리꾼이나 잽이를 반주하며 추임새를 해 줄 때, 모두가 잘해서 저절로 추임새가 나오는 것이 아니라, 그렇지 않을 경우도 허다하다고 전제하면서“ 안 좋은 걸, <좋다> <잘 헌다> 하는 것이, 여간 일이 아니란 명언을 하였다. 추임새는 소리꾼이나 연주자(演奏者)들에게만 적용되고 필요한 것일까? 무대 위에서 펼치고 있는 모든 소리꾼이나 차비(差備), 곧 잽이들은 그들의 일상 연주가 모두 훌륭해서 반주자나 객석으로부터 추임새를 받게 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살펴야 한다. 간혹, 무대 위에서 긴장하는 연창자(演唱者)들은 여러 가지 조건이나 이유로 평소의 자기 실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상황이 자주 만들어지게 마련이다. 특히, 첫 발표회를 준비한 사람들이 지나치게 긴장할 경우, 실력 발휘가 어렵고, 전문가 그룹의 관객이 자리 잡을수록 객석이 무섭고 두려운 법이다. 이러한 상황이라면 과연 무대 위에 함께 올라 있는 고수는 어떠한 방법으로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고수(鼓手)의 임무나 그 역할에 관한 이야기, 고수는 반주자로 창자의 소리에 맞추어 정확하게 장단(長短), 곧 박자의 조합과 강약(强弱)의 조화를 이루어야 하는데, 이러한 능력은 소리속을 훤히 꿰고 있지 못하면 불가능한 조건이라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이번 주에는 고수의 추임새가 소리판을 키우는 매우 중요한 요건이라는 점을 이야기한다. 고수가 정확하게 장단을 쳐 주고, 이와 함께 강약 처리를 잘한다고 해서 모두가 유명 고수로 인정을 받게 되는 것일까? 물음에 대한 대답은 “반드시 그렇지 않다.”다. 그것은 바로 ‘얼씨구’, ‘으이’, ‘좋지’, ‘좋다’, ‘잘 헌다’ 등의 조흥사(助興詞), 곧 추임새를 적재적소(適材適所)에 넣어 줌으로 해서 소리꾼에게 자신감을 가지도록 북돋아 주는 역할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런데 때때로 이를 소홀히 하거나 적절하게 구사하지 못하는 고수들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명고수(名鼓手)의 대접을 받기 어려울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리꾼의 역할은 <춘향전>이나 <심청전>과 같은 긴 이야기를 소리와 장단, 그리고 다양한 대사와 발림(몸동작) 등으로 소리판을 이끌어가기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에는 고수의 길로 들어선 송원조가 당시 이리국악원 총무직을 맡으면서 본격적으로 고법(鼓法)을 익히게 되었다는 이야기, 그의 북 실력이 점점 향상되면서 무대공연에서도 인정받기 시작했다는 이야기, 그리고 익산에서 열린 판소리 대회, 북 부문에서도 장원에 올랐다는 이야기 등을 하였다. 이번 주에는 고수(鼓手)의 임무나 그 역할에 관한 이야기를 해 보기로 한다. 일반적으로, 소리꾼은 긴 이야기를 소리와 장단, 그리고 다양한 대사와 동작, 등으로 소리판을 끌어 나가는 역할을 하기에 매우 힘든 역할이고, 상대적으로 고수는 한 자리에 앉아서 소리에 맞추어 북을 치기 때문에 쉬운 역할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첫째가 고수, 둘째가 명창이란 말, 곧 ‘일고수 이명창(一鼓手二名唱)’이란 말이 널리 회자(膾炙)하는 것도 그만큼 고수의 역할이 어렵다는 것을 역설적으로 강조하는 것이다. 글쓴이는 대학신문에 “추임새, 에너지의 보충원(補充原)”이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한 바 있다. 이 글에서 고수가 얼마나 어려운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추임새가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가? 하는 점을 피력했다, 비단 판소리뿐만 아니라, 우리의 일상생활에서도
[우리문화신문=서한범 단국대 명예교수] 지난주까지는 화관무(花冠舞)라는 춤에 관한 이야기를 하였다. 화관무란 글자 그대로 꽃으로 만든 화려한 관을 쓰고, 추는 춤이다. 한국전쟁 이후, 남하한 서도의 춤 사범, 민천식은 황해도 해주 지역 기녀들이 추어오던 화관무라는 춤에 탈춤과 교방무(敎坊舞)의 양식을 더해 완성도 높은 춤으로 재탄생시켰다, 그것은 호방한 한삼의 뿌림이라든가, 유연한 몸놀림 등, 궁중무의 절제된 ‘규칙’이라든가 민속춤의 ‘자유로움’을 갖추고 있으며 서도의 삼현육각(三絃六角)으로 반주한다는 점에서 매우 흥미로운 춤이라는 점을 이야기하였다. 최승희, 김정순, 배뱅이굿의 이은관, 재담의 김뻑국, 김실자, 김나연, 외 수많은 춤꾼, 소리꾼 등이 그에게 춤과 노래를 배웠다. 민천식은 화관무 말고도 봉산탈춤을 세상에 알려서 동 종목이 국가 무형문화재(無形文化財)로 지정받는 데 크게 이바지하여 예능보유자로 인정을 받았다. 그러나 인정서를 받는 당일,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난 비운의 예인이었다는 이야기도 하였다. 그의 제자, 김나연(현, 화관무 명예보유자)은 말한다. 선생은 “춤을 가르치면서도 늘 애국심을 강조해 주셨어요. 화관무는 태평성대를 소원하는 춤이라는